||<-2>
'''오스트리아 제국의 카를 루트비히 대공비[br]{{{+1 마리아 안눈치아타}}}[br]Maria Annunziata delle Due Sicil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ss Maria Annunciata of Bourbon-Two Sicilies.jpg|width=100%]]}}} || || '''이름''' ||마리아 안눈치아타 이사벨라 필로메나 세바시아[br](Maria Annunziata Isabella Filomena Sebasia) || || '''출생''' ||[[1843년]] [[3월 24일]][br][[양시칠리아 왕국]] 카세르타 카세르타 궁전 || || '''사망''' ||[[1871년]] [[5월 4일]] (향년 28세) [br][[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오스트리아)|빈]] || || '''배우자''' ||[[카를 루트비히(1833)|오스트리아의 카를 루트비히 대공]] ,,(1862년 결혼),, || || '''자녀''' ||[[프란츠 페르디난트]], 오토 프란츠, 페르디난트 카를, 마르가레테 조피 || || '''아버지''' ||[[페르디난도 2세]]|| ||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 || || '''형제''' ||루이지, 알베르토, 알폰소, 마리아 임마콜라타, 가에타노, 주세페, 마리아 피아, 빈첸초, 파스콸레, 마리아 루이사, 젠나로 ||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양시칠리아 왕국]] [[페르디난도 2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의 넷째이자 장녀. [[프란체스코 2세]]의 이복동생이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초대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동생 [[카를 루트비히(1833)|카를 루트비히]] 대공과 결혼했다. [[사라예보 사건]]으로 유명한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어머니고, 마지막 황제였던 [[카를 1세]]의 할머니다. == 생애 == 1843년 3월 24일에 양시칠리아 왕국 카세르타 궁전에서 페르디난도 2세의 장녀로 태어났다. 애칭은 촐라(Ciolla). 어머니와 비슷한 성격이었던 마리아 안눈치아타는 조용하고 내성적이었다. 1859년 5월 22일, 아버지 페르디난도 2세가 사망하고 이복오빠 프란체스코 2세가 즉위했다. 그 무렵 [[이탈리아 반도]]에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 [[주세페 가리발디]]의 침략과 샤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남하로 인해 1861년에 양시칠리아 왕국은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마리아 안눈치아타의 가족들은 [[교황령]]으로 망명했다. 일가는 교황 [[비오 9세]]의 비호 아래 [[퀴리날레 궁]]에서 머물렀다. 그로부터 1년 뒤인 1862년 10월 21일, [[베네치아]]에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동생 오스트리아의 [[카를 루트비히(1833)|카를 루트비히]] 대공과 결혼했다. 결혼식 이튿날 미사 도중에 마리아 안눈치아타는 시댁 식구들이 모두 있는 자리에서 [[뇌전증|간질 발작]]을 일으켰다. 몸이 약한 마리아 안눈치아타는 [[결핵]]을 앓고 있었다. 카를 루트비히의 어머니 [[조피 프리데리케|바이에른의 조피]]는 며느리의 몸 상태가 많이 안 좋다는 걸 눈치채고 온화한 기후의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에서 지낼 것을 권했다. 부부는 그 말에 따랐다. 아이들을 낳으면서 마리아 안눈치아타의 건강은 점점 안 좋아졌다. 첫아이 프란츠 페르디난트를 낳은 뒤에는 [[조울증]] 증세를 보이기도 했다. 병을 옮길까 염려된 마리아 안눈치아타는 아이들을 멀리했다. 1870년에 네 번째 아이를 낳은 뒤 병세가 위독해졌다. 그리고 1871년 5월 4일, 고통에 시달리던 마리아 안눈치아타는 28세의 나이에 결핵으로 숨을 거두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안눈치아타[br]{{{-2 (Maria Annunciata of the Two Sicilies)}}} ||<|6> [[페르디난도 2세]][br]{{{-2 (Ferdinando II)}}} ||<|3> [[프란체스코 1세]][br]{{{-2 (Francesco I)}}} || || [[페르디난도 1세]][br]{{{-2 (Ferdinando I)}}} || || [[마리아 카롤리나|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프란츠 1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10녀이다.][br]{{{-2 (Archduchess Maria Carolina of Austria)}}} || ||<|3> [[마리아 이사벨|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br]{{{-2 (Maria Isabella of Spain)}}} || || [[카를로스 4세]][br]{{{-2 (Carlos IV)}}} || ||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펠리페 5세]]의 손녀이자 [[루이 15세]]의 외손녀이다.][br]{{{-2 (Maria Luisa of Parma)}}} || ||<|7>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br]{{{-2 (Archduchess Maria Theresa of Austria)}}} || ||<|3> [[카를 루트비히|테셴 공작 카를 대공]][br]{{{-2 (Archduke Karl, Duke of Teschen)}}} || || [[레오폴트 2세]][br]{{{-2 (Leopold II)}}} ||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카를로스 3세]]의 차녀이자 [[아우구스트 3세]]의 외손녀이다.][br]{{{-2 (Maria Louisa of Spain)}}} || ||<|3> 나사우바일부르크의 헨리에타 공녀[br]{{{-2 (Princess Henrietta of Nassau-Weilburg)}}} || || 나사우바일부르크 공 프리드리히 빌헬름[br]{{{-2 (Frederick William, Prince of Nassau-Weilburg)}}} || || 키르히베르크의 루이제 이사벨라 여백작[br]{{{-2 (Burgravine Louise Isabelle of Kirchbe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남''' || [[프란츠 페르디난트|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br]{{{-2 (Archduke Franz Ferdinand)}}} || [[1863년]] [[12월 18일]] || [[1914년]] [[6월 28일]] || [[조피 초테크 폰 초트코바|호엔베르크 여공작 조피]][br]슬하 2남 1녀[* [[조피 폰 호엔베르크|노스티츠라이네크 백작부인 조피]], [[막시밀리안 폰 호엔베르크|호엔베르크 공작 막시밀리안]], [[에른스트 폰 호엔베르크|호엔베르크 후작 에른스트]].] || || '''2남''' || 오토 프란츠 대공[br]{{{-2 (Archduke Otto Franz)}}} || [[1865년]] [[4월 21일]] || [[1906년]] [[11월 1일]] || 작센의 마리아 요제파 공주[* [[게오르크(작센)|게오르크]]의 4녀이자 [[페르난두 2세]]와 [[마리아 2세]]의 외손녀이다.][br]슬하 2남[* [[카를 1세]] 등] || || '''3남''' ||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br]{{{-2 (Archduke Ferdinand Karl)}}} || [[1868년]] [[12월 27일]] || [[1915년]] [[3월 12일]] || 베르타 추베르 || || '''1녀''' || 마르가레테 조피 여대공[br]{{{-2 (Archduchess Margarete Sophie)}}} || [[1870년]] [[5월 13일]] || [[1902년]] [[8월 24일]] || [[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br]슬하 3남 4녀[* 명목상 왕위 계승권자 [[필리프 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필리프 알브레히트]] 등.] || == 여담 == * 시어머니 [[조피 프리데리케|바이에른의 조피]]는 맏며느리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엘리자베트 황후]]를 괴롭힌 악독한 시어머니로 유명하지만 셋째 며느리인 마리아 안눈치아타와는 잘 지냈다고 한다. * 마리아 안눈치아타가 죽고 2년 뒤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의 공주 [[마리아 테레사(포르투갈)|마리아 테레사]]와 재혼했다. 그리고 마리아 테레사와의 사이에서 낳은 첫아이인 딸의 이름을 마리아 안눈치아타라고 지었다. [[분류:1843년 출생]][[분류:1871년 사망]][[분류:양시칠리아의 공주]][[분류:부르봉양시칠리아 가문]][[분류: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분류:카세르타 출신 인물]][[분류:결핵으로 죽은 인물]][[분류:카푸친 교회 안장자]][[분류:오스트리아의 왕자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