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린킨 파크)] [목차] == 정규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 2000. 10. 24. || [[Hybrid Theory]] || || 2003. 03. 25. || [[Meteora]] || || 2007. 05. 25. || [[Minutes to Midnight]] || || 2010. 09. 08. || [[A Thousand Suns]] || || 2012. 06. 26. || [[Living Things]] || || 2014. 06. 17. || [[The Hunting Party]] || || 2017. 05. 19. || [[One More Light]] || {{{+1 모든 음반들의 작곡, 작사, 편곡은 린킨 파크가 하였다.}}} [* 모든 앨범의 작사, 작곡을 오로지 린킨 파크가 전부 제작하였다고 하나, 3집을 기점으로 작곡가 "릭 루빈"과 "공동 제작"한 부분이 있다. 이때를 기점으로 밴드의 스타일이 바뀐 사실이 있다.] === [[Hybrid Theory]] === [[Hybrid Theory|항목 참조]] === [[Meteora]] === [[Meteora|항목 참조]] === [[Minutes to Midnight]] === [[Minutes to Midnight|항목 참조]] === [[A Thousand Suns]] === [[A Thousand Suns|항목 참조]] === LIVING THINGS === [[파일:attachment/린킨 파크/디스코그래피/livingthings.jpg|width=500px]] 01. LOST IN THE ECHO: 강렬한 신스 사운드와 시노다의 불꽃 랩이 인상적이다. 뮤직비디오는 사랑하는 이를 잃은 자들의 초혼을 다루는 듯한 내용이다. 02. IN MY REMAINS 03. BURN IT DOWN: 2012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처음으로 이 곡을 [[http://youtu.be/Gf1hxFuiC34|라이브]]로 선보였다. 04. LIES GREED MISERY: 이 곡을 라이브로 연주할 때 브래드 델슨은 [[런치패드]]를 다룬다. 멜로디는 흥겨운 편이나 가사는 상대방을 엄청나게 저주하는 내용이다. 마지막 후렴구에서 체스터가 엄청나게 스크리밍을 내지르는 게 일품.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티저에서 BGM으로 쓰이기도 했다. 05. I'LL BE GONE 06. CASTLE OF GLASS: 5집의 묵시록적인 면을 잘 보여준 곡. 곡 분위기가 잔잔하면서 신비롭다. 뮤직비디오는 전사한 군인과 동료, 유족을 보여주며, 그 유족이 자라나 다시 군인이 되는 슬프면서도 의미깊은 내용.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엔딩 테마곡이다. 07. VICTIMIZED: 러닝타임이 2분이 조금 안 되는 짧은 곡이지만 마이크의 랩과 보컬, 체스터의 스크리밍 등 있을 건 다 있다. 08. ROADS UNTRAVELED: 인터미션. 09. SKIN TO BONE: [[롤챔스]] 인터뷰 BGM으로 이 곡이 쓰였다. 10. UNTIL IT BREAKS: 마이크 시노다의 힙합 곡. 후반부에 들리는 제 3의 보컬은 브래드 델슨이다. 11. TINFOIL: 다음 트랙인 Powerless에 이어지는 연주곡. 12. POWERLESS: 영화 [[링컨: 뱀파이어 헌터]] OST로 쓰인 곡. 2012년 06월 26일에 발매된 5번째 스튜디오 앨범. 전작이 발매된 지 1년 반이 안 되어 첫 싱글 Burn It Down이 공개 되었으며, 1년 9개월 만에 앨범이 발매되었다. 기존 앨범 발매 주기를 감안하였을 때 훨씬 빠르게 작업이 이루어졌다. 4집에서의 실험적인 면을 걷어내고, 좀 더 대중적인 락밴드의 느낌으로 복귀했다. 그렇지만 마냥 1, 2집 때처럼 원복한 것은 아니고, 일렉트로닉의 비중이 4집 때만큼이나 높다. 마이크 시노다의 신디사이저와 조 한의 샘플러의 활용도가 높아, 1선에서 멜로디를 지휘한다. 브래드 댈슨의 기타도 전자악기에 다소 묻히는 감이 없잖아 있지만, 4집보다는 전면적으로 나서는 편이며, Victimized 같이 휘몰아 치는 곡에서는 헤비한 기타 리프를 들어볼 수 있다. 팬들의 반응은 4집보다는 많이 호감으로 돌아섰는데, 린킨 파크 특유의 멜로디는 여전하며, 계속 진화하는 모습에 환영하는 팬들이 많았다. 물론 과거의 내달리는 분위기를 원하는 팬들의 여전히 아쉬워하는 여론은 있었다. 평론가들의 평은 엇갈렸는데, 특히 4집의 실험성을 크게 호평했던 이들은 대중적으로 회귀한 신보에 아쉬움을 표했다. 하지만 대체로 린킨 파크의 복귀에 대체로 괜찮은 평가를 내린 편. 특이하게 이 앨범만 제목과 곡 이름이 전부 대문자로 쓰여져 있다. 그런데 몇몇 스트리밍 사이트에서는 평범하게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여져 있는 경우도 있다. ==== Living things Acapellas/Instrumentals ==== 2012년 9월에 인스트루멘탈과 보컬을 따로 분리하여 팬서비스 격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 The Hunting Party === [[파일:attachment/린킨 파크/디스코그래피/thehuntingparty.jpg|width=500px]] 01. Keys To the Kingdom: 전자음이 들어간 체스터의 스크리밍이 돋보이는 노래. 기존의 린킨 파크 노래와 곡 구성이 많이 다르다[* 체스터 스크리밍→마이크 보컬→체스터 스크리밍→마이크 랩→체스터 스크리밍 순. 기존에는 마이크 랩→체스터 보컬→마이크 랩→체스터 스크리밍 순이였다.]. 02. All For Nothing (Featuring Page Hamilton): 체스터의 보컬 비중이 줄어들고 대신 페이지 해밀턴이 후렴구를 부른다. 03. Guilty All the Same (Featuring Rakim): 전설의 랩퍼 라킴이 참여한 노래. 가장 먼저 공개되었다. 04. The Summoning 05. War: 초기의 격렬함으로 돌아간 6집 앨범 수록곡들 중에서도 특히 격렬한 곡. 06. Wastelands 07. Until It's Gone: 이 앨범에서 가장 린킨 파크 초창기 때의 음악적 특징과 가까운 노래. 그래서 이 앨범에 수록된 곡들 중 팬들의 반응이 가장 좋다. 그러나 체스터의 스크리밍이 아쉽다는 평도 있다. 08. Rebellion (Featuring [[시스템 오브 어 다운|Daron Malakian]]):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기타리스트 대런 맬러키언이 참여한 곡. 깊은 사운드의 기타와 음울한 분위기가 인상적. 곡 제목만 보면 압제에 대항하는 정의로운 저항군의 이미지가 담겨있을 것 같지만 곡 내내 자신들은 모순된 존재들일 뿐이라 자조하는 아이러니한 곡. 체스터 사후 라이브에선 대런 맬러키언이 보컬 대타를 뛴다. 09. Mark The Graves: 이 앨범의 분위기에서 조금 벗어난 노래. 전체적으로 헤비하면서도 밝은 느낌이다. 곡 전개가 다소 독특하고 다른 수록곡에 비해 대중적인 멜로디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데다 결정적으로 라이브에서 연주되지 않아 수록곡들 사이에서 가장 덜 알려진 곡이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린킨 파크에 비호의적이였던 리스너들에게는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노래이기도 한데 어떤 이들에게는 가장 완성도가 높은 곡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10. Drawbar (Featuring [[Rage Against The Machine|Tom Morello]]): [[Rage Against The Machine]]의 기타리스트 톰 모렐로가 참여한 곡. 11. Final Masquerade: Masquerade(무도회)라는 단어는 린킨 파크와는 거리가 있어 조금 의외인 노래이다. 체스터의 보컬만 나온다. 12. A Line In the Sand: 3집의 The Little Things Give You Away에서 힌트를 얻어 마지막 트랙인 이 곡을 길게 만든 것이다. 처음엔 잔잔한 마이크의 보컬이 들리다가, 5집의 Victimized의 인트로와 비슷한 기타 리프를 시작으로 분위기가 점점 헤비해진다. 전반적으로 프로그시브 메탈의 영향이 느껴지는 곡으로 Mark the Graves와 함께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곡이다. 2014년 06월 17일에 발매된 6번째 스튜디오 앨범. 5집 투어를 마친 후, 빠르게 후속작 제작에 들어갔으며, 전작을 발매한 지 2년이 지나지 않아 첫 싱글을 공개하였다. 앨범 공개 이전부터 1, 2집 스타일로 회귀한다는 떡밥이 나오기 시작하여 팬들을 크게 기대하게 만들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이크 시노다가 "기타를 강조한 앨범." 이라는 코멘트를 남기며 확인 사살, 올드팬들은 "드디어!"를 외쳤다. 비평가들의 평가 자체는 좋은 편. 이전까지 가장 좋은 편이었던 A Thousand Suns만큼이나 좋은 편이며, 과거 린킨 파크가 갖고 있던 에너지를 갖고 복귀한 반면 데뷔한 지 14년이 넘은 밴드의 원숙함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린킨 파크 본인들이 꾸준히 추구했던 변화하려는 시도와 대중들이 기억하는 린킨 파크에 대한 기대감이 이제야 절충돼서 나온 결과물이라는 평이 많다. 페이지 해밀튼, 대론 말라키안, 톰 모렐로와 같은 걸출한 메탈 아티스트와 함께 작업한 트랙은 물론 역대 가장 위대한 힙합 아티스트인 [[라킴]]과의 콜라보는 뉴메탈 장르에 대한 린킨 파크의 스탠스를 잘 드러낸다. 상업적으로는 전작에 비해서도 다소 가라앉았다. 빌보드 200 차트에서도 3위라는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데뷔 앨범 이후로 최초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달성하지 못했다. 락 및 메탈 장르가 급격히 축소된 시점에 나온 앨범이기도 하고, 하필 그 락 장르로의 전통적인 회귀를 추구했기 때문인 듯. 그래도 꾸준히 팔려서 2017년에는 미국 내에서 플래티넘을 달성했다. === One More Light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Harry Styles]] ||<#FFE400><:> {{{+1 → }}} ||<#FFE400><:> '''[[린킨 파크/디스코그래피 #s-1.7|One More Light]]''' ||<#FFE400><:> {{{+1 → }}} ||<#FFE400><:> True to Self || [[파일:external/b889699c3fc27314912d109b8e619affe15be2022008d802f3b15939a9373400.jpg]] 01. Nobody Can Save Me 02. Good Goodbye 03. Talking to Myself: 팝의 느낌이 강한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록/메탈 느낌이 좀 나는 곡. [* 여담으로 이 곡의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 공개된날 [[체스터 베닝턴]]에 대한 안타까운 [[자살|뉴스]]가 전해졌다.] 04. Battle Symphony 05. Invisible: In Pieces처럼 잔잔하게 시작하여 점점 반주의 악기가 더해지는 방식을 사용한 감미로운 곡이다. 06. Heavy (featuring Kiiara) 07. Sorry For Now: 마이크의 보컬, 체스터의 랩과 런치패드를 이용한 독특한 반주가 어우러진 곡. 08. Halfway Right 09. [[One More Light]]: 이 곡은 체스터 베닝턴의 자살로 인해 체스터 베닝턴의 추모곡이 되었다. 10. Sharp Edges 2017년 05월 19일에 발매된 7번째 스튜디오 앨범이자 체스터 베닝턴이 참여한 마지막 앨범. == 정규 라이브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3.11.18 || Live In Texas || || || 2008.11.24 || Road To Revolution: Live At Milton Keynes || || || 2011. 04. 01. || A Thousand Suns + || 2011 월드투어 라이브 앨범 || || 2013. 03. 12. || Living Things + || 2012 월드투어 라이브 앨범 || || 2014. 06. 13. || The Hunting Party: Live From Mexico || || || 2017. 12. 15. || One More Light Live || 2017 월드투어 라이브 앨범 || == 비정규 라이브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0. 08. 16. || Live in Orlando || || == Compilation Albums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10. 08. 10. || A Decade Underground || || || 2013. 01. 15. || Studio Collection 2000–2012 || || == 리믹스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2. 07. 30. || Reanimation || 힙합뮤지션들과 [[Korn]]의 보컬인 조나단 데이비스 등이 참여한 리믹스 앨범 || || 2004. 11. 30. || Collision Course || 힙합뮤지션 [[JAY-Z]]와의 콜라보레이션 & 리믹스 앨범 || || 2013. 10. 25. || Recharged || DJ [[스티브 아오키]]와의 콜라보레이션 곡 포함 리믹스 앨범 || == Soundtrack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9. 06. 23.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 The Score || With Steve Jablonsky || || 2010. 04. 26. || 8-Bit Rebellion! || || || 2014. 12. 12. || Mall: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 || With Alec Puro || == 언더그라운드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1. 11. 19. || HYBRID THEORY EP (Reissue)[* 1999년 5월 정식 데뷔 이전에 발표된 EP 앨범이 재발표된 앨범으로 LP Underground 1.0으로도 부르는 편이다.] || || || 2002. 11. 18. || LP UNDERGROUND 2[* Underground 2.0] || || || 2003. 11. 17. || LP UNDERGROUND 3[* Underground 3.0] || || || 2004. 11. 22. || LP UNDERGROUND 4[* Underground 4.0] || || || 2005. 11. 21. || LP UNDERGROUND 5[* Underground 5.0] || 2005.07.02 미국 필라델피아, [[JAY-Z]]와의 라이브 8 콘서트 라이브 수록 || || 2006. 12. 05. || LP UNDERGROUND 6[* Underground 6] || || || 2007. 12. 05. || LP UNDERGROUND 7[* LP Underground 7][* 여담이지만 역대 LPU 중에서 제일 평가가 안좋은 LPU다. 심지어 같이 실려온 신발끈도 퀄리티 문제에 시달리고, 데모는 하나도 없고 죄다 라이브 노래만으로 '''땜빵''', 그리고 심지어 다 '''공짜'''로 받을수 있는 라이브 곡들로 채워서 논란에 시들렸다. 그리고 당시엔 LPU 엘범들에 라이브 곡이 들어가는게 지친 팬들도 많아서 그런지 재대로 터졌다. 해당 LPU 이후론 거의 모든 LPU 엘범엔 이젠 데모만 들어간다.] || || 2008. 08. 10. || LP UNDERGROUND 8[* mmm... Cookies: Sweet Hamster Like Jewels From America! (Underground 8.0)] || || || 2008. 11. 28. || Songs From The Underground || || || 2009. 11. 23. || LP UNDERGROUND 9[* Underground 9.0: Demos] || || || 2010. 11. 17. || LP UNDERGROUND X[* LP Underground X: Demos] || || || 2011. 11. 15. || LP UNDERGROUND 11[* Underground 11] || || || 2012. 11. 15. || LP UNDERGROUND 12[* Underground 12] || || || 2013. 11. 18. || LPU XIII[* Underground XIII] || || || 2014. 11. 20. || LPU XIV[* Underground XIV] || || || 2015. 11. 25. || LPU 15[* Underground 15] || || || 2016. 11. 22. || LPU 16[* Underground Sixteen] || || 여담이지만 LPU 6 부터 9까진 [[베스트 바이|BestBuy]]에서도 독점으로 유통했었다. == 싱글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0. 09. 28. || One Step Closer || || || 2001. 05. 01. || Crawling || || || 2001. 06. 18. || Papercut || || || 2001. 11. 20. || In The End || || || 2002. 01. 29. || It's Goin' Down || The X-Ecutioners의 피처링으로 참가[* [[마이크 시노다]], [[조 한]]] || || 2002. 07. 15. || Pts.OF.Athrty || || || 2003. 03. 17. || SomeWhere I Belong || || || 2003. 06. 09. || Faint || || || 2003. 09. 08. || Numb || || || 2004. 01. 12. || From The Inside || || || 2004. 03. 16. || Lying From You || || || 2004. 06. 14. || Breaking The Habit || || || 2004. 12. 13. || Numb/Encore || JAY-Z 참가 || || 2007. 04. 02. || What I've Done || [[트랜스포머 1]] 메인 테마곡 || || 2007. 08. 14. || Bleed It Out || || || 2007. 10. 30. || Shadow Of The Day || || || 2008. 03. 03. || Given Up || || || 2008. 07. 15. || Leave Out All The Rest || [[트와일라잇 시리즈|트와일라잇]] OST 수록곡 || || 2009. 05. 18. || New Divide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메인 테마곡 || || 2010. 01. 19. || Not Alone || Download To Donate For Haiti 수록곡 || || 2010. 04. 26. || 8-Bit Rebellion! || 게임 수록곡 || || 2010. 08. 02. || The Catalyst || [[메달 오브 아너(2010 리부트)|메달 오브 아너]] 홈페이지에서 최초 독점 공개, 메달 오브 아너의 메인 테마곡이자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오프닝 테마 || || 2010. 10. 01. || Waiting For The End || || || 2011. 03. 21. || Burning In The Skies || || || 2011. 05. 27. || Iridescent || [[트랜스포머: 다크 오브 더 문(영화)|트랜스포머: 다크 오브 더 문]] 메인 테마곡 || || 2012. 04. 16. || Burn It Down || || || 2012. 10. 19. || Lost In The Echo || || || 2013. 02. 02. || Castle Of Glass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수록곡 || || 2013. 10. 11. || A Light That Never Comes || || || 2014. 03. 07. || Guilty All The Same || 아이튠즈 공개 싱글, Rakim이 피처링으로 참가 || || 2014. 05. 06. || Until It's Gone || 두번째 아이튠즈 선행공개 싱글,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트랜스포머: 라이즈 오브 더 다크 스파크]] 주제곡 || || 2014. 06. 01. || Wastelands || 세번째 아이튠즈 선행공개 싱글 || || 2014. 06. 03. || Rebellion || 네번째 아이튠즈 선행공개 싱글, [[시스템 오브 어 다운|Daron Malakian]]이 피처링으로 참가 || || 2014. 06. 08. || Final Masquerade || 다섯번째 아이튠즈 선행공개 싱글 || || 2017. 02. 16. || Heavy || Featuring Kiiara || || 2017. 04. 13. || Good Goodbye || Featuring Pusha T and Stormzy || || 2017. 07. 25. || Talking to Myself || || || 2017. 10. 03. || One More Light || || == As featured artist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8. 06. 30. || We Made It || [[버스타 라임즈|Busta Rhymes]]의 피처링으로 참가 || || 2015. 04. 14. || Darker Than Blood || || == 비디오 앨범 == || '''발매일''' || '''타이틀''' || '''비고''' || || 2001. 11. 20. || Frat Party At The Pankake Festival || || || 2003. 03. 25. || The Making Of Meteora || || || 2003. 11. 18. || Live In Texas || || || 2004. 07. 27. || Breaking The Habit || || || 2004. 11. 30. || Collision Course || || || 2007. 05. 14. || The Making of Minutes to Midnight || || || 2008. 11. 24. || Road to Revolution: Live at Milton Keynes || || || 2010. 09. 08. || The Meeting of A Thousand Suns || || || 2011. 04. 01. || A Thousand Suns+ || || || 2012. 06. 19. || Inside Living Things || || || 2013. 03. 22. || Living Things + || || || 2014. 06. 13. || The Hunting Party (DVD) || || [[분류:린킨 파크/디스코그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