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탈리아의 축구인, rd1=마르첼로 리피, other2=게임 강철전기 C21 및 코즈믹 브레이크의 등장 메카 로봇 캐릭터, rd2=리피(사이버스텝))] [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리피(Leepi)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폭포]]의 이름이다. 2006년 제명된 '[[상산(태풍)|상산]]'을 대체한다. == 2013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13년 태풍)] ||<#3594D3> [[틀:2013년 태풍|{{{#FFF '''2013년 태풍'''}}}]] || ||<#FFF,#1F2023> 제3호 [[야기(태풍)#s-4|야기]] → '''제4호 리피''' → 제5호 [[버빙카#s-4]] || ||<-3> '''{{{+5 {{{#!html 2013년 제4호 태풍 리피}}}}}}''' || ||<#3594d3> {{{#ffffff 위성사진}}} ||<-2>[[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1304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13년 6월 18일 9시 ~ 2013년 6월 21일 9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 [[필리핀]], [[대만]], [[일본]], [[대한민국]] || ||<#3594D3> {{{#white 태풍 등급}}} ||<-2><:><#00faf4>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95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94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18 m/s''' || || 10분 평균 || '''21 m/s''' || === 2013년 제4호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6월 18일 9시 || 30kn || 35kn ||<#5ebaff> 열대저기압 ||<|12><#00faf4> 약 || || 6월 18일 15시 || 35kn || 35kn ||<|7><#00faf4> 열대폭풍 || || 6월 18일 21시 || 35kn || 35kn || || 6월 19일 3시 || 35kn || 40kn || || 6월 19일 9시 || 35kn || 40kn || || 6월 19일 15시 || 35kn || 40kn || || 6월 19일 21시 || 35kn || 40kn || || 6월 20일 3시 || 35kn || 40kn || || 6월 20일 9시 || 30kn || 40kn ||<#5ebaff> 열대저기압 || || 6월 20일 15시 || 35kn || 40kn ||<|2><#00faf4> 열대폭풍 || || 6월 20일 21시 || 35kn || 40kn || || 6월 21일 3시 || 25kn || 35kn ||<#5ebaff> 열대저기압 || || 6월 21일 9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8년 제15호 태풍 == [include(틀:2018년 태풍)] ||<#3594D3> [[틀:2018년 태풍|{{{#FFF '''2018년 태풍'''}}}]] || ||<#FFF,#1F2023> 제14호 [[야기(태풍)#s-5|야기]] → '''제15호 리피''' → 제16호 [[버빙카#s-5]] || |||||| '''{{{+5 {{{#!html 2018년 제15호 태풍 리피}}}}}}'''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8년 8월 11일 21시 ~ 2018년 8월 15일 9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일본]], [[대한민국]]|| ||<#3594D3> {{{#white 태풍 등급}}} ||<-2><:><#ffffcc>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4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4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33 m/s''' || ||<:>10분 평균 || '''26 m/s''' || 8월 11일 일본 열도 남쪽 먼바다에서 발생한 태풍. 먼저 발생한 '[[야기(태풍)#s-5|야기]]'가 중국 상해 부근에서 소멸하자마자 발생했다. 하지만 더이상 태풍에게 폭염 해소를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 오히려 수증기를 가득 포함한 습한 공기만 토해내고 갈 것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14&aid=0000865653|걱정]]하는 처지가 되었다. 그저 [[말복]]이 빨리 지나가길 바랄 뿐인 상황이다. 그러나 마지막 희망마저 비웃듯이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80917080316504a01bf698f_1&md=20180813040954_J|리피는 뜨거운 폭염 수증기를 한반도로 발사했다.]] ||[[파일:leepi.png|width=315]]|| || 2018년 8월 13일 예상 경로 || ||[[파일:typhoon15(리피).png|width=315]]|| || 2018년 8월 15일 예상 경로 || 위와 같이 한반도를 스쳐서 오른쪽으로 급 커브를 틀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 [[파일:리피최종경로.jpg|width=315]] || 이 녀석도 결국 한반도의 열돔을 뚫지 못하고 다시 소멸해 버렸다. 그래도 부산 앞 40 km까지 근접한 그야말로 엄청나게 근접한 태풍으로 남게 되었으며, 남해안 지역에는 강한 비구름을 몰고오면서 많은 양의 비를 뿌리고, 동풍을 몰고와 잠깐이지만 열대야를 물리치고 지옥같은 더위도 어느정도 완화시켰다. [[분류:2013년 태풍]][[분류:2018년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