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 {{{+3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br]{{{-1 [[라틴어]]: Marcus Cocceius Nerva }}} || || '''생몰년도''' ||기원전 80년경 ~ 미상 || || '''출생지''' ||[[로마 공화국]] 이탈리아 움브리아 || || '''사망지''' ||미상 || || '''지위''' ||움브리아 귀족 || || '''국가'''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 '''가족''' ||루키우스 코케이우스 네르바(형제)[br]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아들)[br]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손자)[br][[네르바]](증손자) || || '''참전''' ||[[페루시아 내전]] || || '''직업''' ||[[로마 공화국]] [[집정관]] ||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 '''임기''' || 기원전 36년 || || '''전임''' ||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br][[티투스 스타틸리우스 타우루스]] || || '''동기''' || [[루키우스 겔리우스 포플리콜라]] || || '''후임''' || [[루키우스 노니우스 아스프레나스(기원전 36년 집정관)|루키우스 노니우스 아스프레나스]][br][[퀸투스 마르키우스 크리스푸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의 군인, 정치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부관이었다가 나중에 [[옥타비아누스]]의 부하가 되었다. [[네르바]] 황제의 증조부다. == 생애 == 움브리아 지방에서 유래한 코케이우스 가문의 일원으로, 형제로 루키우스 코케이우스 네르바가 있었다. 두 형제는 기원전 39년 집정관을 역임한 가이우스 코케이우스 발부스와 함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지지했다. 기원전 41년 전직 재무관의 자격으로 안토니우스의 프라에토르(Preetor: 군대 지휘관과 선출직 행정관에게 부여되는 칭호)를 맡았으며, [[페루시아 내전]] 때 안토니우스의 동생인 [[루키우스 안토니우스]]의 부관을 맡았다가 기원전 40년 루키우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의 화해를 주선하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39년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의 뒤를 이어 아시아 속주 총독을 맡았으며, 기원전 36년 안토니우스의 지원에 힘입어 [[루키우스 겔리우스 포플리콜라]]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가 그해 7월 1일에 사임했다. 기원전 31년 [[시빌라 예언서]]를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는 퀸데킴비리 사크리스 파키운디스(quindecimviri sacris faciundis)의 일원으로 발탁되었고, 기원전 29년 로마 귀족의 일원으로 편입되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뛰어난 법률가로 상당한 명성을 떨쳤던 [[원로원]] 의원으로, 젊은 시절부터 [[아우구스투스]]의 양자이자 후계자인 [[티베리우스]]의 몇 안 되는 절친한 친구였다. 그는 오랜 세월 티베리우스의 법률 조언가로 활약했고, 21년(또는 22년) 7월에 집정관에 올랐다. 티베리우스가 카프리 섬으로 은둔했을 때 함께 따라갔다가 33년 그곳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손자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역시 원로원 의원을 맡으면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기 때문에 [[칼리굴라]] 집권 시절에 집정관을 역임했다. 증손자 [[네르바]]는 [[베스파시아누스]]와 친하게 지냈고, 베스파시아누스가 이룩한 [[플라비우스 왕조]]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도미티아누스]]와 공동으로 집정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러다 96년 9월 18일 [[도미티아누스 암살 사건]]이 발생한 뒤 황위에 올랐다. [[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움브리아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