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3년생 윙어, rd1=마르키뉴스(2003))] [include(틀:파리 생제르맹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29c55 '''마르퀴뇨스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170 0%, #004170 20%, #004170 80%, #004170);" {{{#ffffff ''' 파리 생제르맹 FC 주장 ''' }}} }}} || || [[티아고 실바]][br]{{{-1 (2012~2020) }}} || {{{+1 {{{#ffffff ▶ }}} }}} || '''{{{#ffffff 마르퀴뇨스[br]{{{-1 (2020~)}}}}}}''' || {{{+1 {{{#ffffff ▶ }}} }}} || ''현직'' || ---- [include(틀:리그 1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29c55 '''마르퀴뇨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UEFA 유로파 리그 시즌의 스쿼드|[[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ffffff '''UCL 시즌의 스쿼드'''}}}]]}}} ||<-3>[[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19-20 베스트팀|2019-20]] ·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20-21 베스트팀|2020-21]] || || [[UNFP 올해의 팀|[[파일:1200px-Logo_UNFP.svg.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1C3D; font-size: 0.9em" [[UNFP 올해의 팀|{{{#ffffff '''UNFP 올해의 팀'''}}}]]}}} ||<-3>[[틀:2017-18 UNFP 올해의 팀|2017-18]] · [[틀:2018-19 UNFP 올해의 팀|2018-19]] · [[틀:2020-21 UNFP 올해의 팀|2020-21]] · [[틀:2021-22 UNFP 올해의 팀|2021-22]] || || [[틀:2021 코파 아메리카 베스트 XI|[[파일:Copa_america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DF; font-size: 0.9em" [[틀:2021 코파 아메리카 베스트 XI|{{{#06C '''2021 코파 아메리카'''}}}]]}}} || ||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QUINHOS_23-24.jpg |width=100%]]}}} || ||<-4> '''파리 생제르맹 FC No. 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004170 '''C'''}}}}}} || ||<-4> '''{{{+1 마르키뉴스}}}[br]Marquinhos''' || ||<-2> '''본명''' ||<-2>마르쿠스 아오아스 코헤아[br]Marcos Aoás Corrêa || ||<|2><-2> '''출생''' ||<-2>[[1994년]] [[5월 14일]] ([age(1994-05-14)]세)|| ||<-2>{{{-1 [[브라질]] [[상파울루주]] [[상파울루]]}}}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 ||<-2> '''신체''' ||<-2>[[키(신체)|키]] 183cm / [[체중]] 75kg || ||<-2> '''포지션''' ||<-2>'''[[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2> '''주발''' ||<-2>오른발 || ||<|2><-2> '''등번호'''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대표팀]] || '''4''' || ||[[파리 생제르맹 FC]] || '''5''' || ||<|2> '''소속''' || '''유스''' ||<-2>[[SC 코린치안스]] (2002~2011) || || '''프로''' ||<-2>[[SC 코린치안스]] (2011~2013) [br] → {{{-1 [[AS 로마]] (2012~2013 / ^^임대^^)}}} [br] [[AS 로마]] (2013) [br] '''[[파리 생제르맹 FC]] (2013~ )''' || ||<-2> '''국가대표''' ||<-2>84경기 7골[* 2023년 11월 22일 기준]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2013~ )^^ || ||<-2> '''링크''' ||<-2>[[http://marquinhosm5.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rquinhos_m5, 크기=28)] | [[https://www.instagram.com/marquinhosm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http://www.facebook.com/m5marquinho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4>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후원사''' ||<-2>[[나이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 국적의 [[파리 생제르맹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르퀴뇨스/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11년]] 남미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질의 주장을 맡아서 우승에 공헌하였다. 18세 때 [[2012 런던 올림픽/축구|런던 올림픽]] 예비 명단에 등록되었다. [[2013년]] [[11월 16일]] [[미국]]의 [[마이애미]]에서 열린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온두라스]]와의 친선경기에 출전하면서 A매치에 데뷔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리우 올림픽]] 대표팀으로 선출되어 다른 센터백인 [[호드리구 카이우]]와의 좋은 활약으로 브라질의 올림픽 첫 금메달을 따내는 데 기여했다. 그 후 [[둥가]]와 [[치치(축구인)|치치]]를 거치면서 다비드 루이스를 밀어내고 대표팀의 주전 센터백으로 자리를 잡았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대표팀 명단에도 무난하게 들어갔다. 월드컵 본선에선 노련한 시우바와 [[주앙 미란다]]에 밀려 백업으로 뛰었다. 멕시코와의 16강전에서 80분에 교체 투입되어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다. 2018년 9월 12일 친선경기 엘살바도르전에서 자신의 A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고 팀은 5:0으로 이겼다. 2020년 10월 10일 2022 카타르 월드컵 남미지역예선 조별리그 1차전 볼리비아전에서 자신의 두번째 골을 기록했다. 팀은 5:0으로 이겼다. 2021년 6월 13일, [[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개막전 베네수엘라전에서 선제골을 득점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 크로아티아전 연장 후반 페트코비치의 슈팅을 다리로 막으려다가 골문 구석으로 굴절시켜버려 동점골 실점으로 이어졌으며, 승부차기에서 4번 키커로 나서 부담감을 이기지 못하고 실축하며 브라질의 탈락에 일조해버렸다. [[리바코비치]]의 방향을 속이는데는 성공했지만 슈팅이 골대에 맞고 공이 [[https://m.programs.sbs.co.kr/sports/qatar2022/clip/71548/22000483688|빗나갔다.]] 동점골이 들어갈 때도, 승부차기에 실축할 때도 엎드려서 울며 절망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경기 후, 자신이 프로에 진입한 이래 이번에 처음으로 페널티킥이나 승부차기를 키커로서 차봤다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qatar2022/article/411/0000020256|#]] 하지만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8강|2019 코파아메리카 8강전]]에서 승부차기 2번 키커로 나와 성공한 적이 있다.[[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9293|#]] 그냥 본인이 기억을 못한 것이다. 다만 그렇다고 해도 2001년생의 어린 선수인 [[호드리구(2001)|호드리구]]를 1번 키커로 세워 승부차기에 실패하고 뒷 차례 키커들이 부담가지게 만든 치치 감독의 실책 역시 사실이다. 2023년 3월 부상을 당해 국대에서 하차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yHrsrpLyKn0)] 신장이 큰 센터백은 아니지만,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의 헤더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위치 선점을 탁월하게 가져간 이후, 어마어마한 점프력과 머리를 갖다대는 헤더 스킬을 바탕으로 공중볼을 매우 잘 따낸다. 특히, 세트-피스 상황에서 임펙트 있는 득점을 많이 만들어내는데, 파리의 세트-피스 상황에서 마르퀴뇨스의 헤더를 이용한 득점 시도가 상당히 많다. 1옵션으로서의 직접 득점뿐만 아니라, 그의 헤더로 공을 떨궈주는 플레이도 자주 시도된다. 22-23시즌 챔스에서 최고속도 '''34.2km/h'''를 기록했을 정도로 상당히 빠른 주력을 보유하고 있다. 보통, 최고 속도가 빠른 센터백임에도 거구의 덩치 때문에 혹은 순간 속도나 민첩성이 느려서 약점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르퀴뇨스는 순간적인 가속과 감속도 빠르고 움직임도 민첩해 커버하는 수비 범위가 상당히 넓다. 특히, 빠른 발을 이용해 역습을 차단하는 태클과 최후방에사서의 클리어링이 일품. 최고의 수비수라면 갖추고 있어야 할 완숙한 수비력도 갖추고 있다. 센터백으로 뛰던 초반에는 1대1 대인마크에 집중하느라, 안정감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는데, [[티아구 실바]]라는 2010년대 최고의 센터백 옆에서 활약하면서 수비력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상술한대로, 빠른 발과 위치선정, 수비 판단을 이용한 태클이나 클리어링, 인터셉트는 물론이고 수비라인 조율을 비롯한 전반적인 리딩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등 파리 수비의 중심으로 거듭났다. 여기에 더해, 브라질리언답게 깔끔한 터치와 잘 잡힌 기본기를 가지고 있어 부드러운 빌드업 전개를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패싱력에 있어 두각을 드러내는데, 볼 플레잉 디펜더로서 현재 최고의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짧고 정확하게 건네주는 숏패스는 물론, 정확하게 찔러주는 롱패스의 질도 좋다. 시야도 넓은 선수라 중앙에 위치해 좌우중앙으로 정확하게 공을 배달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여담으로, 수비수 전 포지션을 소화할 뿐만 아니라 3선의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뛰는 등 기본적인 축구에 대한 이해도가 타 선수들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 현재는 [[센터백]] 자리에서 고정적으로 뛰고 있지만, [[토마스 투헬|투헬]]감독 체제에서는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뛰었고, [* 특히, 수비형 미드필더에서는 마르퀴뇨스의 넓은 커버범위와 기동력, 압박을 벗겨낸 후의 볼 배급 능력이 부각되었다.] 브라질 대표팀에서는 팀의 상황 때문에 잠시동안 좌우측 풀백을 가리지 않고 뛰었는데,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리하면, 현대 센터백의 덕목인 주력, 대인 마킹, 공중볼, 태클, 빌드업 전개력, 뛰어난 수비 판단까지 모두 갖춘 파리 수비의 핵심이자 최고전력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SC 코린치안스]] (2011~2012)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2011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2 * [[파리 생제르맹 FC]] (2013~ ) * [[리그 1]]: 2013-14, 2014-15, 2015-16, 2017-18, 2018-19, 2019-20, 2021-22, 2022-23 * [[쿠프 드 프랑스]]: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2020-21 * [[쿠프 드 라 리그]]: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 [[트로페 데 샹피옹]]: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2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코파 아메리카]]: 2019 * 브라질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올림픽]] 금메달: 2016 * 브라질 U-21 축구 국가대표팀 * [[툴롱 토너먼트]]: 2014 * 브라질 U-17 축구 국가대표팀 * 남아메리카 U-17 챔피언십: 2011 === 개인 수상 === * [[코파 아메리카]] 토너먼트의 팀: 2021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9-20, 2020-21 * [[UNFP 올해의 팀|UNFP 리그 1 올해의 팀]]: 2017-18, 2018-19, 2020-21, 2021-22 == 여담 == * 사촌인 모레노도 축구선수였으며 12년 동안 풀백으로 뛰었다. * 2021년 6월, [[라이즈 오브 킹덤즈]] 게임에 빠져 있다. 코파 아메리카 경기시작 5시간 전까지 1846 왕국 소속 대표로, 서버 대항전인 KvK에 참가했다는 후문이 전해진다. 그의 캐릭터를 찾아보고 싶다면 mocote5를 검색해 보자. 과금을 어마어마하게 하고 심지어 광고도 찍었다. * 2022년 6월 한국 대표팀과 친선경기를 위해 5월말 입국했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한국 팬들을 향해 환한 미소로 손을 흔드는 등 훌륭한 팬서비스를 보여주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리그 1 주장)] [include(틀:파리 생제르맹 FC)] [include(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분류:1994년 출생]][[분류:상파울루 출신 인물]][[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포르투갈계 브라질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수비수]][[분류:2011년 데뷔]][[분류:SC 코린치안스/은퇴, 이적]][[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파리 생제르맹 FC/현역]][[분류:브라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브라질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2015 코파 아메리카 칠레 참가 선수]][[분류: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분류: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브라질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2011 FIFA U-17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축구 주장]][[분류:센터백]][[분류:수비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