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e5d85c 베니스 국제 영화제}}}]] ''' }}} || ||<-5> [[파일:silverlion.png|width=180]] || ||<-5> {{{#e5d85c '''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e5d85c 은사자상}}}]] ''' }}} || || ''' 제50회[br]([[1993년]]) ''' || {{{+1 → }}} || ''' 제51회[br]([[1994년]]) ''' || {{{+1 → }}} || ''' 제52회[br]([[1995년]]) ''' || || 코쉬 바 코쉬 || {{{+1 → }}} || '''리틀 오데사'''[br][[천상의 피조물]][br]일 토로 || {{{+1 → }}} || || ||<-5> || ---- [include(틀:제임스 그레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fffff '''{{{+2 리틀 오데사}}}''' (1994)[br]''Little Odess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ittle Odessa.jpg|width=100%]]}}} || || '''{{{#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범죄]], [[드라마]]}}} || || '''{{{#ffffff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임스 그레이]]}}} || || '''{{{#ffffff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임스 그레이]]}}} || || '''{{{#ffffff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닉 웨슬러 롤프 미트웨크 클라우디아 루이스}}} || || '''{{{#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폴 웹스터 케리 오렌트}}} || || '''{{{#ffffff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팀 로스]] [[에드워드 펄롱]]}}}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톰 리치몬드}}}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도리안 해리스}}}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케빈 톰슨}}}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이너 사노}}} || || '''{{{#ffffff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클런시}}} || || '''{{{#ffffff 배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더글라스 아이벨}}} || || '''{{{#ffffff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인 라인 피처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라이브 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뉴 라인 시네마]]}}} || || '''{{{#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인 라인 피처스}}}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베니스 국제 영화제|[[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94년]] [[9월 2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5년]] [[5월 1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개봉}}} || || '''[[화면비율|{{{#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 : 1}}}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8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0만 달러}}}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095,885}}} || || '''{{{#ffffff 국내 다운로드/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000000 (씨네폭스)}}} [[http://cinefox.com/vod/view?product_seq=22954|▶]]}}}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DVD, VOD 심의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BROTHERS IN BLOOD. PARTNERS IN CRIME.''' >'''피로 얽힌 형제. 범죄로 얽힌 파트너.''' >---- > 북미 포스터 태그라인 [[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1994년작 영화. [[팀 로스]], [[에드워드 펄롱]] 주연. 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자, 첫 번째 범죄 영화. 장르물이 아니면 투자받기 힘들다는 이유 때문에 감독이 원하지 않는 범죄 영화를 연출하게 되었다. 이후 [[위 오운 더 나잇]]까지 이 기조가 이어진다. 또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그레이 감독의 영화에서 반복될 '[[브루클린]] 지역의 브라이턴 비치에 사는 [[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유대인 이민자]]'가 등장인물들의 기본 설정이기도 하다. 킬러 조슈아 샤피라와 그의 동생 루벤이 중심 인물로 팀 로스가 분한 조슈아의 살인 장면이 인상적이다. 뭐 대단한 액션 없이 그냥 팍팍 쏴죽여버린다. == 예고편 == ||<:>
<#000000> [youtube(LkGY1-IvSmU)] || ||<:><#000000> {{{#ffffff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ffffff 뉴욕의 한복판. 공원 벤치에 앉아있던 중년의 남자가 순식간에 한 청년의 총에 숨을 거둔다. 주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깨닫기도 전에 범인 조슈아 샤피라(팀 로스 분)는 군중 속으로 사라진다. 그는 마피아 행동 대원 중의 하나다. 전화로 수행한 임무를 보고하는 그의 다음 임무는 브룩클린의 리틀 오데사로 불리는 러시아인들이 사는 지역의 한 아랍계 보석상 팔레비를 없애는 일이다. 하지만 그곳은 자신이 자랐던 마을이며, 그의 부모와 동생, 사랑하는 여인 알라(모이라 켈리 분)가 살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적인 감정을 인정하지 않는 조직은 이 일을 결행한다. 몰래 리틀 오데사로 잠입하지만 그의 동생 루벤(에드워드 펄롱 분)에게 들키고 죽어가는 어머니의 소식을 접한 조슈아는 그의 생가에까지 들르게 된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는 살인자로 소문난 아들을 받아들이지 않는데...}}}|| == 등장인물 == * [[팀 로스]] - 조슈아 샤피라 역 * [[에드워드 펄롱]] - 루벤 샤피라 역 * 모이라 켈리 - 알라 슈스터비치 역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일리나 샤피라 역 * 폴 가일포일 - 보리스 볼코프 역 * 나탈리아 앤드레체코 - 나타샤 역 * [[막시밀리안 셸]] - 아르카디 샤피라 역 * 데이비드 바딤 - 샤샤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little-odessa, critic=62,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ittle_odessa, tomato=61, popcorn=70)]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10365,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ittle-odessa,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1315, presse=5.0,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474, user=6.65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27737, user=3.5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454, user=7.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5183, user=7.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GwVn5,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8575,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9015,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8.32)]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28972, expert=없음, user=8.5)] [include(틀:평가/CGV, code=63438,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little-odessa-m100021506,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범죄물이지만 장르적 자극이 중요한 요소는 아니며, 오히려 가족극에 가깝다. 뉴욕 브루클린 러시아계 [[유대인]] 가족으로써 살아가는 것에 대한 자전적인 요소가 많이 보이는 영화. 그레이 영화들이 그렇듯이 분위기가 가라앉아있고 어두운 편. [[에드워드 펄롱|펄롱]] 커리어로 보면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로 데뷔하고 좀 지나서 찍은 영화라, 망가지기 전 모습을 볼 수 있는 영화기도 하다. 주역인 [[팀 로스]] 다음으로 비중이 많은 역인데, [[아메리칸 히스토리 X]]로 대표되는 성인 펄롱의 준수한 연기력을 확인할 수 있다.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은사자상]]을 수상했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1,095,885''' ||<:> 미정 || 아무래도 흥행이 저조했는지 제임스 그레이는 다음 영화 [[더 야드]]를 연출하기까지 6년 동안 연출할 기회를 [* 정확히는 1998년에 촬영했지만 2년동안 묵혀두고 있었다.] 잡지 못하였다. 국내에는 [[비열한 거리]]라는 제목으로 비디오 출시됐다. [[비열한 거리|갱스터 물의 걸작]]이랑 제목이 같아 헷갈리게 만들었는데, 이후 DVD로 출시될 때는 제대로 '리틀 오데사'라는 제목으로 수입되었다.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관련 문서 ==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관련 문서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1994년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