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마기스토스 관련 카드군)] ||<:><-6> '''{{{#!html마기스토스}}}'''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gistusTheurgy-MADU-EN-VG-artwork.png|width=100%]][br] ,,[[마기스토스#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gold 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마기스토스'''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マギストス'''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Magistus'''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속성|다양]] ||<-2><#fff,#191919>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메인 덱) [br] [[유희왕/종족|다양]](엑스트라 덱) ||<-2><#fff,#191919> {{{#!folding [ 접기 ] 효과[br][[융합 소환|융합]][br][[싱크로 소환|싱크로]][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5> '''유희왕 [[덱 빌드 팩|{{{#white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 || [[시크릿 슬레이어즈]] || || [[제네시스 임팩터즈]] || || [[에인션트 가디언즈]] || ||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 [[아다마시아]], [[육화]] || → || [[드라이트론]], '''마기스토스''', [[이빌트윈]] || → || [[베어루크티]], [[명세계]], [[도레미코드]] || >それは「始まり」の物語。 >---- >그것은 "시작"의 이야기. >----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dbgi/|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덱 빌드 팩]] [[제네시스 임팩터즈]]에서 데뷔한 [[유희왕/OCG]]의 카드군. 일단 카드군은 루비로 마기스토스로 되어 있지만, 메인 몬스터들은 ○○의 대현자 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 로 읽는 식으로 작명되어 있고,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의 □□ 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 라고 읽는 형태로 되어 있다. 메인 덱 몬스터들은 레벨 4 마법사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각자 다른 종족이 배정되어있다. 메인 덱 몬스터들이 각각 [[소환수(유희왕)|소환사 알레이스터]],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 [[엔디미온(유희왕)|신성마도왕 엔디미온]]의 외모를 닮아 있고,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각자의 카드가 소속된 카드군의 몬스터와 연관이 있어 보이는 이름이나 외형을 한 게 특징이다. 이전까지 설명된 바 없는 [[소환수(유희왕)|소환수]],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 [[엔디미온(유희왕)|엔디미온]] 세 카드군의 기원, 즉 해당 카드군들의 [[프리퀄]] 스토리를 다루는 카드군이다.[* 마스터 가이드를 통해 엔디미온이 위치크래프트를 신경 쓰고 있다, 알레이스터가 [[마도서(유희왕)#s-4.4.1|마도서원 라메이슨]]을 세웠다 등의 관계는 공식적으로 밝혀졌으나 각 카드군의 기원은 이 카드군 이전까지 밝혀진 바가 없었다.] 또한 이 카드군들에서는 튜너인 조로아(또는 그 관련인물)로 보이는 카드가 나오지 않았는데, 때문인지 3 카드군 전체를 통틀어도 싱크로 몬스터와 튜너만 없다. 카드군의 모티브는 [[황금여명회]]로 보인다. 젊은 시절의 알레이스터가 활동했으며, 후에 [[소환수(유희왕)|3개]][[엔디미온(유희왕)|의]] [[위치크래프트(유희왕)|조직]]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이 같다. == 성능 == >비장의 융합·싱크로·엑시즈 몬스터나 전개를 서포트하는 링크 몬스터는, 몬스터로서의 효과 외에, 장착 카드가 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발동할 수 있는 강력한 효과도 가진다. > >대현자들[* 마기스토스 메인 덱 몬스터들을 뜻한다.]은 이러한 비장의 카드를 장비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그 힘을 얻으면서 제휴하는 포진으로 공격할 수 있다고 한다. > >또 「마기스토스」마법도 강력하고, 한층 더 이 전술이 예리해진다──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dbgi/|유희왕 공식 홈페이지 제네시스 임팩터즈 소개]]) 설정은 각자의 프리퀄 카드군이지만 운영 방식은 전혀 상관없는 장착 몬스터 컨셉인데, 특이하게도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장착하고 싸운다. 그래서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장착되었을 때 효과와 몬스터 존에서의 효과가 나뉘어 있고, 메인 덱 몬스터는 다른 마기스토스에게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장착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발매 후 메이든 아르테미스, 베르 상드리용, 세인트 에이와스, 인보케이션 정도가 [[섀도르]]와 [[소환수(유희왕)|소환수]]에서 채용되어 입상하고 있다. 순수 마기스토스도 대충 굴러가긴 하지만, 퍼미션과 에이스 몬스터의 부족으로 비티어권에서도 강하다는 인상을 주지 못하는 카드군이다. 다이몬 조로아 발매 전까지는 실질적인 에이스가 에이와스 뿐이라 [[그레이돌]]과 유사한 형태를 띄었다. 한편 플레임 조로아는 수비력이 1500인 마법사족이라 [[령사]] 관련 카드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레벨 4 마법사족 몬스터를 패 / 묘지에서 소생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Em(엔터메이지)|Em]]/[[엑소시스터]]/[[드래그마]]/[[령사]] 등 레벨 4 마법사족이 주축인 덱과도 궁합이 잘 맞는다.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가 살아 있었던 시절에는 [[퀸텟 매지션]]을 패 2장로 융합 소환할 수 있었다. {{{#!folding [ 퀸텟 매지션 소환 빌드 ] 재료는 조로아와 조로아/크로울리 제외 레벨 4 마법사족 몬스터 1장 1.조로아의 1번 효과로 아르테미스 장착 2.조로아의 2번 효과로 마법사족 몬스터 소환 3.아르테미스의 2번 효과로 크로울리 서치 4.마법사족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크로울리 소환 5.조로아와 크로울리를 소재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링크 소환 6.하리파이버 효과로 [[이펙트 뵐러]] 소환 7.하리파이버와 이펙트 뵐러를 소재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링크 소환 8.베르테 아나콘다의 효과로 [[매지컬라이즈 퓨전]]을 베껴 융합 상대 필드에 공격력 2000 이상의 몬스터가 있고, 대상 지정 내성이 없을 경우 3핸드로 원 턴 킬도 노려볼 수 있다. 이 경우 재료는 조로아, 베르+인보케이션 또는 트리스 1.베르 소환 후 효과로 인보케이션 또는 트리스 중 없는 1장 서치 2.트리스 효과로 조로아 특수 소환 3.조로아의 1번 효과로 아르테미스 장착 4.아르테미스의 2번 효과로 크로울리 서치 5.인보케이션으로 크로울리와 아르테미스를 소재로 아이와스 소환 6.조로아와 베르를 소재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링크 소환 7.하리파이버 효과로 이펙트 뵐러 특수 소환 8.하리파이버와 이펙트 뵐러를 소재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링크 소환 9.아이와스로 상대 몬스터 컨트롤 탈취 10.베르테의 효과로 매지컬라이즈 퓨전을 베껴 5소재(묘지의 조로아/베르/크로울리/아르테미스/뵐러) 퀸텟 매지션 융합 소환 11.퀸텟 매지션 효과로 상대 필드 클린 12.퀸텟 매지션(4500) 베르테 아나콘다(500) 상대의 몬스터 (3000 이상)으로 원 턴 킬 }}} 위 방법의 경우 실패할 수 있으니 [[마법족의 성역]] 같은 베르테 아나콘다의 허약한 공격력을 보완할 카드를 투입 해야 된다. 지금은 베르테 아나콘다가 금지를 먹었으므로 이 방법은 불가능. 또한 이후에 하리파이버도 금지되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마스터 엔디미온을 제외한 대부분의 카드가 시크릿 팩 '마술의 탐구자'에서 [[소환수(유희왕)|소환수]],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와 같이 등장한다.[* 마스터 엔디미온은 '지식을 통괄하는 마도왕'에서 단독 수록, 메이든 아르테미스는 '지식을 통괄하는 마도왕','마술의 탐구자' 둘 다 수록 돼있다.] 마기스토스 다이몬 조로아는 전용 라이브 2D 소환 연출이 있다. 일단은 같은 팩의 위치크래프트처럼, 소환수 팩을 까다보면 같이 짤 수 있는 덱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테마 내 UR이 위치 상드리용, 다이몬 조로아 뿐이고, SR도 드래곤 바흐람/메이든 아르테미스 이 둘이 끝이기 때문에 비티어권이지만 저렴한 편. 이것은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 뿐으로, 메인 덱 몬스터들은 전부 많아봤자 노말 혹은 레어다. 역시 위치크래프트처럼 같은 팩의 소환수와 상성이 나쁘지 않다. 게임 출시 시점에는 다이몬 조로아가 없었지만 2022년 6월 10일 발매된 셀렉션 팩 '브레이브리 윙스'에 수록되었다. 에이스 몬스터인 다이몬 조로아의 추가로 어느 정도 덱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다이몬 조로아라는 카드의 특성 상 상대 덱을 예측해서 그에 맞는 종류의 마기스토스를 마법 & 함정 존에 둔다면 덱의 파워가 강력해지지만, 예측에 실패한다면 초동 집짓기의 힘이 크게 내려간다. 거기에 해피의 깃털이나 라이트닝 스톰 등으로 마법 & 함정 존의 카드가 쓸려나가는 것을 막기는 힘들고, 엑스트라 덱을 사용하지 않는 덱이나 엑스트라 덱을 거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견제력을 발휘할 수 있는 덱을 상대로는 상성이 그렇게 좋지 않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SOLFLARE LIGHTNING]]에서 다이몬 조로아, 위치 산드리용을 제외한 모든 카드가 수록되었으며, 이후 [[ZILLION THUNDER]]에 위치 산드리용이 수록됨으로써 다이몬 조로아 빼고 카드군에 속한 모든 카드가 실장되었다. 순수 덱 성능이 애매한 마기스토스답게 입상덱은 커녕 랭킹 듀얼에서 한번 볼 수 있는지조차 의문일 정도로 홀대받는 신세였으나 유희(DM&DSOD)와 어둠의 유희의 전용 스킬인 '빛과 어둠의 영혼'이 등장하면서 상황이 바뀌게 되는데, 해당 스킬을 사용하는 카오스 솔저 덱이 마스터 엔디미온의 효과를 이용해 덱순환을 시키면서 마기스토스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과 연계해 전투 견재, 마함 견재, 상대 몬스터 효과 무효 등 만능 용병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것. 이에 힘입어 카오스 솔저 덱은 1티어에 올라서는 것은 물론 랭킹 듀얼에서 악명을 떨치게 되었고, 결국 덱의 핵심이 되던 개벽과 엔디미온이 쌍으로 3제를 먹고 마함 견재요원을 담당하던 닌아루루도 1제를 먹으면서 마기스토스의 화려한 용병 생활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4 === ==== 마기스토스 플레임 조로아 ==== [[파일:絶火の大賢者ゾロ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플레임 조로아, 일어판 명칭=絶火の大賢者(マギストス・フレイム)ゾロア, 영어판 명칭=Zoroa\, the Magistus of Flame, 레벨=4, 속성=화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기스토스" 몬스터 카드를 장착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마기스토스 프레임 조로아" 이외의 레벨 4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골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절화의 대현자'라 쓰고, '마기스토스 플레임'이라 읽는 마기스토스의 유일한 튜너. ①의 효과는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에게 엑스트라 덱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장착시키는 [[기동효과]]. 마기스토스 덱에서는 꽤 유용한 효과로, 다른 마기스토스에게도 장착 가능하지만 ②의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에게 장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②의 효과는 마기스토스 몬스터 카드를 장착했을 경우에 패 / 묘지의 레벨 4 마법사족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 ①의 효과를 비롯하여 각종 마기스토스 카드의 효과 덕분에 발동 조건은 간단히 채울 수 있다.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수비 표시에 효과도 무효화되니 각종 소재로 써먹는 것이 상책. 바흐람, 다이몬 조로아 등 레벨 8 싱크로 소환이나 닌아루루, 위치 산드리용 등 랭크 4 엑시즈 소환으로 연계할 수 있다. 레벨 4 마법사족을 중심으로 한 덱이라면 이 카드와 엑스트라 덱의 마기스토스 몬스터들만 출장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령사]] 덱에서는 레벨 4의 [[빙의장착]] 몬스터를 채용하면서 수비력 1500짜리용 서포트 카드도 공유할 수 있다. [[Em 트래피즈 매지션]]을 중심으로 한 [[Em(엔터메이지)|Em]] 덱에서도 전개 요원으로서 한 몫 해줄 것이다. 가끔씩 [[엑소시스터]]에 채용하는 것도 볼 수도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 [[자라투스트라|조로아스터]]. 불을 중시하는 교리에서 따왔는지 이 카드의 속성도 화염 속성이다. 나머지 셋과 달리 다른 카드군에 없는 카드. 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 브리트라 마기스토스를 거쳐 마기스토스 다이몬 조로아가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2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4 === ==== 마기스토스 그리모어 크로울리 ==== [[파일:法典の大賢者クロウリ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그리모어 크로울리, 일어판 명칭=法典の大賢者(マギストス・グリモワ)クロウリー, 영어판 명칭=Crowley\, the Magistus of Grimoires,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속성을 1개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속성이 된다., 효과3=③: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 4 이외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법전의 대현자'라 쓰고, '마기스토스 그리모어'라고 읽는다. [[소환사 알레이스터]]의 과거 시절 모습으로, 모티브도 당연히 [[알레이스터 크로울리]]로 동일하다. 패 /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버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①의 효과, 1턴에 1번 자신의 속성을 바꾸는 ②의 효과, 그리고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고 묘지의 다른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에 장착시키는 ③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장착된 카드는 다른 마기스토스 카드와 연동해서 사용하면 된다. 속성 변경 효과는 미래의 모습인 알레이스터가 신 속성 이외의 모든 속성이 있는 [[소환수(유희왕)|소환수]]를 다루는 걸 생각해 봤을 때, 노리고 만든 효과로 보인다. 그리고 루비가 아닌 이름에 법전이 들어가 있는데, 마침 소환수 카드군에도 법의 성전이라는 카드가 있다. 다만 알레이스터 시절 들고 있던 책과는 다른 책을 들고 있다. 마기스토스 세인트 아이와스가 법전의 수호신이라고 되어 있는 걸 봤을 때 아이와스는 크로울리가 만들었거나, 소환한 카드로 보이며, 마침 아이와스의 모티브가 되는 [[에이와스]]는 크로울리가 소환했다고 주장하는 수호천사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1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네시스 임팩터즈]] || DBGI-KR001 ||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마기스토스 베르 산드리용 ==== [[파일:結晶の大賢者サンドリヨ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베르 산드리용, 일어판 명칭=結晶の大賢者(マギストス・ヴェール)サンドリヨン, 영어판 명칭=Rilliona\, the Magistus of Verre,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덱에서 "마기스토스"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레벨 4 이하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되돌린다., 효과4=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 4 이외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결정의 대현자'라 쓰고, '마기스토스 베르'라고 읽는다. ①의 효과는 서치 또는 제외된 마법사족 몬스터를 되돌리는 효과. 마기스토스는 자신을 제외해서 다른 마기스토스를 장착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느 쪽이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카드와 관계성이 있는 위치크래프트에도 제외된 마법사족을 활용하는 카드인 패트로너스가 존재한다. ②의 효과는 크로울리처럼 묘지의 레벨 4 이외의 마기스토스를 필드의 마기스토스에게 장착시키는 효과. 발매 후엔 제외된 하급 마법사족을 되돌리기에 섀도르크로 소모한 섀도르를 다시 재탕하는 용도 및 빛 속성 소재로서 [[섀도르]]에 채용되고 있다.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와 관련이 있는 인물로 추정된다.[* 베르 본인이 9살이라는 설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모종의 사유로 어려진 베르의 본래 모습이거나 어머니일 가능성이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신데렐라]]의 프랑스어명 '상드리용(Cendrillon)'. 그래서 신발이 유리 구두이며, 베르와 마찬가지로 불어로 유리를 뜻하는 verre가 이름에 들어가 있다. 겉에 두른 베일도 마스터 베르가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으며, 상반신 구도와 쓰고 있는 모자가 위치크래프트 골렘 아루루와 비슷하다. 결정의 대현자인 만큼 결정의 여신(마기스토스 가디스) 닌아루루는 산드리용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3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 ==== [[파일:聖魔の大賢者エンディミ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 일어판 명칭=聖魔の大賢者(マギストス・マスター)エンディミオン, 영어판 명칭=Endymion\, the Magistus of Mastery, 레벨=4, 속성=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300, 수비력=1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패를 1장 고르고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성마의 대현자'라 쓰고, '마기스토스 마스터'라 읽는다.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의 과거 시절 모습. 모티브도 [[셀레네]]의 사랑을 받은 남자 [[엔디미온]]으로 동일하다. 다만 속성은 어둠이 아니라 물. ①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의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장착시키는 효과로, 마기스토스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장착 카드 상태일 때 적용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굳이 정규 소환하지 않아도 효과를 쓸 수 있게 해 준다. ②의 효과는 앞면 표시 마법 카드를 파괴해 패를 순환시키는 효과인데, 장착 효과가 있는 함정 카드를 제외한 장착 카드는 기본적으로 마법 카드 취급이므로 ①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도 깨트리고 패 순환 효과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그냥 평범하게 지속/필드/장착 마법을 부수고 사용해도 된다. 참고로 앞면 마법 카드이므로 뒷면으로 장착된 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엔디미온(유희왕)|엔디미온]]에서도 가끔 사용하기도 한다.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과 마력통할로 서치가 가능하고, 더 이상 쓸모없게 된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이나 펜듈럼 스케일을 파괴하고 1장 드로우를 하는 식으로 사용한다. 혹은 엑스트라 덱에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넣고 장착해 효과를 쓰고[* 메이든 아르테미스는 2번째 마스터 엔디미온 서치가 가능하고, 엑시즈 몬스터 2종은 돌파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1장 드로우로 바꿔먹기도 한다. 듀얼링크스에서는 '빛과 어둠의 영혼' 스킬을 채용한 카오스 솔저 덱에서 엑덱 몬스터들과 연계해 만능 용병으로 활약했으나 결국 3제를 먹고 환경권에서 쫒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이름에 들어간 성마는 신'''성마'''도왕 혹은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에 들어간 성마와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성마의 처녀(마기스토스 메이든)인 아르테미스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4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융합 몬스터 == === 레벨 8 === ==== 마기스토스 세인트 아이와스 ==== [[파일:法典の守護者アイ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세인트 아이와스, 일어판 명칭=法典の守護者(マギストス・セイント)アイワス, 영어판 명칭=Aiwass\, the Magistus Spell Spirit, 레벨=8, 속성=바람,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2800, 소재="마기스토스" 몬스터 + 마법사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이 효과로 이 카드를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장착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으며\, 그 컨트롤을 얻는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1000 올린다.)] 크로울리가 소환한 것으로 보이는 마기스토스. '법전의 수호자'라 쓰고 '마기스토스 세인트'라 읽는다. 정작 종족은 성스러운 것과는 거리가 먼 악마족. 크로울리가 스스로를 악마 숭배자라고 주장한 것에서 모티브를 따거나, 아니면 나중에 크로울리=알레이스터가 금술인 소환마술에 손 댄 걸 암시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와스의 레벨과 능력치는 소환수 아우고에이데스와 일치하며, 외형은 소환사 알레이스터가 마술의 매개체로 사용하던 지팡이를 연상케하는데, 이는 소환수의 시초임을 암시하는 의도로 추정된다. 다른 몬스터에게 이 카드를 장착하는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했을 경우 [[강탈|컨트롤을 뺏어올 수 있으며]] 그 대신 그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아 버린다. 다행히 지속 효과는 유지되지만, 애초에 그 정도로 강력한 지속 효과를 가진 몬스터는 대상 내성 혹은 완전 내성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이라 뺏어올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장착되면 ②의 효과에 의해 공/수가 1000 오른다. 물론 다른 카드의 효과에 의해 장착되어도 공/수 상승 효과는 적용되는데, 주의할 점은 [[갓피닉스 기어프리드]]에게 갓피닉스의 효과로 장착될 경우 공/수를 추가로 1000 올려주는 데다 아이와스의 효과로 장착된 게 아니므로 컨트롤을 뺏어올 수도 없다는 것. 마기스토스+마법사족 몬스터로 나오므로 마법사족인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을 [[초융합]]으로 먹튀해서 나올 수 있다. 모티브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가 불러냈다고 주장했던 수호천사 [[에이와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5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8 === ==== 마기스토스 드래곤 바흐람 ==== [include(틀:유희왕/OCG/덱 빌드 팩 커버 카드)] [[파일:絶火の竜神ヴァフラ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드래곤 바흐람, 일어판 명칭=絶火の竜神(マギストス・ドラゴン)ヴァフラム, 영어판 명칭=Vahram\, the Magistus Divinity Dragon, 레벨=8, 속성=화염,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500, 수비력=29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절화의 용신이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드래곤으로 읽는다. 어째 브리트라 마기스토스에서 날뛰는 걸 보면 전쟁의 신답게 소환자의 말을 안 들어먹는 모양. ①의 효과는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유발효과]]. 아쉽지만 싱크로 소환한 바흐람이 파괴되었을 경우에만 적용되므로, 엔디미온의 효과로 장착시키고 바로 자괴해서 쓸 수는 없다. 그리고 싱크로 소환에 성공한 상태여아만 발동하므로 소환이 무효화되어 파괴되는 경우에도 적용되지 않는다. 이래저래 불편한 효과. ②의 효과는 바흐람을 장착한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지속효과]]. 당연히 몬스터 효과에는 뻥뻥 뚫리므로 이에 주의해야 한다. ③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개시시 [[A·O·J 카타스톨|전투하는 상대 몬스터를 부서버리는]] [[유발효과]]. 참고로 데미지 스텝에 적용하므로,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파괴하는 몬스터와 붙으면 이 쪽이 진다.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으면 데미지 스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 소재 지정 및 효과 모두 마기스토스 엑스트라 덱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범용적이다. 어느 쪽이든 유용한 효과지만, 정작 이 카드 자신을 장착 카드로 삼는 효과는 없으니 다른 카드의 효과로 장착 카드로 만들 필요가 있다. 마기스토스 덱은 묘지나 엑스트라 덱에서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삼을 수단도 풍부하니 어렵지는 않다. 특히 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는 프리 체인으로 장착할 수 있으니 제거 효과 발동시에 체인하여 장착시키면 그대로 회피할 수 있고, 상대의 공격 선언시에 장착시키면 ③의 효과로 되받아치기도 시도할 수 있다. 그 외에는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등으로 이 카드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상대의 카드 효과로 상대 몬스터한테 장착되었을 우에도 역이용될 여지가 있으니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계열 카드는 요주의. 특히 [[기황신룡 트리스켈리아]]는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서 장착할 수 있는데다가 이 카드가 싱크로 몬스터이기까지 해서, 공격력 5500짜리가 3회 공격을 하면서 덤으로 몬스터 제거까지 실행 가능한 매우 강력한 어태커가 되어버린다. 모티브는 페르시아 신화, 혹은 조로아스터교의 전쟁과 승리의 신 [[베레트라그나]]의 다른 이름인 바흐람.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기스토스 다이몬 조로아 ==== [[파일:絶火の魔神ゾロ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다이몬 조로아, 일어판 명칭=絶火の魔神(マギストス・ダイモーン)ゾロア, 영어판 명칭=Zoroa\, the Magistus Conflagrant Calamity, 레벨=8, 속성=화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900, 수비력=1500, 소재=마법사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카드와 같은 종류(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의 몬스터 효과를 상대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절화의 마신'이라 쓰고, '마기스토스 다이몬'으로 읽는다. 마기스토스 플레임 조로아의 진화체. 여타 마기스토스처럼 장착되어 장착 몬스터를 보조하는 효과가 없지만, 역으로 몇 번이고 소생해서 마기스토스의 보조를 받는 에이스에 가까운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하면 엑스트라 덱의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장착하는 효과. 명칭 턴 제약이 없기 때문에 한턴에 여러 번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상대의 자신 마함 존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카드와 같은 종류의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봉인하는 효과. 마기스토스는 모든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다루는 만큼 거의 모든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봉인할 수 있어 마기스토스의 부족한 퍼미션을 약간은 해결했다. 또한 엑스트라 몬스터가 마함존 위에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다이몬이 직접 장착하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것도 장점.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카드 1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즉 싱크로 소환된 바흐람을 파괴하면서 소환되고 상대 필드를 전부 치울 수 있다. 바흐람의 날개를 가진 것으로 보아 의식을 거쳐 바흐람의 힘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마기스토스들과 달리 현재의 모습이 없는 건 이대로 신이 돼 버렸기 때문일지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D_Zoroa_the Magistus_Live2D.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fff 유희왕 마스터 듀얼}}}]] 마기스토스 다이몬 조로아 {{{#fff 소환 연출}}}'''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는 미실장 상태지만 2022년 5월 6일에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소환 연출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후 6월 10일에 출시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BURST OF DESTINY]] || BODE-JP045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마기스토스 가디스 닌아루루 ==== [[파일:結晶の女神ニンアル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가디스 닌아루루, 일어판 명칭=結晶の女神(マギストス・ゴッデス)ニンアルル, 영어판 명칭=Ninaruru\, the Magistus Glass Goddess,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800, 수비력=2400, 소재=마법사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의 묘지의 레벨 4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까지 몬스터에게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장착되어있을 경우\,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마기스토스"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결정의 여신이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가디스라고 읽는다. 묘하게 [[위치크래프트(유희왕)#s-4.1.8|위치크래프트 골렘 아루루]]와 비슷한데, 피부색을 칠하고 모자를 씌우면 영락없이 아루루다. 아무래도 이 카드를 만든 기술을 응용해서 만든 게 아루루인 모양. 모티브도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출산과 땅의 여신 [[닌후르쌍]][* [[성잔|다른 카드군]] 닝기르수의 모티브가 된 신 "닌우르타"의 어머니다.]의 다른 이름인 아루루로 동일하다. 종족은 암석족으로 다른데, 애초에 [[골렘]]의 정의가 마법으로 만든 로봇 비슷한 걸로 생각하면 샹드리용의 전문 분야인 결정 마술로 만든 골렘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묘지의 레벨 4 이상의 마법사족을 샐비지하는 효과. 크로울리의 특수 소환을 위해 버린 마법사족을 다시 퍼 와 아드 소모를 매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에게 2회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 아쉽지만 몬스터에게 만 2회 공격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이라도 직접 공격했다면 추가 공격권을 쓸 수 없다. ③의 효과는 장착된 상태에서 발동하며, 마기스토스 마/함과 상대 필드의 마/함을 대상으로 해 부수는 효과. 장착되어 마/함 존에 놓인 몬스터는 기본적으로 마법 카드 취급이기 때문에 다른 마기스토스를 장착시키고 같이 깨부술 수 있으며, 마기스토스는 마/함 존에서 다시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같이 부서지는 건 큰 문제가 아니다. 마기스토스 마/함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뒷면 카드는 자괴시킬 수 없다는 것에 주의.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7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기스토스 위치 산드리용 ==== [[파일:結晶の魔女サンドリヨ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위치 산드리용, 일어판 명칭=結晶の魔女(マギストス・ウイッチ)サンドリヨン, 영어판 명칭=Rilliona\, the Wondrous Magistus Witch Wardrobe,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2800, 소재=속성이 다른 마법사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마기스토스"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닌아루루의 힘을 받고 변한듯한 산드리용. '결정의 마녀'라 쓰고 '마기스토스 위치'라 읽는다. [[위치크래프트#s-4.1.7|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와 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이 일치한다.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덱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리크루트하는 [[기동효과]]. 하지만 이 효과를 발동한 턴에는 마기스토스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 다이몬조로아가 있다고 해도 결국 에이스 몬스터가 부족한 마기스토스에게는 조금 큰 문제. ②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에게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를 걸어주는 효과. 2020년의 제일 마지막에 공개된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기타사항'''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JP042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 LIOV-KR042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EN04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 ==== [[파일:聖魔の乙女アルテミ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 일어판 명칭=聖魔の乙女(マギストス・メイデン)アルテミス, 영어판 명칭=Artemis\, the Magistus Moon Maiden, 레벨=1,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link8=, 소재=레벨 4 이하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 효과외1=자신은 "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그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다른 "마기스토스"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되어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성마의 처녀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메이든으로 읽는다. [[신성마황후 셀레네]]의 과거 시절 모습. 모티브는 [[셀레네]]와 같이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로, 초승달처럼 생긴 의자에 앉아 있다. 다른 마기스토스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몬스터 존에서 써먹을 만 한 효과가 있는 것과 달리 이 카드는 순수하게 장착 계열 효과만 있기에 정규 소환하는 것 보단 엔디미온의 효과로 장착시키는 게 편하다. 마침 장착 효과도 마기스토스 몬스터 서치로 가장 유능한 효과. 마기스토스의 효과가 아니더라도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등의 효과로 장착되었을 때에도 효과를 쓸 수 있는데, 마침 레벨 4에 특화된 카드군 특성 상 새비지 드래곤을 뽑기 쉽기에 여차하면 퍼미션 횟수를 포기하고 서치 효과를 쓰는 것도 나쁘지 않다. 또한 다른 효과는 아무것도 보지 않고 링크 소재로 하급 마법사족을 빠르게 묘지로 덤핑하는 용도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와 같은 방식으로 쓰는 방법이 있다. 대표적으로 레벨 4 마법사족인 알레이스터 중심의 [[소환수(유희왕)|소환수]], 하급 마법사족이 널린 [[섀도르]]다. 둘 다 빛 속성 융합몹이 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마침 빛 속성에 마법사족을 요구하는 아르테미스와 궁합이 좋다. [[시큐어 가드너]]와 같은 역할이지만 엑스트라 덱을 1자리만 차지하는 것이 장점. 실제로도 섀도르는 샹드리용과 함께 용병으로 쓰고 있다. 이 범용성 덕분에 제네시스 임팩터즈에서 가장 비싼 시세를 자랑하고 있었고 국내에서 임팩터즈를 한 번 재록한 적도 있었다. 현재는 [[레어리티 컬렉션]] 쿼터 센츄리 에디션에서 대량 풀려서 물량과 시세 걱정은 없어졌다. 소재 조건 덕에 [[검은 숲의 마녀]]를 소재로 바로 마녀의 리크루트 효과를 써먹을 수 있으나, 링크 마커가 위쪽을 향하고 있기에 [[크리터(유희왕)|크리터]] +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 [[파라디온#신수의 파라디온|신수의 파라디온]] =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같은 콤보는 불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8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트리스 마기스토스 === [[파일:三賢者の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트리스 마기스토스, 일어판 명칭=三賢者の書(トリス・マギストス), 영어판 명칭=Trismagistu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장착 카드를 장착한 "마기스토스" 몬스터는 각각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삼현자의 서 라고 쓰고 트리스 마기스토스 라고 읽는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장착 카드를 장착한 마기스토스 몬스터에 일회용 전투 내성을 부여하며, 1턴에 1번 패의 하급 마법사족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기동 효과, 그리고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패의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있는 대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당연히 ②의 효과랑 ③의 효과는 한 쪽만 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름처럼 일러스트에는 크로울리, 엔디미온, 샹드리용이 서 있는 마법진이 그려진 책이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09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 === [[파일:大いなる魔導.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테우로기어 마기스토스, 일어판 명칭=大いなる魔導(テウロギア・マギストス), 영어판 명칭=Magistus Theurgy,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 / 필드 / 묘지에서 레벨 4 이외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자신의 묘지에 "마기스토스"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가 각각 1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효과로 장착하는 몬스터를\, "마기스토스" 몬스터 이외의 엑스트라 덱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 중에서 고를 수 있다.)] 위대한 마도 라고 쓰고 테우로기아 마기스토스 라고 읽는다. 어차피 루비로 마기스토스라고 읽기 때문에 [[마도(유희왕)|마도]] 카드군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카드명의 어원인 '테우르기아(Theurgy)'는 '신의 작업'을 뜻한다. 필드나 묘지, 엑덱에서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장착하는 효과인데, 특이하게 묘지에 융/싱/엑/링 마기스토스를 전부 모으면 마기스토스 이외의 몬스터도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장착된 상태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는 [[불꽃성기사]], 혹은 [[슈팅 퀘이사 드래곤]]처럼 몬스터 존 이외의 장소에서도 필드에서 벗어나면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정도밖에 없고, 묘지에 저 4종류를 전부 모으기도 쉬운 일이 아니라 덤이라고 보면 된다. 일러스트에는 마기스토스 메인 몬스터들이 조로아를 중심으로 정사면체 마법진을 만드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10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기스토스 인보케이션 === [[파일:聖なる法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마기스토스 인보케이션, 일어판 명칭=聖なる法典(マギストス・インヴォケーション), 영어판 명칭=Magistus Invoc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마법사족 몬스터를 포함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마기스토스"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경우\, "마기스토스" 몬스터가 장착하고 있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장착 카드로 취급된 융합 소재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성스러운 법전이라고 쓰고 마기스토스 인보케이션으로 읽는다. 인보케이션은 [[소환수(유희왕)|소환마술]]의 TCG권 번역명인데, 둘 다 융합 소환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마기스토스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경우, 마/함존의 장착된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쓸 수 있는데, 이 말인 즉슨 [[펜듈럼 퓨전]]처럼 마/함 존의 카드를 융합 소재로 쓸 수 있는 카드라는 말. 물론 장착 카드 취급인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쓰므로 마/함과 융합하는 취급은 아니다. 일러스트는 크로울리가 아이와스를 소환하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11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브리트라 마기스토스 === [[파일:絶火の祆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브리트라 마기스토스, 일어판 명칭=絶火の祆現(ヴリトラ・マギストス), 영어판 명칭=Magistus Vritra,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기스토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마기스토스"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평범한 하급 마기스토스 소생 효과와 마/함 존의 마기스토스 카드 파괴를 대신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 파괴를 막아주는 효과는 상대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는 것만 막기 때문에 닌아루루로 같이 터지는 건 막아줄 수 없다. 카드명은 절화의 현현이라고 쓰고 브리트라 마기스토스 라고 읽는다. 조로아스터 교를 중국에선 祆敎(현교)라고 읽는데, 그 이름대로 조로아스터교의 신을 모티브로 나온 바흐람이 그려져 있다. [[브리트라]]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또는 [[아수라]]로 어느쪽이든 [[인드라]]에게 퇴치된다. 이후 인드라는 '브리트라를 물리친 자'란 뜻으로 '브리트라한'이라는 칭호를 얻는데, 어원이 바흐람의 아베스타어 이름 [[베레트라그나]]와 유사하다. 인드라는 페르시아에서 악신 [[데바|다에바]]로 분류되는데, 칭호만 따로 분리되어 신격화되었다는 해석이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조로아가 바흐람과 대치하고 있다. 테우로기아 마기스토스의 과정을 통해 바흐람을 소환했으나 말을 안 들어먹고 조로아를 공격하는 것인지, 다른 이유로 대치하고 있는 장면인지는 불명.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네시스 임팩터즈|ジェネシス・インパクターズ]] || DBGI-JP012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초월융합]] 마기스토스 덱은 보통 용병까지 레벨 4 마법사족 위주로 채용하기 때문에 아이와스를 소환 후 초월융합의 2번 효과를 사용해 위치 상드리용을 엑시즈 소환, 상드리용의 효과로 플레임 조로아를 소환 후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장착해서 상드리용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 엑시즈 소재를 다시 불러온 뒤 둘을 싱크로 소재로 다이몬 조로아를 소환할 수 있다. * [[검은 숲의 마녀]] 보통 조로아로 소환되어 온갖 소재로 쓰인 후, 다음 턴에 쓸 [[증식의 G]], [[이펙트 뵐러]] 같은 패 트랩이나 강력한 내성의 몹을 치울 [[파괴수(유희왕)#노염파괴수 도고란|노염파괴수 도고란]], 효과를 사용하지 않아도 전개에 도움이 되는 [[데몬 이터(유희왕)|데몬 이터]] 등을 서치해준다. 마기스토스 몬스터 일부도 서치 범위에 포함된다. *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 4축 덱의 영원한 친구. 마기스토스 마법카드를 버리고 베르를 소환 후, 베르로 버린 카드와 같은 카드를 서치한다면 덱 압축이나 다름 없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베르 외에도 플레임 조로아를 소환해 액세스코드까지 이을 수 있다.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