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Rich == === 영어 단어 === [[부자|부유함]]과 풍부함을 뜻하는 영어 [[형용사]] 단어. === [[리처드|Richard]]의 애칭·약칭 === 보통은 Rich로 표기하나 애칭을 나타낼 때 쓰이는 접미사 -ie를 붙여 Richie라 표기하기도 한다. === [[이글파이브]] 출신 가수 리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가수))] === 前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現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Ric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원(프로게이머))] == Lic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언데드))] == 열대 과일 Lyche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과일))]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의 등장 쿠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 드래곤 쿠키)] == Ritchi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맷 리치)] === [[원피스(만화)|원피스]]의 등장 동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원피스))] == Reach == [[길이]] 및 도달하다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격투기에서는 [[윙스팬]]을 뜻하기도 한다. ===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정석]]의 현역 시절 I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정석)] === 소형 입식 [[지게차]]를 뜻하는 은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게차)] == Leech == [[거머리]]를 뜻하는 영어 단어. === [[창세기전 3: 파트 2]]의 지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창세기전 3: 파트 2))] === [[하프라이프]]의 NPC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하프라이프 시리즈))] == Ricci == [[이탈리아]]의 [[성씨]]. ===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가 도입한 [[수학]] 개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치 텐서)] == [[마작]]의 역 또는 이에서 파생된 [[일본어]] == === [[마작]]의 역 === [[리치마작/역/1판역#s-2.2|立直]](リーチ). 사실 정통 베이징어 발음으로는 리치가 아니라 lìzhí가 맞다. 그러나 애당초 리치 개념은 일본 마작에만 있으므로 별 의미없다. 영어 표기시에는 Reach로 표기하는 듯.[* lìzhí → リーチ → Reach로 와전된 형태.] 멘젠(펑이나 치 등을 통해 패를 받지 않은 상황) 텐파이(완성패 1개만을 남겨놓은 상태)시 패를 버리며 선언 가능. 선언 후에는 버린 패를 가로로 돌려 리치 상태인 것을 표시하며,[* 만약 이 표시패가 퐁, 치, 캉 등으로 다른 플레이어에게 넘어갈 경우, 다음 번 버리는 패를 다시 한 번 가로로 돌려 표시한다.] 이후 완성패를 바꿀 수 없다. 쯔모한 패로 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조건 버려야 한다.[* 단, 안깡은 오름패가 바뀌지 않을때 한정으로 가능하다. 예를들어 3개의 몸통과 6667만을 가지고 있을 경우 대기는 5 - 7 - 8만의 형태로 이때 6만을 안깡하면 대기가 7만 하나로 바뀌게 되어 6만을 가져와도 안깡을 선언 할 수 없다. 반면 6669만을 가지고 있을 경우 6만의 안깡 여부와 상관 없이 대기패는 9만밖에 없으므로 리치 후 6만 안깡이 가능하다.] 즉, 자신의 완성패를 고정하는 대가로 역을 하나 얻는 것이다. 리치 선언시에는 1000점 점수봉을 공탁하며, 공탁할 점수가 없는 경우 리치를 걸 수 없다. 이 봉을 리치봉(リー棒, 리-보) 이라 하며, 리치 후 타가가 오를 경우 공탁한 리치봉은 오른 사람의 차지가 된다. 리치 후 유국이 될 경우, 공탁된 점수봉은 그대로 다음 본장으로 넘어가게 되며 이 경우 가장 먼저 오른 사람이 누적된 점수봉을 얻게 된다. 그리고 리치로 오를 경우 도라 표지패의 아래 패(우라도라)를 열 수 있으며, 해당 패로 인한 패 또한 도라로 취급하여 점수 계산에 합산된다. 리치마작의 가장 중요한 룰 중 하나이다. 일본의 다양한 마작 룰 중 리치마작이 주류가 된 것은, 그만큼 리치라는 역의 전략적 의의와 고타점에 의한 시원시원한 맛이 사람들에게 크게 어필했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야구가 [[베이브 루스]] 이후 홈런 위주의 빅 볼 시대가 열렸듯) 리치를 통해 공격력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스피디한 진행으로 상대방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으나, 리치 선언 후에는 상대의 오름 시도에 대한 방어를 전혀 할 수 없으므로 직격을 맞을 위험도 있고 자신이 텐파이한 사실을 광고하여 상대가 올림패를 잘 버리지 않게 되는 양날의 검. 따라서 언제 사용하는 게 적절할지에 대한 감을 익힐 필요가 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리치마작/역/1판역]]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 일본의 조어 === 위 마작 용어에서 파생된 [[일본어]]의 단어. 주로 한자표기를 하는 위 항목과 다르게 보통 リーチ로 표기하며, 게임이나 시합 따위에서 [[듀스]]가 걸리는 상황이나, 마지막 한 수에서 전세를 크게 역전시킬 수 있는 상황 등에서도 쓰인다. 의미상으로는 약간 미묘한 감이 있지만, 어찌됐건 그 어원은 상술한 마작의 역에서 파생된 단어이기 때문에 용례적으로도 リーチがかかった(리치가 걸렸다)와 같이 '걸리다'라는 동사를 사용하는 등, 立直 본래 의미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