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c3231, #e2ce4b, #f0f0b2)" '''{{{#!html마돌체}}}'''}}}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dolche Promenade.png|width=100%]][br] ,,[[마돌체#마돌체 프롬나드|{{{#FAD046 마돌체 프롬나드}}}]],,}}}|| || '''{{{#!html한국어판 명칭}}}''' ||<-5> '''마돌체''' || || '''{{{#!html일어판 명칭}}}''' ||<-5> '''マドルチェ''' || || '''{{{#!html영어판 명칭}}}''' ||<-5> '''Madolche'''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2> [[야수족]][br][[전사족]][br][[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br][[천사족]] ||<-2> 효과[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 상세 == 과자 세계(お菓子な世界)에 사는 주민들. [[V점프]]의 설명에 따르면 '''파괴되어도 덱으로 돌아오는, 상냥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달콤한 몬스터군'''. '마돌체'란 명칭은 [[마도]]+[[이탈리아어]]로 '달콤한'을 뜻하는 'dolce'. 마돌체 카드의 이름들 역시 대부분 직업이나 지위+디저트 이름을 합친 [[언어유희]]다. 몬스터 카드들의 몸에 그어진 재봉선, 카운터 함정 카드 마돌체 나이츠의 "마도인형의 밤" 이라고 쓰고 마돌체 나이츠라고 읽는 방식과 봉제 인형들이 모여 있는 모습을 보면 본래 모습은 [[인형]]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시크릿 팩 '사랑받는 인형들'에서 나오고, 설명에서도 귀여운 인형들의 집합이라고 한다. 과자 세계(お菓子な世界) 또한 이상한 세계(おかしな世界)와 동음이의어고, 몬스터들이 서 있는 발판은 과자로 만든 직소 퍼즐 모양이다. 모든 카드의 일러스트가 꽤 귀여운 편이다. [[미연시]]나 2차 창작에서 흔히 보이는 [[모에]]계 그림체가 아닌 [[SD]]풍으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파스텔]] 톤 일러스트와는 좀 다르다.[* 이쪽은 [[메르피]] 덱의 일러스트에 볼 수 있다.] 카드군 몬스터 구성이 레벨 3의 야수족, 레벨 4의 마법사족과 전사족, 그리고 마돌체 티켓의 강화 버전 효과 조건을 만족하는 천사족 몬스터들로 이뤄져 있다. 메인 몬스터들은 상대 카드에 의해 파괴되면 묘지로 보내지자마자 바로 덱으로 되돌아가는 강제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마법/함정/일부 몬스터들까지 마돌체 몬스터가 패나 덱으로 되돌아갈 경우 발동하거나 이에 관련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 성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c3231, #e2ce4b, #f0f0b2)" '''{{{#732937 "마돌체" 몬스터의 공통 효과}}}'''}}}|| ||{{{#gray [강제·유발 효과]}}}[br]ⓝ: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과거_텍스트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c3231, #e2ce4b, #f0f0b2)" '''{{{#732937 "마돌체" 몬스터 효과 비교}}}'''}}}|| || {{{#!folding [ 보기 ] ||
카드명 || 레벨 || 종족 || 고유 효과 || || 마돌체 밀피야 || 3 || 야수족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마돌체 메이플 || 3 || 야수족 ||{{{#gray [턴 제약·임의·기동 효과]}}}[br]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마돌체"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2장의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하고, 다음 상대 턴의 종료시까지, 선택한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 || 마돌체 크로완상 || 3 || 야수족 ||{{{#gray [턴 제약·임의·기동 효과]}}}[br]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마돌체" 카드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카드를 패로 되돌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리고, 공격력을 300 포인트 올린다. || || 마돌체 훗케이크 || 3 || 야수족 ||{{{#gray [턴 제약·임의·기동 효과]}}}[br]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하고, 덱에서 "이 카드명"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마돌체 표콜렛 || 3 || 야수족 ||{{{#gray [턴 제약·임의·유발 효과]}}}[br]1턴에 1번,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의 "마돌체" 몬스터의 표시 형식이 변경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앞면 수비 표시로 하여, 그 몬스터가 "마돌체" 몬스터 이외였을 경우, 그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 ||<-4><#FAD046> || || 마돌체 마죠레느 || 4 || 마법사족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에 패에 넣는다. || || 마돌체 바트라스크 || 4 || 마법사족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 마돌체 마멀메이드 || 4 || 마법사족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마돌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패에 넣는다. || || 마돌체 메신젤라또 || 4 || 전사족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돌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자신 필드에 야수족인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 || 마돌체 슈바리에 || 4 || 전사족 ||{{{#gray [지속 효과]}}}[br]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이 카드명"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를 상대는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 ||<-4><#FAD046> || || [[마돌체 엔젤리]] || 4 || 천사족 ||{{{#gray [턴 제약·임의·기동 효과]}}}[br]1턴에 1번,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다음 자신 턴의 엔드 페이즈에 주인의 덱으로 되돌아간다. || ||<|2> 마돌체 푸팅세스루 ||<|2> 4 ||<|2> 천사족 ||{{{#gray [턴 제약·임의·기동 효과]}}}[br]1턴에 1번, 자신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 ||{{{#gray [턴 제약·임의·유발 효과]}}}[br]1턴에 1번,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이 카드명"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몬스터의 레벨은 1개 내려간다. 이 턴에, 자신은 "마돌체"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2> [[마돌체 푸딩세스]] ||<|2> 5 ||<|2> 천사족 ||{{{#gray [지속 효과]}}}[br]자신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800 올린다. || ||{{{#gray [임의·유발 효과]}}}[br]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카드를 파괴한다. || ||<-4><#FAD046> ||}}} || 8기 카드군이지만 끊임없이 지원을 받아 현재는 10기 카드군과도 붙어 볼 만큼 성장했다. 전체적인 운영 방식도 [[샐러맨그레이트]]와 비슷하게 퍼미션 함정 카드 프롬나드를 우려먹고, 글라스플레로 묘지를 견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여기에 기존에 있던 [[퀸마돌체 티아라미스]]로 상대 필드를 아작내고 원턴킬을 따내는 방식. 그러니까 샐러맨그레이트에서 묘지 견제와 화력 강화를 붙인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 장점 === * '''적은 카드로 시작되는 전개와 적은 자원 소모''' [[마돌체 푸팅세스루]] 지원 이후로 소위 '원 핸드 전개'가 가능해지며 생긴 마돌체의 강력한 장점. 패에 마죠레느, 엔젤리, 푸팅세스루 중 한 장만 잡으면 추가적인 패 소모 없이 필드에 최소 샤토와 살롱, 프롬나드, 글라스플레, 시스타르트를 꺼내놓을 수 있다. 또한 마돌체의 운용은 덱(패)→필드→묘지→다시 덱(패)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개 과정 및 효과 사용 시 패나 덱으로 사용한 자원을 다시 되돌리므로 전개형 덱임에도 불구하고 덱과 엑스트라 덱의 자원 소모가 덜하다. 때문에 게임이 길어지더라도 상대에게 카드가 제외당하지 않는 한 덱에 자원이 부족하여 전개하지 못하는 상황을 잘 겪지 않아 장기전에 강하고 [[스몰 월드]]나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등 미래 자원을 소모하는 강력한 서치 카드를 활용하는데 큰 부담이 없다. * '''다수의 파워 카드 채용 및 묘지 자원 재활용''' 전개 결과물의 퍼미션과 제거 능력이 부족한 대신 전개에 자원이 적게 드는 점을 역이용하여, [[패 트랩]]이나 강한 마법, 함정 카드를 덱에 다수 투입할 수 있다. 선공에 이러한 파워 카드를 십분 활용하여 후공인 상대방이 집을 제대로 짓지 못한 채로 턴을 넘겨받는 것이 마돌체 선공 빌드의 기본 운용법으로,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덱에 채용되는 [[패 트랩]]을 비롯하여 천사족이 다수 채용되는 것을 이용한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신의 통고]], [[신의 심판]]같은 강력한 카운터 함정, 상대의 내성을 돌파하기 위한 [[파괴수]][* 주로 열풍의 결계상을 뚫을 수 있고 [[증식의 G]]와의 연계로 [[스몰 월드]] 활용에 용이한 괴분파괴수 가다라가 사용된다.] 등이 주로 채용된다. 이 중 몬스터 카드의 경우 티처마돌체 글라스플레와 샤토의 연계로 매 턴 묘지에서 사용한 카드를 패로 퍼올릴 수 있어 보다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1턴에 1번 사용 제약이 없는 패 트랩인 [[버디클]]이나 [[이펙트 뵐러]]와의 연계가 강력하다. * '''강력한 돌파력과 자원 회수력을 활용한 끝내기''' 위와 같이 첫 턴에 집을 짓고, 두 번째 턴에 상대의 전개를 방해하며 강력한 빌드를 구축하지 못하게 한 뒤, 상대 턴에 살롱의 효과로 추가 세트한 프롬나드나 [[퀸마돌체 티아라미스]]가 가진 최상급 돌파력, 마돌체의 우수한 전개력을 다시 활용해 승기를 굳히는 것이 선공 마돌체 덱의 승리플랜이 된다. 티아라미스가 가진 비대상 덱 바운스는 상대방의 대상 내성, 파괴 내성 및 필드를 벗어날 때 발동하는 효과도 무시하며, 몬스터 뿐만 아니라 마법과 함정 카드도 가리지 않는다. 효과를 발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원 회수 또한 이루어지므로 돌파 이후 다시 전개하여 비트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 단점 === * '''패트랩에 매우 취약함''' 현재 환경에서 확립된 마돌체의 전개 과정은 다른 전개형 덱과 유사하게 필연적으로 덱에서의 서치, 묘지 자원의 덱 회수, 묘지의 몬스터 카드 제외, 그리고 많은 특수 소환을 동반하며, 필드에 내놓은 하나의 카드가 다른 카드를 부르고 그 다른 카드가 또다른 카드를 부르는 일직선 전개 루트를 갖는다. 때문에 전개 과정에서 '''한 번이라도 방해를 받으면, 그 이후 모든 과정이 틀어막힌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상위 티어의 카드군은 한 번쯤 맞더라도 우회 가능한 [[무한포영]], [[이펙트 뵐러]],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한 장에도 눈물을 머금고 전개를 멈추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량의 특수 소환을 카운터하는 [[증식의 G]]와 [[원시생명체 니비루]], 묘지 자원 활용 및 제외를 막는 [[저택 와라시]]와 [[아티팩트-롱기누스]], 서치를 틀어막는 [[드롤 & 로크 버드]], 대부분의 덱을 강하게 카운터하는 [[디멘션 어트랙터]] 등, 사실상 11기 환경권의 범용 패 트랩 중 어떤 것에 맞아도 치명적인 유리몸 전개 루트를 가지고 있다(...). [[무덤의 지명자]]나 [[말살의 지명자]] 등으로 잘 막지 못하면 그대로 전개가 끊기고 서렌이 나오기 십상이다. * '''약한 퍼미션과 그로 인한 떨어지는 안정성''' 마돌체 카드군 내에도 상대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는 다양한 함정 카드가 있으나, 다소 활용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환경에서 상대 턴에 마돌체 테마 내에서 자체적으로 저항 가능한 카드는 글라스플레의 묘지 바운스 및 프롬나드의 무효화 한 번 뿐이다. 때문에 전개용 카드 외에 저항 가능한 파워 카드가 추가로 안 잡히면 전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에게 쉽사리 돌파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 '''까다로운 용병 투입''' 푸팅세스루 출시 이후 마돌체의 전개에는 필수적으로 푸팅세스루를 사용하는데, 푸팅세스루의 자체 제약 때문에 후공이든 선공이든 푸팅세스루를 특수 소환한 이후 마돌체의 전개는 마돌체 카드로만 굴릴 수 밖에 없다. 이때문에 용병 투입이 매우 힘든 편이며 투입하더라도 푸팅세스루 사용 전 돌파에 사용되는 [[파괴수]]나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엑스트라 덱의 범용 용병들로 제한된다. 따라서 다채로운 플레이를 하기 힘들며 승리플랜이 한정되어 있기에 숙련도가 높은 상대에게 잘 간파당하는 편이다. * '''어려운 패 트랩 활용과 한정적인 후공 플랜''' 마돌체의 전개의 시작은 푸팅세스루를 특수 소환하는 것인데, 초동 전개 요원으로 사용되는 몬스터 중 하나인 마죠레느는 일반 소환 후 푸팅세스루를 서치하기 때문에 결국 엔젤리를 제외한 마돌체 파츠로의 전개는 푸팅세스루의 2번 효과인 '''자신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패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시작한다. 그런데 상대 턴에 몬스터 [[패 트랩]]을 사용해버리면 묘지에 몬스터가 쌓이기 때문에, 기껏 [[자승자박|선공 상대방의 전개를 패 트랩으로 잘 방해했더라도 묘지에 있는 내 몬스터 때문에 넘겨받은 내 턴에 전개를 시작할 수가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때문에 후공 마돌체의 패 트랩 투입과 사용은 상대방의 덱 타입과 자신의 패 상황을 고려하여, 발동 타이밍을 조절하는 신중함이 요구된다. [[봄화정]]이 출시된 이후, 묘지에 카드가 있어도 푸팅세스루를 특수 소환 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겨 조금 완화되었다. == 역사 == === [[프라이멀 오리진]] 이전 === 핵심 카드인 [[희생의 제물]]이 금지, 서포트 카드도 부족했다. 2012년 6월까진 마죠레느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제거 마돌체가 쓸만한 편이었다. 그러다 모 한국 유저가 '스맛돌체'라는, 묘지와 티아라미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형태의 마돌체 덱을 선보였고, 이후 TG 마돌체로 발전하게 된다. 묘지 자원을 쌓으면 "안 된다"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묘지에 카드가 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건 푸딩세스의 공격력 하락과 티브레이크, 나이츠의 발동 조건뿐이며 오히려 마돌체가 묘지에 어느 정도 있어야 마돌체 티켓+마돌체 샤토를 통한 서치, 마돌체 매너와 퀸마돌체 티아라미스의 효과 발동 등이 쉬워진다. 마돌체 푸딩세스를 쓰지 않는다면 묘지에 카드를 잔뜩 쌓아도 무방하다는 소리. 묘지로 보내기 힘든 마돌체들을 싱크로와 엑시즈 소재로 적절히 묘지에 쌓아주는 것이 중요한 이유. 다만 마돌체 푸딩세스와 마돌체 티브레이크, 마돌체 나이츠를 활용하겠다면 낮은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리크루트]] 몬스터를 채용하긴 힘들다. 마돌체 이외의 몬스터가 묘지에 본재하면 치울 방법이 마돌체 매너 정도밖에는 없기 때문. 그리고 몬스터 효과 무효가 아닌 이상 엑시즈 몬스터인 [[퀸마돌체 티아라미스]] 외엔 모든 마돌체 전원이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묘지로 절대로 가지 않으므로, 내 쪽에서 묘지로 쌓이게 하기보단 패로 모이게 하는 게 더 쉽다. 정리하면 순수 마돌체 덱으로 갈 경우, 2가지의 플레이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마돌체의 특징을 이용해 묘지에 몬스터가 쌓이지 않을 경우 효과가 더욱 돋보이는 마돌체 푸딩세스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 반대로 묘지에 몬스터를 쌓아서 마돌체 매너와 샤토, 티켓을 이용하며 싱크로, 엑시즈 소환을 응용하는 플레이. 물론 두 플레이 스타일을 전부 섞어 쓸 수도 있다. 전개력이 좋은 대신 그 전개에 덱 자리를 굉장히 많이 잡아먹는 관계로 상대에 대한 견제 카드를 넣기가 많이 어려워지지만, 티아리미스의 효과가 워낙 강력해 상대의 견제에 끊기지만 않으면 전개된 상대 필드를 밀어버릴 수 있기에 견제 카드의 부재를 어느 정도 채워주기는 한다. 거기다 비마돌체 보조 카드를 어떤 걸 넣느냐에 따라 땅 속성 카드군의 특성을 살려 강력한 [[나츄르]] 싱크로 몬스터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스타일이 될 경우 엑시즈와 싱크로를 자주 하므로 묘지에 몬스터를 남기지 않는 마돌체의 특성과 더불어 묘지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 발동할 수 있는 마돌체의 서포트 카드의 사용이 상당히 힘들어지며, 이는 곧 코나미가 마돌체 카드군에 부여한 컨셉 자체를 살리는 플레이는 꽤 무리라고 볼 수 있다. [[덱 파괴]] 계열 덱과 겨루면 뭐라 말할 수 없는 처절한 괴악감을 맛볼 수 있다. === [[프라이멀 오리진]] 이후 ===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마돌체 엔젤리]]의 등장으로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출신 중 가장 완벽하게 출세한 카드군이 되었다.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군이 티어가 된 거의 최초의 사례이자, [[검투수|고진감래를]] [[머시너즈|제대로]] [[여섯 무사|보여준]] 카드군.[* 사실 검투수와 여섯 무사는 과거에도 강했고, 머시너즈는 티어 덱이라 할 만큼 셌던 적은 없으니 개그 덱에 가까운 재미 덱이 이만큼 세진 것은 [[태엽(유희왕)|태엽]] 이후로 최초 수준이다.] 스스로 묘지 자원을 쌓으면서 전투 내성을 부여받은 마돌체를 덱에서 바로 불러오는 효과는 전에 발매된 훗케이크와의 연계로 어마어마한 어드밴티지를 불러왔고, 이로 인해 1군에 군림하는 원 턴 덱이 됐다. 사실 이 점이 마돌체가 강해진 가장 큰 이유인데, 이때까지 마돌체가 약했던 이유는 티아라미스가 세지만 정작 그 티아라미스를 활용할 수 있는 전개력과 묘지 쌓기가 어려웠던 점에 있었다. 그래서 스맛돌체니, TG 마돌체니 하면서 묘지를 쌓기 위해 온갖 [[똥꼬쇼]]를 벌여야 했지만, [[마도서의 신판|이 모든 것이 엔젤리의 출시로 보완되니]] 제대로 포텐이 터져 나왔던 것. 샤토와 티켓, 티아라미스 등의 정신 나간 어드밴티지 확보 능력 덕에 과거부터 잠재력은 있었으며, 엔젤리 발매 전에도 훗케이크 + 메신젤라토를 이용한 하급 전개 후 다굴이라는 폭발력도 있었는데 엔젤리의 발매로 전개력에 부스터가 붙은 것. 준비 없이 원턴에 6000이 넘는 체력을 깎아버리는 그 괴력은 당해봐야 알 수 있다. 그야말로 환골탈태. 그러나 타점 싸움에선 밀리는지라, [[브레이크스루 스킬]] 등으로 티아라미스의 효과가 끊기면 3000 라인 몬스터조차 돌파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 어드밴티지 벌이에 특화된 덱인 만큼 콤보가 끊기면 판을 뒤집는 능력이 부족하다.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 [[오파츠(유희왕)|오파츠]] 등과 견주는 하급 비트라는 위용을 보여주며 못해도 1.5군으로 군림했다.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발매 이후에는 [[섀도르]], [[룡성]], [[테라나이트]] 등의 신카드군이 대회를 평정한 영향으로, [[정룡]]이나 오파츠 등과 함께 우승에서 밀려났지만 [[벨즈]] 급으로 메타 덱에서 밀려나진 않았다. 간간히 우승 소식이 올라온 정도. 2014년 5월 25일 기준 순위에선 [[아티팩트(유희왕)|AF]][[오파츠(유희왕)|오파츠]]/[[섀도르]]/'''[[푸른 눈|백룡]][[정룡]]''' 다음의 1.5군~2군의 탑으로 군림했다. 아래에서 [[기아기아]]나 [[테라나이트]] 등이 치고 올라왔으며, [[섀도르]]의 등극으로 인해 미도라시와 네피림을 처리하기 위한 타점이 부각돼 '''[[정룡]]'''이 도로 부활하기 시작한 환경하의 '''타점 부족'''이 너무나도 큰 단점인 마돌체는 더 이상 치고 올라가기 힘들어졌지만, [[금지된 성창]]이나 [[달의 서]] 같은 범용 메타 카드들과 재활용과 서치가 용이한 타점 증폭용 카드인 매너, 크로완상 등으로 타점 문제에 대처하면서 여전히 이상할 정도로 높은 순위를 유지했다. 입상에도 간간히 들었고, 잊힐 만 하면 우승했지만, 유희왕이 늘 그랬듯이 [[테라나이트]]와 [[섀도르]]라는 밸런스 붕괴 테마 때문에 다른 티어 덱들과 함께 묻혔다. 우승 횟수가 5번을 못 넘는 덱이 넘쳐날 정도였다. 어찌 보면 코나미의 장난처럼 나온 카드군이었지만, 코나미의 지원을 받아 한순간에 정상에 서봤다가, 지금은 적당히 굴려볼 만한 카드군들 중 하나다. 2017년 환경에선 [[프레데터 플랜츠]]를 이용해 [[브릴리언트 퓨전]]을 서치하고 젬나이트 세라피를 소환해 일반 소환을 추가로 실행해 신속한 엑시즈 소환으로 전개하는 방식으로 연명했다. 일명 "식물 마돌체". 엑스트라 덱에 의존하는 마돌체인 이상 [[링크 소환]]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였으나 [[미리스 레디언트|미세스 레디언트]]와 프레시마돌체 시스타르트 덕분에 그 부분은 비교적 원활하게 해결됐다. 2018년에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푸팅세스루가 등장해 기존 전개 루트에 탄력을 받았다. 여기에 푸팅세스루의 후속 디메리트 효과 때문에 대부분의 용병이 빠져 본격적으로 순수 마돌체로 굴러가기 시작했다. 2019년 1월에 [[M.X-세이버 인보커]]가 금지되면서 피해를 입었다.[* 사실 푸팅세스루의 제약 때문에 인보커도 잘 안 쓰인 지 오래다. 다만 금제 변경으로 밀피야가 빠지는 정도의 덱 조정은 있었다.] 대신 [[다크 네오스톰]]에서 부족한 견제 능력을 보충해 주고 능동적으로 묘지 어드벤티지를 벌어 초동을 원활히 하는 새 엑시즈 몬스터 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를 받았다. 2020년 1월 [[이터니티 코드]]에서 강력한 지속 마법 살롱과 일반 함정 프롬나드를 받았다. [[바르바로스]] 등 스트럭처 투표 후보에 있던 카드들이 지원을 속속들이 받은 걸로 보아, 마돌체가 투표에서 우승했다면 [[스트럭처 덱]]에 수록되었을 카드들이 메인 부스터 팩에서 발매된 듯하다. 프롬나드로 견제력을 보충하고 살롱으로 '''덱에서 세트'''+추가 일소권을 얻어서 처음으로 우라라에 안 맞는 카드가 생겼다. 반응은 매우 좋으며 4월에 바뀌는 마스터즈 룰에 힘입어 더욱 고평가받을 가능성이 생겼다. 하지만 4월 금지/제한에서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가 무제한이 되면서 간접적으로 타격을 받았다. 11기 환경의 마돌체는 간간히 [[https://twitter.com/dolche8125/status/1286235219255853056?s=19|입상/우승하면서]] 티어 파이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운영과 전개 양쪽 다 가능한 덱이기 때문에 패 트랩 직격만 아니면 안정적으로 퍼미션을 날리면서 킬각을 잡기 때문. 어쩌면 엔젤리 추가 이후 오랜만에 맞은 전성기라고 할 수 있겠다. 2020년 10월 금제에서도 별 차이는 없다. 다만 [[무덤의 지명자]]가 준제한이 되면서 선공 패 트랩 대처율이 떨어졌다. 그나마 후공에서는 엔젤리/훗케이크 체인에 무명자를 맞고 멈추는 사고가 조금 줄어들었지만 패 트랩 견제에 취약한 마돌체 입장에서는 손해. 그래도 [[블레이징 보텍스]]에서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라는 새로운 항아리를 얻어 또 상향을 받았다. 2장 뽑는 [[욕졸]]과 달리 무려 6장까지 위에서 넘기고 원하는 카드 1장을 가져오는 효과가 패 1장만으로도 우주 창조 빌드를 완성하는 마돌체와 궁합이 좋아 엄청난 상향이라고 볼 수 있다. 2022년 1월 [[말살의 지명자]]가 제한으로 오르면서 안 그래도 떨어진 패 트랩 대처율이 더 떨어졌다. 마돌체가 패 트랩 견제에 굉장히 취약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적지 않은 너프를 받은 상황이며 상대의 견제 여부에 따라 나뉘는 덱 전개 속도가 더 극명히 부각된 셈. 2022년 6월에는 [[이시즈 티아라멘츠]]덱이 떠오름에 따라 테마 내 주요 카드들이 이시즈 파츠들과 호환이 가능해 실제로 이시즈 티아라 파츠를 투입한 마돌체 덱이 4위로 입상하는 결과를 보였다. 같은 팩에서 땅속성 지원인 [[봄화정]]도 나와서 간만의 희소식이다. 그러나 결국 이로 인해 이시즈 파츠의 과도한 강력함을 경계한 2022년 10월 제재를 마돌체가 피해가지 못했다. 이시즈 파츠는 물론이요, '''[[버밀리온 디클레어러]]'''가 제한이 되어 타격을 입었다. 2022년 10월 금제 이후, 티아라멘츠의 연구가 많이 진행된 끝에 티아라멘츠와의 궁합이 꽤나 좋아서 그런지 티아라멘츠, 봄화정, 이시즈 파츠까지 전부 섞은 60마돌체가 소수 입상하고 있으며[* 60장을 꽉 메우진 않고 54~55장 정도로 채우며 [[이웃집 잔디깎기]]를사용해 밀어버리고 전개하는 방식이다.]실제로 2022년 4월, 12월 태양 CS에 준우승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티아라멘츠의 강세 때문인지 티아라멘츠의 모든 주요 카드들과 이시즈 파츠 전체가 제한을 먹게 되어 다시 봄화정으로 돌아가게 됐다. === TCG 텍스트 문제 === 텍스트가 [[스크랩 드래곤]] 계열과 비슷해 신의 경고, 신의 심판에 소환이 무효화되어 파괴되면 덱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TCG에선 "자신이 컨트롤하는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라는 웃지 못할 번역 때문에 확실하게 소환이 무효화되면 효과 발동이 불가능하게 됐다. 2012년 10월, 미국 텍스트는 심판/경고를 맞을 경우 되돌아가지 않고, 일판 텍스트는 심판/경고를 맞을 경우 되돌아간다고 코나미에서 정식으로 응답이 왔다. 언젠가 둘 중 하나로 통합할 것이다. [[어비스 라이징]]에서 나온 TCG 마돌체는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When this card in your possession is destroyed by your opponent's card (either by battle or card effect) and sent to your graveyard: shuffle this card into deck.)'로 돌아간 것을 보면 OCG처럼 [[에라타]]된 듯. === [[유희왕 듀얼링크스]] === 18년 7월 9일 BURNING NOVA, 19년 3월 12일 DIMENSION OF THE WIZARDS 이후 23년 2월 1일 LORD OF BORREL에서 에이스 지원이 들어왔다. 23년 1월 말 트레이더 카드에 마돌체 푸팅세스루가 제한 1로 추가되었으며 글래스플레, 쇼 코 아라 모드, 티아라미스가 미니팩에 수록되었다. 다만 시스타르트는 링크환경이 됐어도 출시가 되지 않아 아쉬우나, 드디어 덱 다운 덱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메신젤라또가 패에 잡히면 문제가 심각해 스위처루, 래버런스 빌더 스킬을 사용하는데, 한술 더 떠서 아예 [[요술망치]]를 사용하기까지 이르렀다. 메신젤라또와 훗케이크를 뺀 마돌체 주요 파츠 + 싸이크론, 달의 서 등 필수 카드들을 다수 채용한 덱이 등장하기도 했다. 덱 자체는 높은 티어에 속한 것이 아니나 상대 전개를 방해하는 깔짝형 파츠가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 많이 짜증난다. 그러나 보통 함떡 빌드와 달리 마법카드를 주요 채용한다. 이후 푸팅세스루는 23년 9월에 2제로 완화, 23년 11월에 완전 해제되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메인 덱에 들어가는 주력 몬스터들이 전부 SR인데다가, 엑시즈 몬스터는 전부 UR이라는 점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은 비싼 덱 중 하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3 === ==== 마돌체 밀피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5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밀피야,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ミィルフィーヤ, 영어판명칭=Madolche Mewfeuille,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500, 수비력=30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강력한 특소 요원. 당연히 1순위로는 패에 잡힌 엔젤리나 자체 특소가 불가능한 상태의 푸팅세스루, 그 외에는 묘지에 몬스터가 있을 경우 훗케이크를 특수 소환한다. 특히 메신젤라토랑 궁합이 좋은데 패에 잡혀 에물단지가 된 메신젤라토를 처리할 수단도 되어줄 수 있어 굉장히 도움이 되고 야수족 마돌체 몬스터라서 효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현재는 랭크 3 엑시즈를 안 쓰고 시스타르트 이외에는 사실상 필드에서 처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안타깝지만 채용되지 않는다. 밀피야까지 가지 않아도 엔젤리, 푸팅세스루 선에서 충분히 게임을 풀어나갈 수 있는 것도 있고. 이름의 유래는 [[밀푀유]] + 일본어로 [[고양이]] 울음소리 '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3]] || AE05-KR005 || [[슈퍼 레어]] || 한국 ||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메이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5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메이플,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メェプル, 영어판명칭=Madolche Baaple,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0, 수비력=18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에 보냈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2장의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하고\, 다음 상대 턴의 종료시까지\, 선택한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 본래의 수비력 1800도 하급 방어 몬스터치곤 나쁘지 않은 편인 데다, 샤토 아래서 수비력 2300이 되는 강력한 벽 카드. 공격 표시로 소환 후 상대 몬스터와 자기 자신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게 주요 전법이다. 표시 형식 변경을 막는 효과로 상대의 공격을 지연시키거나 공격력이 낮은 마돌체의 비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공격력에 비해 수비력이 낮은 상급 카드들을 수비 표시로 돌린 후 푸딩세스로 공격하면 푸딩세스의 파괴 효과 발동도 쉬워진다. 하지만 위 효과만으로는 크게 이득이 되려면 상대 몬스터를 수비로 돌린 후 공격해 파괴할 경우의 얘기고, [[퀸마돌체 티아라미스]]를 적극 활용할 경우 수비고 뭐고 다 바운스하고 비어있는 필드를 때리는 경우가 많아 하급끼리의 초반 싸움 외엔 활용하기 힘들다. 효과 발동이나 릴리스 / 특수 소환의 소재로는 그대로 쓸 수 있다는 것도 문제다. 이름의 유래는 [[양(동물)|양]] 울음소리 '메~' + [[메이플 시럽]].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War of the Giants Reinforcements || WGRT-EN049 || [[슈퍼 레어]] || 미국 || || || War of the Giants: Round 2 || BPW2-EN049 || [[슈퍼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 BP03-EN097 || [[노멀]][br][[패러렐 레어|섀터포일 레어]] || 미국 || || ==== 마돌체 크로완상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13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크로완상,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クロワンサン, 영어판명칭=Madolche Cruffssant,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500, 수비력=12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또한\,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카드를 패로 되돌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리고\, 공격력을 300 포인트 올린다., )] 일반 소환 시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를 패로 올려서 우려먹을 수 있다. 그러나 우려먹는 능력만 보면 추가 소환권이 필요 없고 알아서 제외까지 되는 [[A·제넥스 버드맨]]이 있다는 게 문제. 이쪽을 쓴다면 자신이 마돌체라는 점과 우려먹기 효과를 쓰면 레벨이 4가 되어 티아라미스의 엑시즈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 샤토 아래에서는 효과 사용 시 레벨 3 주제에 타점이 2300이나 된다는 점 등으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 마돌체를 재활용했을 때의 공격력도 이쪽이 우위다. 버드맨은 1400 그대로지만 이쪽은 1800의 어태커가 된다. 물론 버드맨을 사용할 경우 싱크로 소환으로 쌓인 묘지를 티아라미스의 탄창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 소환권이 매우 중요한 마돌체의 특성상 전개 시 필드의 몬스터를 올리기 아까울 때가 있는데, 마돌체 티켓을 퍼 올리고 다시 발동하면 아무 변화 없이 강아지가 지옥견이 된다. 티켓의 서치 효과 발동 조건이 필드에서 패로 올렸을 때도 가능하므로 급할 땐 티켓을 빼고 아무 마돌체나 패로 올려 필요한 마돌체를 서치할 수도 있다. 패에 티켓 2장에 크로완상이 잡혔다면 티켓 2장을 다 발동하고 크로완상을 소환해 티켓 1장으로 올려서 남은 티켓의 효과로 몬스터를 서치하는 것도 가능. 필요하다면 샤토를 올리고 다시 사용해 원하는 타이밍에 묘지 클린을 시전할 수도 있다. 푸딩세스 위주라면 모를까 티아라미스나 훗케이크의 효과 발동 조건상 막 쓰기는 어렵고, 마돌체 천사와 티켓이 있을 때 특소 용도 등. 대신 주의점으로 시스타르트의 효과가 적용중일 경우 자신도 마돌체 마법/함정 카드를 대상으로 할 수 없어 크로완상이 앞면 표시의 샤토/티켓/샬롱을 바운스시킬 수 없으므로 효과 발동 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파일:attachment/마돌체/Cruffsupersant.png]] 레벨 20에 공격력 6600의 [[에픽 레벨]] [[Shibe doge|멍뭉이]]의 위엄. 또한 효과가 언제까지 적용된다는 명시가 없으므로 한번 올린 건 필드에 남아 있는 한 지속된다. 이를 이용해 이론상 턴마다 효과를 발동하면 레벨 10도 넘길 수 있고 타점도 4000은 족히 넘어가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패로 올리는 효과를 잘 이용하면 훗케이크 등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카드들을 이용해 전개에 필요한 파츠를 덱에서 특수 소환하고 크로완상의 효과로 패로 올려버려 다음 턴 전개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어쨌든 채용 가치가 없는 다른 마돌체 카드들과는 달리 가끔 쓰인다는 점에 의의를 두자. 이름의 유래는 [[크루아상]] + [[강아지]]. 일본어로 '완상'은 '멍멍이' 정도의 의미가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ABYR-KR02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JP02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EN02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훗케이크 ==== [[파일:マドルチェ・ホーットケーキ.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훗케이크,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ホーットケーキ, 영어판명칭=Madolche Hootcake,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500, 수비력=1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하고\, 덱에서 "마돌체 훗케이크"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 덱에서 마돌체를 소환하게 해 주는 카드 1번. 상황에 따라 엔젤리, 메신젤라토, 푸팅세스루 등 다양한 카드를 뽑아 추가 전개로 이어갈 수 있다.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하는 효과[* 코스트가 아니다. 따라서 무덤의 지명자로 제외할 카드를 치우면 불발나고, 훗케이크의 효과가 무효로 되면 제외할 수 없다.]는 몬스터 외에 아무 제약이 없어 상대 턴에 던져놓은 패 트랩을 제외해도 된다. 별로 어렵지 않은 코스트로 덱에서 아무 제약 없이 특수 소환하는 강력한 효과. 다만 카드명 제약이 있어서 훗케이크가 여럿 있어도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선공에 이 카드가 잡혔다면 아무 때나 던질 수 있는 [[증식의 G]]를 던져놓고 훗케이크로 제외하면서 전개할 수도 있다만, 그렇게 쓰기에는 아까운 데다 결국 잡혔을 때 이야기이므로 메신젤라또만큼 심하진 않지만 이 카드도 패 말림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다. 야수족이라 메신젤라또의 조건을 채워주고, 밀피야랑 달리 특수 소환해도 효과를 쓸 수 있는 데다 덱에서 뽑아주기 때문에 밀피야를 밀어내고 채용하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부엉이]] 울음소리의 일본식 표현 '호~옷, 호~옷' + [[팬케이크|핫케이크]]. 북미/한글판은 영어식 표현인 'hoot hoot'을 이용해 번역했다. 지금까지 나온 마돌체 몬스터와 달리 배경이나 배색이 어두운 편. 그래도 귀여운 건 똑같다. 언뜻 보면 수염처럼 보이는 건 사실 코걸이 안경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 LTGY-KR03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JP03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018 Vol.4]] || 18TP-JP408 || [[노멀]] || 일본 ||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EN03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4 Mega-Tin Mega Pack || MP14-EN018 || [[슈퍼 레어]] || 미국 || || ==== 마돌체 표콜렛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8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표콜렛,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ピョコレート, 영어판명칭=Madolche Chickolates,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또한\, 1턴에 1번\,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표시 형식이 변경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앞면 수비 표시로 하여\, 그 몬스터가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였을 경우\, 그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 프로모션 팩에 실린 뜬금 없는 마돌체 추가 카드. 효과를 봤을 때 메이플과의 연계를 고려하고 나온 것 같다. 마돌체 3렙 하급몹의 종류를 보면 전개를 담당하는 밀피야, 훗케이크, 표시 형식에 관련한 메이플, 표콜렛 이렇게 분류가 되는데 문제는 저렇게 표시 형식에 관련해서 딱히 결정타가 보이지 않아 잘 안 쓰이는 카드. 그냥 티아라미스로 치워버리면 그만이기에, 메이플과 더불어 표시 형식 관련 효과가 그리 환영받지 못한다. 이름의 유래는 일본어로 "삐약"을 뜻하는 의성어 피요 + [[초콜릿]].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유희왕/기타 카드 일람|프로모션 팩 2013 Vol.4]] || PR04-KR00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스페셜 카드 프레전트(2013년 3월) || PR03-JP01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점프 페스타 2014 프로모션 팩 || JF14-JP004 || [[노멀]] || 일본 || || || 프로모션 팩 2014-B || PR05-JP002 || [[노멀]] || 일본 ||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EN09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4 Mega-Tin Mega Pack || MP14-EN125 || [[노멀]] || 미국 || || === 레벨 4 === ==== 마돌체 슈바리에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5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슈바리에,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シューバリエ, 영어판명칭=Madolche Chouxvalier,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13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또한\,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마돌체 슈바리에" 이외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상대는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 마돌체의 어태커. 하지만 '마돌체' 중에서 어태커지 다른 테마 덱의 어태커들치곤 공격력이 부족하고 동명 카드 지정형이라서 [[매지션즈 발키리어]] 같은 락도 안 걸린다. 때문에 효과에 대한 활용을 하기보단 전용 필드에서 공격력 2200으로 어떻게든 싸워야 하는 카드. 하급 싸움에서 그럭저럭 우위를 점할 정도는 된다. 단순한 하급 싸움이라면 이 카드 말고도 범용성 있는 고타점 하급들이야 많으나 이쪽의 경우 샤토를 포함한 마돌체의 서포트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마돌체가 특소 루프 위주로 변화하면서 조건부지만 마법 카드를 업어오고 타점도 100밖에 차이 나지 않는 메신젤라토를 채용하는 게 더 이득이기 때문에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카드가 되었다. 근대 기마 장교 같은 격식 있는 차림을 하고 있지만, 마돌체 왈츠에서 공주님에게 잡혀 춤을 추는데 [[매너손|등에 손을 못 대고 있다거나]], 행복페스타에선 크로완상이 자신의 칼을 뺏어 물고 도망가서 허둥대는 등, 허당스러운 모습을 보여줘서 그런지 2차 창작에서는 어딘가 늠름하지 못한 [[헤타레]]로 그려진다. 그렇지만 이런 모습들이 꽤나 귀여워서 남자 마돌체 중에선 가장 인기가 많다. 이름의 유래는 [[슈크림]] + [[슈발리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3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마죠레느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5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마죠레느,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マジョレーヌ, 영어판명칭=Madolche Magileine,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400, 수비력=12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때\, 덱에서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연계 없이 마돌체 카드를 서치하는 유일한 카드. 동일한 포지션인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과 비교하면 특수 소환에는 대응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래도 어느 덱에서나 필요한 서치 효과임에는 변화가 없는 데다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추가된 마돌체 푸팅세스루를 패에 넣으면 묘지에 몬스터 카드가 없는 경우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훌륭한 초동 파츠로 변신한 카드. 초동에서는 강력한 카드지만 단점으로는 첫턴이 지나면 푸팅세스루를 서치해도 묘지에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잉여가 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물론 이때 푸팅세스루 말고 엔젤리나 훗케이크를 서치해와도 되지만 살롱이 없는 상황이라면 그대로 전개가 막혀버리기 때문에 턴이 조금 지나고 나면 이 카드를 활용하는 경우가 낮아지게 된다. 여담이지만 가격이 마돌체 중에서도 상당히 고가이다.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한 통에 한 장이 나올까 말까 한 극악의 봉입률을 지닌 데다가 그후로 재록이 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후술할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와 함께 마돌체 덱 구축 비용을 비싸게 만드는 투탑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마녀]](일본어로 읽으면 '마죠') + [[마들렌]]. 푸딩 공주님과 함께 마돌체 팬 일러스트를 양분한 양대 산맥. 잘 보면 눈의 좌우가 보라색 / 녹색인 [[오드아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바트라스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5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바트라스크,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バトラスク, 영어판명칭=Madolche Butlerusk,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8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덱에서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다른 마돌체 카드가 존재하면 필드 마법을 업어오는 카드. [[어비스 라이징]]에 나온 마돌체 메신젤라또와 비교하면 필드에 존재해야 하는 다른 마돌체 몬스터가 야수족 마돌체에 한정되는 메신젤라토 보다는 조건이 널널하지만, 일반 소환에만 대응하며 서치하는 카드가 필드 마법으로 한정되어 있다. 필드 마법이면 무엇이든 서치할 수 있으나 어차피 마돌체에서 사용하는 필드 마법은 샤토 한 장뿐이라 쓰이지 않는다.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위의 슈바리에와 달리 2차 창작에선 [[하라구로]]로 자주 그려진다. 심지어 [[사디스트]]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름의 유래는 [[집사]](버틀러)+[[러스크]].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마멀메이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13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마멀메이드,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マーマメイド, 영어판명칭=Madolche Marmalmaide,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20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때\, 자신 묘지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패에 넣을 수 있다., )] [[리버스(유희왕)|리버스]] 했을 때 발동하기에 마/함을 건져 오는 데 시간이 좀 걸리지만, 기본 수비력 2000에 샤토 아래선 2500이란 든든한 수비력이니까 벽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뒷면 수비 표시로 둬도 안심이다. 단순히 방어벽으로 쓰려면 메이플 보다는 이 카드가 절대적으로 우위. 효과는 묘지의 마함 회수로, 샤토가 파괴돼도 또 우려먹게 해준다. 하지만 전개엔 딱히 도움이 되질 않고 3렙이 많은 마돌체의 특성상 특수 소환 한 번만 하거나 밀피야가 있다면 단번에 [[발조기뢰 태엽마인]]을 불러올 수 있음을 생각한다면 단순히 벽으로서의 사용은 미묘하다. 게다가 묘지에 쌓인 마함이 [[퀸마돌체 티아라미스]]의 효과를 쓰기 위한 밑거름이 될 수도 있기에... 그래도 단순히 1장만으로 고수비의 벽인 것은 이점. 손에 들고 있는 책엔 '마돌체 매너'라고 적혀있다. 실제로 마돌체 매너에서도 '''손만''' 나온다. 이름의 유래는 [[마멀레이드]] + [[메이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ABYR-KR02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JP02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EN02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메신젤라또 ==== [[파일:マドルチェ・メッセンジェラ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메신젤라또,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メッセンジェラート, 영어판명칭=Madolche Messengelato,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돌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자신 필드에 야수족인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 사실상 바트라스크의 상위 호환. 마돌체가 다른 필드를 쓸 일도 없거니와 마돌체 마/함도 건져 오니 이쪽이 훨씬 낫다. 야수족 조건도 전개 순서상 이 카드가 마지막에 나오기 때문에 종족 변경계 카드를 맞거나 체인해서 훗케이크/밀피야를 치워버리지 않으면 큰 문제는 아니다. 주의할 점은 타이밍을 놓치는 '''~할 때''' 계열 카드라는 것. 잘못하면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필드에 티켓, 야수족 마돌체와 [[마돌체 푸딩세스]]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가 있는 상황. >1. 필드 마법 마돌체 샤토 발동. 효과 처리로 묘지의 마돌체 몬스터가 전부 덱으로 되돌아간다. >2. 티켓의 강제 효과(체인 1), 아 라 모드의 2번 효과(체인 2)가 격발. >3. 체인 처리 시 아 라 모드로 메신젤 1을, 티켓으로 메신젤 2를 특수 소환하면 메신젤 1은 타이밍을 놓쳐서 서치를 못 하고 메신젤 2만 서치 효과 발동. 사실 이는 플레이어의 실력 문제이니 어느 정도 숙련도가 생기면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 예시에서 메신젤 1 대신 엔젤리를 내고 그 후 나오는 메신젤 2의 서치 효과 사용 뒤 엔젤리의 효과로 메신젤 1을 내면 정상적으로 효과 처리가 가능하다.] 비트라스크와 달리 특수 소환에만 대응하기에, 덱에서의 특수 소환이 훨씬 원활한 마돌체 특성상 메신젤라또가 패에 잡히면 특수 소환 수단이 빈약하여 효과 발동이 어렵다. [[https://m.dcinside.com/board/masterduel/1817875|1장만 잡힐 경우에는 전개를 조금 꼬아주면 가능하지만]], 만일 2장이 잡힌다면 묘지에 몬스터가 없는 상태 + 푸팅세스루까지 쥐고 있는 상태 외에는 정상적인 전개가 어려워진다. 최대한 버텨가며 일적 등 패 덤핑카드가 잡히길 바라자. 이름은 메신저(messenger) + [[젤라또]](gelato)의 합성. 손의 편지는 마돌체 티켓의 그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ABYR-KR02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JP027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EN02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1 || LVP1-JP044 || 노멀 || 일본 || 재록 || || [[링크 브레인즈 팩]] 1 || LVP1-KR044 || 노멀 || 한국 || 재록 || ==== [[마돌체 엔젤리]] ==== ==== 마돌체 푸팅세스루 ==== [[파일:マドルチェ・プティンセス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푸팅세스루,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プティンセスール, 영어판명칭=Madolche Petingcessoeur,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천사족, 공격력=14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마돌체 푸팅세스루" 이외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몬스터의 레벨은 1개 내려간다. 이 턴에\, 자신은 "마돌체"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 엔젤리 이후로 긴 세월 동안 시원치 않은 지원만 받았던 마돌체가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드디어 받게 된 강력한 효과들로 무장하고 나온 덱 특소 요원 3. 이 카드 덕분에 그 동안 다양한 용병에 의존하던 마돌체가 드디어 순수 덱으로 제 기능을 하기 시작했으며[* 이 카드가 나오기 전까지는 마돌체 카드 1장만으로 한턴안에 마돌체 엑시즈 몬스터를 뽑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 카드가 나오고 나서야 비로소 가능해진 것.] 엔젤리와 더불어 마돌체의 새로운 시대를 연 카드라는 평가를 받는다. ①의 효과는 묘지에 몬스터가 없을 때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룰 특소가 아니라서 효과/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하는 카드에 당하거나, 패 트랩 때문에 묘지에 몬스터가 쌓여 있다면 쓸 수 없지만 첫 턴이라면 그렇게 어려운 조건은 아니다. 마죠레느를 일반 소환해 이 카드를 서치하고 바로 발동하는 것이 마돌체 전개의 시작. ②의 효과는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마돌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렇게 부른 몬스터의 레벨은 하나 내려간다. 이 카드의 ①의 효과에 의한 특수 소환 외에 다른 카드에 의한 특수 소환에도 대응한다. 주로 부르는 건 레벨 5인 [[마돌체 푸딩세스]]. 레벨 4가 되어서 바로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고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의 ②의 효과를 쓸 수 있게 해서 가장 유용하다. 단점은 특수 소환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그게 불가능하면 잉여 카드가 되고, 발동&처리 후에는 다른 용병 카드를 쓸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엔젤리 이상으로 굉장히 패트랩에 취약하기에 엔젤리나 마죠레느로 상대의 패트랩을 빼고 소환하는 편이다. 이름의 유래는 [[푸딩]]과 프랑스어로 [[여동생]]을 의미하는 petite soeur인 듯하며 이름이 푸딩/プディン이 아니라 푸팅/プティン인 이유는 이름 지정 문제 때문인 듯.[* [[푸틴(요리)|プティン]]이라는 음식이 있긴 하나 이건 감자튀김에 [[그레이비 소스|고기 육수로 만든 소스]]와 치즈를 넣은 음식으로, 과자가 아니라 식사다.] 효과도 그렇고 이름도 그렇고 설정상 푸딩세스의 여동생인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새비지 스트라이크]] || SAST-KR023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JP02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EN023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마돌체 푸딩세스]]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퀸마돌체 티아라미스]] ==== ==== 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 ==== [[파일:ティーチャーマドルチェ・グラスフ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 일어판명칭=ティーチャーマドルチェ・グラスフレ, 영어판명칭=Madolche Teacher Glassouffle, 몬스터=, 효과=, 엑시즈=, 레벨=4, 속성=땅, 종족=천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4 "마돌체"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앞면 표시 몬스터는 자신 이외의 몬스터 효과를 받지 않는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마돌체" 카드가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서로 묘지의 카드를 합계 2장까지 골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 [[다크 네오스톰]]에 수록된 신규 마돌체 지원이자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의 뒤를 이어 오랜만에 등장한 마돌체 엑시즈 몬스터. 두 효과 모두 우수한 만큼 카드명 제약이 걸려 있다. ①번 효과는 엑시즈 소재 1개를 코스트로, 그 턴 한정으로 자신의 마돌체 몬스터 1장에게 몬스터 효과 내성을 부여하는 강력한 유발 즉시 효과. 주로 파괴 외에는 버티지 못 하는 시스타르트나 [[이펙트 뵐러]]에 체인을 걸어 몬스터 효과 내성을 씌우거나, 특별한 조건 없이도 효과를 쓸 수 있다는 걸 이용해 엑시즈 소재를 소모해서 묘지를 쌓고, 그 묘지 자원으로 티아라미스, 티켓, 프롬나드, 살롱, 아 라 모드 등 다른 카드와의 연계를 준비해도 된다. ②번 효과는 이 카드 이외의 마돌체가 묘지로 갔을 경우 서로 묘지에서 카드 2장을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 티켓의 덱 특소 효과와도 연동할 수 있지만, 되돌리는 카드에 아무런 제약이 없다는 점에 주목해 샤토와 연계해서 패 트랩을 다시 패로 회수하거나, 상대의 묘지를 견제할 수 있다. 타이밍도 놓치지 않아서, 어떻게든 마돌체 카드가 묘지로 가면 바로 발동 가능하다. 이 카드의 등장은 마돌체에게 꽤나 의미가 있는데, *1. 엔젤리와 더불어 자체적으로 묘지를 쌓는 카드 이렇게 쌓은 카드는 다른 마돌체 카드의 효과 발동을 위한 탄환으로 쓰이며 덤으로 붙은 몬스터 내성으로 상대 카드에게서 마돌체 몬스터를 지켜준다. *2. 사실상 처음 생긴 마돌체의 견제수단 마돌체 카운터 함정은 묘지에 몬스터가 없어야 한다는 까다로운 발동 조건 때문에 쓰기 힘들어 패 트랩이나 범용 카드에만 견제를 의존했는데 ②효과로 [[오르페골]], [[히어로(유희왕)|히어로]]처럼 묘지에서 기어 나오는 카드들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샤토가 존재하면 자신의 패 트랩은 패로 되돌리고 상대 묘지는 비워버리는 일도 가능하다. 다만 몬스터가 치워지려 할 때 내성을 씌워주는 것도 가능하지만 마/함은 막질 못 하니 주의. *3. 상대에게 의존하지 않는 전개 이전까지 사용하던 티아라미스는 전개/제거/재활용 삼박자를 모두 갖춘 카드지만 상대 필드에 카드가 없다면 모두 그림의 떡이었는데, 글래스플레의 효과들은 상대 필드의 상태와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에 선공에서도 쉽게 필드를 전개할 수 있다. 이렇듯 강력한 지원인 글래스플레를 활용한 전개는 다음과 같다. > 조건: 묘지에 몬스터가 아예 없어야 함. >0. 마죠레느 일반 소환해 푸팅세스루 서치. 혹은 패에 푸팅세스루가 있으면 아무 레벨 4 몬스터를 일반 소환하면 된다. >1. 자신 묘지에 몬스터가 없으니 푸팅세스루를 특수 소환. 효과로 푸딩세스를 불러온다. >2. 푸팅세스루와 푸딩세스를 겹쳐서 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 엑시즈 소환. 효과를 발동해서 푸팅세스루를 제거하고 2번째 효과는 쓰지 말 것.[* 마돌체 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는 되돌려도 된다.] >3. 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 위에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쇼코 아 라 모드]]로 엑시즈 소환하고 쇼코 아 라 모드 효과 발동해 묘지의 푸팅세스루를 되돌리고 글래스플레를 소재로 쓰고 엔젤리를 특수 소환(필드: 마죠레느, 쇼코 아 라 모드, 엔젤리) >4. 엔젤리 효과 발동 훗케이크를 특수 소환, 훗케이크 효과 발동 글래스플레 제외하고 메신젤라또를 특수 소환, 마돌체 샤토 서치. >5. 샤토 발동하고 쇼코 아 라 모드 효과 발동. 메신젤라또를 특수 소환해 마돌체 티켓 서치 티켓 발동(이때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공격 데미지 9200~11100 끝, 있으면 6번으로). >6. 쇼코 아 라 모드, 훗케이크 링크 소재로 프레시마돌체 시스타르트 링크 소환 ,메신젤라또 2장으로 퀸마돌체 티아라미스 소환. >7. 티아라미스 효과로 상대 필드 카드 2장 바운스 이후 티켓 효과 발동, 상대 필드가 아직 남아 있다면 티아라미스를 1장 더 소환해 바운스하고 쇼코 아 라 모드로 엑시즈 체인지하여 시스타르트, 쇼코 아 라 모드 2장으로 다이렉트 어택. 이 루트가 가장 이상적인 전개법이지만, 현실에서는 패가 말리기 마련이니 '''어떻게든 푸딩세스루를 특수 소환 - 푸딩세스와 함께 글래스플레를 엑시즈 소환'''을 해내는 것이 안정적인 집짓기의 초동이라는 것을 기억하도록 하자. 이름의 유래는 안경(글래스)+[[수플레]]. 카드명 그대로 마돌체 왕국에서 공주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인 듯. 샬롱의 일러스트를 보면 잘 나와있다. 덧붙여 번역이 애매한 카드이도 한데, ②번 효과의 "서로 묘지의 카드를 합계 2장까지 골라" 라는 텍스트의 경우 겉보기에 "양 플레이어가 각자의 묘지에서 각각 2장까지" 카드를 고르는지, 아니면 "발동한 플레이어가 양쪽 묘지에서 도합 2장까지" 카드를 고르는지 분간이 잘 가지 않는다. 동일한 재정의 기존 카드에는 "[[영혼의 해방|서로의 묘지에서]]" 라 적혀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실제 사용하면 발동한 플레이어가 양쪽 묘지에서 도합 2장까지 고르고 각 플레이어의 덱으로 넣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다크 네오스톰]] || DANE-KR03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DANE-JP03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DANE-EN03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랭크 5 === ====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프레시마돌체 시스타르트 ==== [[파일:フレッシュマドルチェ・シスタル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프레시마돌체 시스타르트, 일어판명칭=フレッシュマドルチェ・シスタルト, 영어판명칭=Madolche Fresh Sistart, 몬스터=, 효과=, 링크=, 레벨=2, 속성=땅, 종족=천사족, 공격력=1500, link1=, link3=, 소재="마돌체" 몬스터 2장, 효과1=①: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마돌체" 마법 / 함정 카드는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묘지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 유일한 마돌체 링크 몬스터. ① 효과는 자신의 마돌체 마법/함정을 보호하는 효과. 마돌체에서 샤토/티켓/살롱의 존재 가치를 생각하면 훌륭한 효과다. 전개 덱 특성상 조건도 어렵지 않고. 그러나 세트된 상태에서는 비록 그 카드가 다른 카드의 효과로 세트되어서 이미 마돌체 카드라는 걸 알고 있더라고 재정상 마돌체 카드임을 모르고 있다고 간주하기 때문에, 시스타르트의 효과로 지킬 수 없다. 또한, [[네가로기어 아제우스]]의 필드 클린 효과로는 마돌체 마법 / 함정카드와 같이 그대로 쓸리므로 주의해야한다. ② 효과는 파괴당하는 대신 묘지의 마돌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 당연히 그 외의 제거엔 무력하지만 샤토, 티켓, 살롱과의 연계나 푸팅세스루의 소환 조건을 채우는 등 다양하게 쓸 수 있다. 이 카드의 존재 의의는 레벨에 상관없이 뽑히는 천사족 마돌체 링크 몬스터라는 데에 있다. 링크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카드는 다른 카드의 탄환이 되고, 마돌체 카드라 푸팅세스루의 제약도 피해가며, 천사족이라 티켓의 효과가 덱 특소로 바뀐다. 신 마스터 룰 1에서는 마커 제공 역할도 있었지만 신 마스터 룰 2로 가면서 마/함 보호 및 묘지를 쌓는 데 의미를 두는 편.[* 거기에 이터니티 코드에서 지속 마법인 살롱이 추가되며 원래도 중요했던 마/함 보호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름 및 디자인 모티브는 [[시스터]](수녀) + [[타르트]]. 종교인이 모티브지만, 해외판에서도 디자인이 변경되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링크 브레인즈 팩]] || LVP1-KR04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 LVP1-JP041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9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일반/속공 마법 카드는 하나도 없고 필드에 남는 지속 마법 카드와 필드 마법 카드뿐이다. === 마돌체 샤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99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샤토,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シャトー, 영어판명칭=Madolche Chateau, 마법=, 필드=,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 묘지에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필드의 "마돌체"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마돌체"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서\, 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덱으로 되돌아갈 경우\, 덱으로 되돌리지 않고 패로 되돌릴 수 있다., )] >'''꿈이 가득 찬 과자 세계에 있는 성을 본뜬 필드.''' >'''여기에는 사람도 동물도, 모두가 편하게 찾아오는 쉼터이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듀얼 필드의 [[플레이버 텍스트]] 마돌체 전용 필드. 이름의 유래는 [[프랑스어]]로 [[성(건축)|성]]을 뜻하는 '샤토'. 발동 시 효과 처리로 덱의 마돌체 몬스터를 싸그리 덱으로 되돌리는 ① 효과는 마돌체가 컨트롤이 필요하다는 걸 보여준다. 티켓, 샤토, 아 라 모드의 발동 조건, 푸팅세스루의 특소 조건을 만족할 수도 있지만 훗케이크, 티아라미스의 탄환이 없어지기에 신중히 발동해야 한다. ②는 평범한 타점 강화. 원턴킬에 도움을 주는 그저 그런 효과다. 마돌체 미러전이면 상대도 강화되니 주의. ③은 이 카드의 핵심. 덱으로 되돌아가는 디메리트를 패 보충 메리트로 탈바꿈해 준다. 패로 귀환은 선택 사항이라 아 라 모드와 충돌하는 일도 없고, 조건이 마돌체 몬스터의 효과로 몬스터가 되돌아가는 거지 '''마돌체 카드일 필요가 없어''' 글래스플레랑 연동해 패 트랩도 우려먹을 수 있다. 열심히 패 트랩을 뚫었더니 싸그리 가져올 때의 절망감이 압권. 특히 턴 제약이 없는 [[이펙트 뵐러]]라도 퍼 오면.... 일러스트에선 성벽을 지키는 슈바리에와 그것을 능청스럽게 바라보는 마죠레느, 메이플과 놀고 있는 밀피야가 있다. [[파일:external/485505bc43056a221aef49d71946d6312c14dd2142ab897355121030b4538826.jpg]] --팔이 미칠듯이 길고 카드가 답없는 사이즈다-- [[유희왕 ZEXAL]] 76화에서 등장했다. 사용자는 아키라는 이름의 유마의 동급생으로, [[하츠네 미쿠]]를 닮은 미소녀 엑스트라. [[카타기리 다이스케]]와의 듀얼에서 이 카드를 발동했지만, 아키는 결국 [[중무장무사-벤 케이]]에게 다섯 명이 한꺼번에 쓸려 나가는 엑스트라로 끝나서 마돌체가 본격적으로 애니메이션에 나오진 못했다. 이후 [[유희왕 ARC-V]]에서 휘리릭 지나가는 수많은 필드 마법 중 하나로도 나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61||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4]] || AE06-KR010 || [[슈퍼 레어]] || 한국 ||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6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티켓 === [[파일:マドルチェ・チケ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티켓,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チケット, 영어판명칭=Madolche Ticket, 마법=, 지속=,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마돌체" 카드가 효과로 자신의 패 / 덱으로 되돌아갔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자신 필드에 천사족 "마돌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에 넣지 않고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 유용한 서치 or 조건부 특수 소환 카드. 패/덱 가리지 않고 마돌체가 돌아가면 즉시 발동하는 강제 효과다. 당연히 3장 깔려 있어도 1번만 발동하고, 강제 효과라 컨트롤이 중요하다. 잘못하면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한 카드는 타이밍을 놓쳐 효과를 못 쓸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이카드와 샤토의 존재 덕분에 서로의 시너지로 인해 상대로부터 입은 아드 피해를 즉각 복구시켜 주는 중요한 카드다. 일러스트에선 티아라미스가 초대장을 작성해 메신젤라토에게 배달 요청을 하고 있다. 이 티켓이 바로 행복페스타로의 초대장인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ABYR-KR06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9 Vol.1]] || AE13-KR011 || [[슈퍼 레어]] || 한국 ||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0 Vol.1]] || 20TP-JP111 || [[노멀]] || 일본 ||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EN06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살롱 === [[파일:マドルチェ・サ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살롱,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サロン, 영어판명칭=Madolche Salon, 마법=, 지속=,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에 더해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마돌체"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마돌체" 카드가 효과로 자신의 패 / 덱으로 되돌아갔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마돌체 살롱" 이외의 "마돌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 [[이터니티 코드]]에서 프롬나드와 함께 추가된 신규 지속 마법. 드디어 추가된 추가 소환권 부여 카드. 추가 일반 소환권을 얻는 ① 효과, 마돌체 카드가 돌아가면 덱에서 마돌체 마/함을 세트하는 ② 효과로 이뤄져 있다. 메신젤라또의 서치랑 달리 우라라를 맞을 일이 없지만 조건이 다르고 카드명 제약이 있어 무조건 상위 호환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신 [[마스터 룰]] 1에서는 [[https://youtu.be/IbKPzdKWgSM|이 카드와]] 마죠레느 2장으로, 신 마스터룰 2에서는 마죠레느 [[https://m.dcinside.com/board/boardgame/2100810?recommend=1|1장으로]] 필드를 마돌체로 꽉 메우는 빌드가 나올 정도로 엄청난 효율을 보여주는 카드. 추가 소환권 때문에 [[브릴리언트 퓨전]]까지 빌려 오던 시절을 생각하면 감회가 새롭다. [[살롱]]은 귀족의 저택에서 진행하는 사교 모임을 말한다. 일러스트에서는 강의하는 글래스플레와 어려워하는 푸팅세스루, 자신만만한 푸딩세스가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 ETCO-JP06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마돌체 매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00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매너,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マナー, 영어판명칭=Madolche Lesson, 함정=, 일반=, 효과1=자신 묘지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800 포인트 올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 마돌체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마돌체 몬스터의 타점을 올려주는 카드. 되돌리는 카드는 발동 시 처음 1회만 되돌려도 되며, 타점 상승 후 되돌리는 카드는 마돌체 몬스터일 필요가 없다. 한때 완전 효과 내성을 가진 카드들을 전투로 이기기 위해 집어넣은 적도 있었으나, 완전 효과 내성 몬스터도 릴리스로 처리해 버리는 [[파괴수(유희왕)|파괴수]]의 추가와, 묘지의 몬스터를 되돌리는 분야에서는 상위 호환인 티처마돌체 글래스플레가 추가되어서 지금은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 일러스트에는 식사 예절을 가르치는 마멀메이드의 손과 따분해하는 푸딩세스가 그려져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70||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7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7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왈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0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왈츠,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ワルツ, 영어판명칭=Madolche Waltz, 함정=, 지속=,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 상대 라이프에 3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 상대가 공격할 때도 발동하지만 데미지가 너무 낮다. 가능한 한 여러 번 공격해서 많은 데미지를 뽑아내는 것이 관건. 마돌체는 전투로 파괴돼도 샤토 아래서는 패로 돌아오니 궁합이 나쁘진 않다. 이 카드와 [[사력의 태그 체인지]], 마돌체 샤토, 마돌체 티켓을 이용한 무한 루프 킬 루트가 있다. 레벨 4 이하의 전사족 마돌체 몬스터 하나, 그러니까 슈바리에나 메신젤라또와 전술한 네 카드, 그리고 마돌체보다 공격력이 높은 상대 몬스터를 준비한 후, 마돌체로 공격→마돌체 왈츠의 효과로 300 데미지→마돌체 티켓의 효과로 덱에서 마돌체 전사족 몬스터 서치→샤토 효과로 묘지로 간 마돌체 몬스터는 패로 돌아옴→ 사력의 태그 체인지 효과로 받는 데미지를 0으로 하며 특수 소환→다시 마돌체 몬스터로 공격을 무한 반복하는 것. [[https://blog.naver.com/seosangyeob/220917295440|사용 예시 (9분 30초~11분 30초)]] 일러스트는 푸딩세스와 슈바리에가 [[왈츠]]를 추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7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7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7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티브레이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01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티브레이크,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ティーブレイク, 영어판명칭=Madolche Tea Break, 함정=, 카운터=, 효과1=자신의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 하고\,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자신 필드 위에 "마돌체 푸딩세스"가 존재할 경우\, 다시 상대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 해괴한 발동 조건과 그에 걸맞지 않은 효과의 카드. 예전이면 몰라도 요즘엔 이 조건 채우기가 쉽지 않다. 글래스플레로 비워내는 것도 한계가 있고 남의 묘지 비워서 견제할 기회를 포기하면서까지 발동할 이유가 없다. 퍼미션 효과는 대상 카드를 발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게 핵심인데 카드명 제약이 없는 카드에는 저 패로 되돌리는 효과가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보상인지 푸딩세스가 필드에 존재하면 추가로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푸딩세스의 타점 조건을 충족하면서 써야 하는 카드인 셈. 이름의 유래는 차를 마시기 위한 휴식 시간(tea break). 혹은 상대 카드를 파괴한다는 의미에서 break의 동음이의어를 노린 말장난. 일러스트에선 차를 마시며 휴식을 취하는 푸딩세스 앞에 마죠레느가 난입하고, 바트라스크가 깜짝 놀라고 있다. 이후 상황이 [[엑시즈 리셉션]]으로 이어지는 걸로 보아 아마 지원 요청을 위해 난입한 모양.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7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7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72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행복페스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20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행복페스타,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ハッピーフェスタ, 영어판명칭=Madolchepalooza, 함정=, 일반=, 효과1=패에서 "마돌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시에 주인의 덱으로 되돌아간다., )] 패에서 마돌체를 있는 대로 꺼내게 해 주는 카드. 특수 소환이 막힌 푸팅세스루나 패에 잡힌 메신젤라토를 처리하거나, 샤토로 업어 온 카드들을 한 번에 처리해 일발 역전을 노릴 수 있다. 엔드 페이즈에 덱으로 되돌아가는 디메리트는 링크/엑시즈 소재로 바꿔먹으면 그만. 이름의 유래는 명절, 축일을 뜻하는 festa. 이름답게 이 카드가 수록된 팩 [[어비스 라이징]]까지 등장했던 모든 마돌체 몬스터(티아라미스, 푸딩세스, 크로완상, 밀피야, 슈발리에, 바트라스크, 마멀메이드)가 생일 케이크 같은 데 놓여 있다. 영판에선 성대한 축제라는 뜻인 palooza가 되었다. 원문은 해피파스타지만 [[해피(유희왕)|harpie]]를 해피로 번역해 버려서 이쪽을 고쳤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ABYR-KR07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JP07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ABYR-EN07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돌체 나이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50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나이츠, 일어판명칭=魔導人形の夜(マドルチェ・ナイツ), 영어판명칭=Madolche Nights, 함정=, 카운터=, 효과1=자신의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무효로 한다. 자신 필드 위에 "마돌체 푸딩세스"가 존재할 경우\, 다시 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1장 덱으로 되돌린다., )] "마도인형의 밤"이라고 쓰고 "마돌체 나이츠"라고 읽는 카드. 덕분에 '마도'라고 써 있지만 [[마도(유희왕)|마도]] 카테고리엔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에선 루비를 읽은 마돌체 나이트로 발매돼 별 관계 없다. 조건은 마돌체 티브레이크와 똑같지만 몬스터 위주의 환경이 조성된 데다 카드명 제약까지 착실히 부여된 지금 환경에서 마돌체 티브레이크보다 훨씬 나은 카드다. 거기에 추가 효과도 만족민들이 환장하는 한데스, 그것도 [[이비리추어 거스트크라케]]와 동일한 덱으로 돌리는 효과기 때문에 버리거나 묘지로 보내는 것 보다 훨씬 좋다. 안타깝게도 티브레이크처럼 노리고 쓰기 힘들다는 점도 똑같기 때문에 채용하기 꺼려진다. 일러스트는 이름에 맞게 마돌체들이 장난감 상자에 모여있는 모습. 이름도 그렇고 마돌체들의 정체는 어쩌면 생명을 얻은 인형일 수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 LTGY-KR07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JP07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EN07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4 Mega-Tin Mega Pack || MP14-EN051 || [[슈퍼 레어]] || 미국 || || === 마돌체 프롬나드 === [[파일:マドルチェ・プロムナー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마돌체 프롬나드, 일어판명칭=マドルチェ・プロムナード, 영어판명칭=Madolche Promenade, 함정=, 일반=,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한 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과 자신 필드 / 묘지의 "마돌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 시 까지 무효로 하고\, 그 자신의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마돌체"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마돌체"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대상의 몬스터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 [[이터니티 코드]]에서 추가된 새로운 함정 카드. 두 효과 모두 강력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 사용 가능한 카드명 제약이 걸려 있다. ①의 효과는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무효로 하고, 자신 필드/묘지의 마돌체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 샤토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패로 되돌릴 수 있는 유일한 카드로, 아 라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마돌체 카드들은 패도 되돌아가도 연계가 되기 때문에 효율이 상당하다. 특히 글래스플레의 ② 효과로 다시 덱에 집어넣으면, 살롱의 효과로 또 세트 할 수 있기 때문에 [[샐러맨그레이트]] 로어와 비슷한 감각으로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 참고로 무효가 먼저기 때문에 되돌릴 카드가 [[무덤의 지명자]] 등으로 날아가도 무효 효과는 잘만 적용된다. ②의 효과는 자신을 제외하고 마돌체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보충하는 효과. [[마돌체 푸딩세스]]를 엑시즈 소재로 집어넣어서 쇼코 아 라 모드로 올리면 온전히 효과를 쓸 수도 있고, 패에서 썩고 있는 메신젤라토를 집어넣고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써서 덱으로 되돌릴 수도 있다. 간만에 받은 쓸만한 함정 카드로 티브레이크, 나이츠의 괴상한 제약도 없고, 앞면 표시면 종류 상관없이 고자로 만들 수 있으며 묘지의 마돌체 몬스터를 패 또는 엑시즈 소재로 올리는 효과는 묘지에 몬스터가 없어야 하는 일부 효과의 발동 조건을 보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마돌체 함정이라 메신젤라토로 서치할 수 있는 건 덤. プロムナード는 정확히 번역하면 promenade, 프랑스어로 산책이라는 뜻이다. 그 말 그대로 일러스트에서는 [[퀸마돌체 티아라미스]], 마돌체 푸딩세스와 푸팅세스루가 산책하고 있으며 성벽 앞에 슈발리에, 예배당으로 향하는 시스타르트, 메이플과 놀고 있는 밀피야, 그리고 초코 퐁듀 분수에 앉아있는 표콜렛이 보인다. 표콜렛 중 한 마리가 분수에 [[코박죽]]하고 있고 푸딩세스를 끌고가는 푸팅세스루, 이에 곤란해하는 푸딩세스가 포인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 ETCO-JP07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참고 카드 == 과거 [[허공해룡 리바이엘]], [[브릴리언트 퓨전]], [[아로마(유희왕)|재스민]] 등 예전에는 다양한 카드들을 용병으로 사용했지만 여러 금제와 푸팅세스루의 소환 제약으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이후에는 마죠레느나 엔젤리, 훗케이크를 이용해 푸딩세스루를 특소할 수 있기에 초반 묘지관리의 중요성은 어느정도 줄어들었다. * 메인 덱 몬스터 * [[봄화정]] 땅속성 범용 서포트 카드군. 묘지에 몬스터가 쌓여도 푸팅세스루의 특수 소환 조건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으며, 자체 기믹이 아니므로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체크 용도로 쓸 수 있다. 전원 천사족이라 [[버밀리온 디클레어러]]의 탄환으로 사용도 가능하다. 다만 패 소모가 격렬하고 봄화정 카드군을 사용한 턴에는 땅속성 몬스터의 효과만 발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후 일부 패 트랩 사용이 제한된다는 것에 유념할 것. * [[파괴수(유희왕)|파괴수]] 티아라미스를 못 꺼내거나 방해하는 몬스터를 치울 수 있고, 덱 바운스나 글래스플레의 샐비지 효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 패트랩 *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패의 천사족을 코스트로 상대 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로 파괴하는 패 트랩 카드. 여기서 마돌체 덱에서 최우선적으로 서치하게 되는 마돌체 엔젤리, 마돌체 푸딩세스루, 마돌체 푸딩세스가 천사족인 점으로 인해 상대의 전개를 훌륭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후 묘지로 보내진 카드는 이후 마돌체 샤토나 마돌체 엑시즈 몬스터를 이용하여 되돌리면 된다. 이 카드의 진가는, 글래스플레와의 조합인데 패에서 버디클 코스트로 천사족 마돌체를 버리게 되면 글레스플레의 2번 효과 조건이 충족되어 샤토가 깔려있다면 방금 버렸던 버디클과 천사족 마돌체를 패로 가져와 그대로 재탕할 수 있다. 이러면 버디클을 한턴에 두번까지 써먹을 수 있어 궁합이 상당히 좋다. 패에서 발동하므로 막기도 굉장히 까다롭다. * [[원시생명체 니비루]] 상대가 5장 이상 소환한다면 언제든 발동 가능한 패 트랩. 사용 후 상대 필드를 깨끗이 치워 줄 뿐 아니라 묘지로 가지 않고 필드에 남기 때문에 푸팅세스루의 자체 특소를 방해하지 않고, 역으로 상대가 니비루를 사용할 때는 말살의 지명자 효과 발동을 위해 보내버리면 그만이기 때문에 1장 정도 집어넣으면 밥값을 한다. 분기에 따라 말림 패로 작용할 수도 있으니 사이드 덱에 넣을지 메인 덱에 넣을지 잘 조율하도록 하자. * [[환창룡 판타즈메이]] 링크 몬스터가 나오면 패 순환을 해 주는 패트랩. 패에 잡힌 메신젤라토를 순환 효과로 치워버릴 수 있고, 묘지로 안 가고 필드에 남기 때문에 푸팅세스루와 충돌하지 않는다. 오직 링크 몬스터의 소환에만 반응한다는 약점이 있으나 패를 순환해 엔젤리, 푸팅세스루, 마죠레느를 빠르게 잡는 데 도움을 준다. 2020년 신 마스터 룰 변경 이후에는 링크 몬스터의 비중이 낮아져 채용률이 감소했다. * 마법 카드 * [[무덤의 지명자]] & [[말살의 지명자]] 사실상 필수 카드. 마돌체는 전개 과정에서 거의 모든 별의별 패 트랩을 다 처맞게 되며, 덱 특소가 엔젤리, 훗케이크, 푸팅세스루. 서치에 메신젤라토. 조건부 덱 특소/서치에 티켓, 아 라 모드 등 덱에서 꺼내 오는 게 많은 마돌체에게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만큼 치명적인 카드도 없다. 우라라 외에도 필드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엔젤리, 훗케이크, 푸팅세스루 등의 몬스터에게는 [[무한포영]], [[이펙트 뵐러]] 같은 카드가 두려운 건 당연하다. 초동이 끊기면 바로 승패가 갈리는 테마의 특징상 무덤의 지명자는 풀 투입을 권장한다. 말살의 지명자를 채용할 경우 포영, 뵐러 외에도 [[저택 와라시]], 심하면 [[원시생명체 니비루]]까지 말살의 지명자 발동 조건을 위해 넣게 되는데, 이 덕분에 오히려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도 있다.[* 전개 덱에 패 트랩을 많이 넣으면 패가 말리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마돌체는 1장의 초동만 있으면 전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전개 덱보다 패트랩을 많이 넣어도 부담이 적다. --그렇다고 이것저것 다 박으면 말리니까 조심하자--] 게다가 마돌체는 애초에 널널한 덱 스페이스에 패 트랩을 많이 채용하는 덱이며 티처마돌체와의 연계로 재활용도 가능하다. *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를 밀어내고 필수 카드로 자리 잡은 새로운 항아리. 기존 욕졸도 물론 좋은 카드였지만, 키 카드 3종류 중 한쪽을 전부 다 갈아버릴 수 있다는 리스크를 동반하고 있었고, 패 1장이면 빌드를 완성하는 마돌체 입장에서는 2장을 뽑는 것보단 덱 위를 6장 넘겨 전개 확정 파츠 1장을 손에 집는 게 더 좋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할 카드다. 졸겸을 사용한 턴에는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가 반감되기 때문에 턴킬은 못 내지만 선턴에선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며 후공에서도 턴킬을 낼만한 패라면 그냥 졸겸을 발동 안 하고 전개해서 끝내면 그만인지라 디메리트는 하나도 없다고 봐도 좋다. 물론 욕졸도 --돈이 없다면-- 채용의 여지는 있다. * [[스몰 월드(유희왕)|스몰 월드]] [[하루 우라라(유희왕)|우라라]], [[증식의 G]], [[니비루]],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PSY프레임|감마]] 등의 카드를 엔젤리, 마죠레느, 푸팅세스루 등의 초동으로 바꿔주는 카드이다. 반대로 패에서 남는 초동 카드를 패 트랩으로 바꿔주기도 해서 효율이 좋다. 스몰 월드를 굉장히 잘써먹는 테마 중 하나. 다음은 스몰 월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쌍들. 무조건 이렇게만 가능한 건 아니기 때문에 덱에 들어간 카드에 따라 다른 루트를 거칠 수도 있다. * 훗케이크 ↔ 바트라스크를 제외한 모든 4레벨 마돌체 몬스터 *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 훗케이크 * [[증식의 G]] ↔ 밀피야를 제외한 모든 마돌체 몬스터,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PSY프레임#PSY프레임기어 γ|PSY프레임기어 γ]], [[파괴수(유희왕)#괴분파괴수 가다라|괴분파괴수 가다라]],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 푸팅세스루, 엔젤리, [[증식의 G]], [[원시생명체 니비루]] *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 모든 마돌체 몬스터, [[증식의 G]], [[PSY프레임#PSY프레임기어 γ|PSY프레임기어 γ]] * [[원시생명체 니비루]] ↔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PSY프레임#PSY프레임기어 γ|PSY프레임기어 γ]] * [[어리석은 부장]] 마돌체 프롬나드 출시 이후, 꼭 푸팅세스루 로 푸딩세스를 소환해 레벨을 낮춰줘 같이 오버레이 할 필요 없이 아무 마돌체 4렙 몬스터를 오버레이 한 후 프롬나드를 제외하고 푸딩세스를 소재로 삼을 수 있게 됐다. 해당 전개법을 사용하면 푸팅세스루의 2번 효과에 의한 특소 제약이 사라지고, 여차하면 퀸마돌체의 탄창으로 아무 카드나 묘지에 보내 사용 할 수도 있다. * 함정 카드 * [[무한포영]], [[레드 리부트]] 무한포영은 조건부로 패에서 발동할 수 있고, 이펙트 뵐러랑 달리 함정이라 푸팅세스루의 자체 특소를 방해하지 않는다. 레드 리부트도 라이프 절반을 지불해서 패에서 발동할 수 있으며, [[얼터가이스트]] 같은 함떡 덱이나 상대의 무한포영, 신의 심판 등을 견제하는 데 제격이다. 물론 환경에 따라 안 넣거나 사이드로 빼기도 한다. * [[어전시합(유희왕)|어전시합]] 마돌체는 전원 땅 속성이라 푸팅세스루를 사용한 순수 마돌체 덱이거나 용병이 패 트랩 정도밖에 없는 경우 어전시합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니비루와 충돌하므로 주의하자.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M.X-세이버 인보커]] 훗케이크를 통해 엑시즈 소환을 하고 효과로 메신젤라토를 재소환해 마함을 1장 더 서치할 수 있다. 2019년 1월에 금지를 먹었지만 2023년 7월에 제한으로 완화되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야수족]][[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천사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