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dc143b '''[[루한스크주|{{{#dc143b 루한스크주}}}]]의 도시'''}}}[br]{{{#dc143b {{{+1 '''리시찬스크'''}}}[br]{{{#dc143b '''Лисичанск {{{-2 ([[러시아어|{{{#d34d27 러}}}]])}}} | Лисичанськ {{{-2 ([[우크라이나어|{{{#dc143b 우}}}]])}}}'''}}}}}} || ||<-3> [[파일:리시찬스크 시장(루간스크).png|width=30%]] || ||<-3> '''시장 {{{-2 (러시아)}}}''' || ||<-2> [[파일:리시찬스크 시기(우크라이나).svg|width=55%]] || [[파일:리시찬스크 시장(우크라이나).svg|width=55%]] || ||<-2> '''시기 {{{-2 (우크라이나)}}}''' || '''시장 {{{-2 (우크라이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Лисичанск, 너비=100%, 높이=100%)]}}} || ||<-3> '''{{{#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행정구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리시찬스크[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리시찬스크 || || '''시간대''' ||UTC+3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97,251명^^[[2019년|(2019년)]]^^ || || '''인구 밀도''' ||<-2>1,013명/km² || || '''면적''' ||<-2>96km² || || '''공용어''' ||<-2>[[러시아어]]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시장''' ||<-2>안드레이 스코리[* Андрей Скорый] [include(틀:무소속)] || }}}}}}}}} || || '''설립''' ||<-2> 1710년 || || '''홈페이지''' ||<-2> [[http://lis.gov.ua/|[[파일:리시찬스크 시장(우크라이나).svg|width=25]]]] || || '''SNS''' ||<-2> [[https://vk.com/lisichansk_adm|[[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5]]]] {{{-2 (러시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리시찬스크'''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도시로,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10만명이다. [[세베로도네츠크]], [[루베즈노예]], [[크레멘나야]], 프리볼리예 등과 함께 [[돈바스]] 지역의 공업 지대를 구성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 최후의 [[루한스크주]] 보루였으나, 결국 2022년 7월 3일, 치열한 전투 끝에 [[러시아군]]과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가 리시찬스크를 완전히 점령하였다. == 역사 == 1721년 [[돈바스]] 지역의 석탄이 발견되면서 1795년 탄광 마을로 시작했다.[* 카자크 마을은 1710년 생겨났다.] 1962년 [[세베로도네츠크]]가 독립하고 노보드루제스크와 프리볼리예가 도시로 포함되면서 도시 경계선이 바뀌게 된다. 2014년 4월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이곳을 장악하였으나, 2014년 7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이 도시를 탈환하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베로도네츠크]]가 함락되며 [[루한스크주]] 최후의 도시 역할을 했다. 2022년 6월 3일, 영국 국방부는 '''2주 이내에 러시아군이 루한스크주 전체를 통제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영국 국방부의 예측으로는 2주 이내에 리시찬스크가 함락될 가능성을 암시한다. [[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532600250841669632|#]][* 출처: 영국 국방부 공식 트위터 계정.]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이 3주 이상 더 버티기는 했지만, 2022년 6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이 [[세베로도네츠크]]에서 철군하기로 하면서 리시찬스크 역시 러시아군의 수중으로 넘어가는 것은 시간문제가 되었다. 리시찬스크까지 넘어가게 된다면 [[루한스크주]]는 전역이 [[러시아]] 및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수중으로 넘어가게 된다. 2022년 6월 24일에는 [[프랑스24]]가 리시찬스크를 취재하면서 일부 주민들이 피난을 가는 반면에 일부 친러 주민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피난을 거부하면서 러시아군을 기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CcQJJIvakwo|#]] 2022년 7월 2일, 리시찬스크가 함락 직전 상태가 되었다. [[https://mobile.twitter.com/WarMonitor3/status/1543217410827849728?cxt=HHwWgMC8-eGDzuoqAAAA|#]] 2022년 7월 3일, 완전히 함락되어 러시아 수중에 들어갔다.[[https://www.google.com/amp/mbiz.heraldcorp.com/amp/view.php%3fud=20220703000258|#]] [[파일:리시찬스크점령2022년7월3일.jpg]] 2022년 7월 3일자 리시찬스크 시의회의 사진. 첫 번째 사진에서 카디로비치가 아흐마트 카디로프 깃발을 들고 시의회 앞에 서 있다. 2022년 7월 4일, [[프랑스24]]가 러시아군을 환영하는 리시찬스크 시민들의 모습을 취재했다.[[https://youtu.be/fTKsPCXbk9I|#]] 2022년 9월 10일, [[세르히 하이다이]]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주지사가 리시찬스크 탈환을 위해 시 외곽에 진입했다고 주장했고 일부 매체는 우크라이나군이 리시찬스크 방어선을 돌파해 다시 탈환전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이는 거짓으로 드러났다. 다만 러시아군을 시베르스크 근처에서 몰아내고 도시 인근 빌로호리우카 까지 진격한건 사실이다. [[분류: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루한스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