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 마르틴 슈토클라자의 기타 정보 '''}}} || || {{{#!folding ▼ [include(틀:리히텐슈타인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3> {{{+1 '''[[FC 파두츠|{{{#ffffff FC 파두츠}}}]]'''}}} || ||<-3> '''{{{#dc002e Fussball Club Vaduz}}}'''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tin Stocklasa.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마르틴 슈토클라자'''}}}[br]'''Martin Stocklasa''' || ||<-2> {{{#ffffff ''' 출생 ''' }}} ||[[1979년]] [[5월 29일]] ([age(1979-05-29)]세) / [br] [[스위스]] [[장크트갈렌]]주 [[그랍스]]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리히텐슈타인)]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92cm || ||<-2> {{{#ffffff ''' 직업 ''' }}} ||축구선수([[센터백]]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USV 에셴/마우렌]] ( ~1997 / ^^유스^^) [br] [[FC 파두츠]] (1997~1999) [br] [[FC 취리히]] (1999~2002) [br] → {{{-1 [[SC 크린스]] (2000~2001 / ^^임대^^)}}} [br] '''[[FC 파두츠]] (2002~2006)''' [br] '''[[SG 디나모 드레스덴]] (2006~2008)''' [br] [[SV 리트]] (2008~2011) [br] [[FC 장크트갈렌]] (2011~2014) || || {{{#ffffff ''' 감독 ''' }}}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리히텐슈타인 U-21 대표팀]] (2019~2020) [br]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리히텐슈타인 대표팀]] (2020~2023) [br] [[FC 파두츠]] (2023~ ) || ||<-2> {{{#ffffff ''' 국가대표 ''' }}} ||113경기 5골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리히텐슈타인]] / 1996~2014)^^ || [목차] [clearfix] == 개요 == [[리히텐슈타인]]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 선수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틴 스토클라사.jpg|width=100%]]}}}|| === 클럽 경력 === 리히텐슈타인 선수로서는 쉽지않은 해외 진출도 하고 거기서도 나름 좋은 성적을 기록하며 리히텐슈타인 선수치고는 꽤 좋은 커리어를 보냈다. 클럽에서 17년간 기록한 통산 성적은 406경기 20골이다. ==== 스위스 시절 ==== 유스팀은 USV 에셴/마우렌에서 뛰었다. 데뷔 첫 클럽은 리히텐슈타인 선수들이 꽤 있는 [[FC 파두츠]]였다. 그러나 단 한경기도 뛰지를 못하고 결국 1998년에 [[FC 취리히]]로 이적하게 된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SC 크린스]]로 임대 이적을 하게 된다. 2002년에는 자신의 첫 클럽인 [[FC 파두츠]]로 다시 이적한다. 그런데 2002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123경기 10골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만들어낸다. ==== [[SG 디나모 드레스덴]] ==== 2006년에 [[SG 디나모 드레스덴]]으로 이적했다. 첫 해외 진출이다. 2시즌동안 60경기 2골을 기록하며 꽤 좋은 성적을 만들어냈다. ==== [[SV 리트]] ==== 2008년에 [[SV 리트]]로 이적했다. 3시즌동안 92경기 6골을 기록하며 이번에도 좋은 성적을 만들어냈다. 다만 나이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서인지 출전 경기수는 조금 줄었다. ==== [[FC 장크트갈렌]] ==== 2011년에 [[FC 장크트갈렌]]으로 이적했다. 팀은 [[스위스 챌린지 리그]] 2011-12시즌에 우승하면서 승격하는 동시에 이적한지 첫 시즌에 '''생애 첫 리그 트로피'''를 들어올리게 되었다. 3시즌간 기록한 성적은 61경기 1골이다. 그리고 2014년에 35살이라는 나이에 은퇴를 했다. === 국가대표 경력 === 1996년 8월 31일에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를 상대로 자신의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클럽 커리어가 리히텐슈타인 선수 치고는 상당히 좋은 편이라서 국가대표 경기를 자주 출전했다. 그리고 2014년 3월 5일에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를 상대로 자신의 국가대표 커리어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18년동안 113경기 5골을 기록하면서 마리오 프리크와 함께 2000년대 리히텐슈타인 공수의 핵으로 기능하며 '''리히텐슈타인의 레전드'''가 되었다. 여담으로 2002년 4월 17일에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를 상대로 '''리히텐슈타인 선수 최초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이는 자국 최다골 기록을 가지고 있는 마리오 프리크도 못한 업적이다.] 그리고 경기는 3:3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그리고 이 기록은 2021년 현재까지 유일하게 리히텐슈타인 선수가 기록한 해트트릭이다. == 감독 경력 == ===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20년에 헬기 콜베드손의 후임 감독이 되었다. 이로서 선수로서는 FIFA 센추리 클럽에도 가입을 했을정도로 레전드였는데 감독으로서는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어떻게 이끌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 [[FC 파두츠]] === 2023년 3월 1일 FC 파두츠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분류:1979년 출생]][[분류:2014년 은퇴]][[분류:리히텐슈타인의 축구선수]][[분류:리히텐슈타인의 축구감독]][[분류:스위스계 리히텐슈타인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SC 크린스/은퇴, 이적]][[분류:FC 파두츠/은퇴, 이적]][[분류:SG 디나모 드레스덴/은퇴, 이적]][[분류:SV 리트/은퇴, 이적]][[분류:FC 장크트갈렌/은퇴, 이적]][[분류: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분류:장크트갈렌주 출신 인물]][[분류:FC 파두츠/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