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스테리아속]] ||<-2> '''{{{#fff {{{+1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br]Listeria monocytoge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isteria monocytogenes'' '''[br](E. Murray et al. 1926) Pirie 1940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 || || [[생물 분류 단계#s-3.2|{{{#000 '''미분류'''}}}]] ||그람 양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후벽균문(Firmicutes)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간균강(Bacilli)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간균목(Bacill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리스테리아과(Listeri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리스테리아속]](''Listeria'')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종'''}}}]]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 monocytogenes'')''' || [목차] [clearfix] == 개요 == L. monocytogene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이 박테리아는 감염된 식품로 전파되거나, 동물 및 [[가금류]]의 배설물로 배설된다. 또한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채소, 오염된 동물에게서 나온 유제품과 날고기가 전파 원인이 된다. 이 질병은 유산 및 [[사산]]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에게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출산 직후 감염될 시 신생아의 정신 지체 및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임산부]], 신생아, 면역결핍자에게 특히 주의가 요구된다. L. monocytogene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증을 '''리스테리아병(Listeriosis)'''라 한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스테리아그람염색.png|width=100%]]}}} ||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그람 염색 결과''' || 여러 특징은 [[리스테리아]] 문서에도 나와 있다. 모양은 반듯한 막대 모양의 그람 양성 간균이지만, 그 길이가 짧고 배열 방식이 유사하여 쌍구균(diplococcus)이나 [[연쇄상구균]](''streptococcus'')과 혼동될 수 있다. [[아포]]를 형성하지 않으며 산소 유무에 따라 대사를 바꿔 양쪽 조건에서 모두 생존하는 조건부 혐기성 세균(facultative anaerobes)이다. 생존력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리스테리아는 냉장 상태인 섭씨 0도 근처 온도에서 생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들도 리스테리아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편모]]를 이용한 자체적인 운동성을 가지나, 그 운동성은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카탈레이스]](catalase) 양성이다. == 독소 및 병리 == L. monocytogenes는 리스테리올리신-O(Listeriolysin O, LLO)라는 용혈소(hemolysin)로 [[대식세포]]의 파고리소좀(Phagolysosome)[* 포식소체(phagosome)와 [[리소좀]](lysosome)이 합쳐져 포식작용에서 세균을 분해하는 세포 내 소체.]에서 벗어나며, 숙주의 면역방어를 회피한다. 종명인 monocytogenes는 [[단핵구]](monocyte)의 [[포식작용]]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한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특유의 단백질인 actin assembly-inducing protein(ActA)을 이용하여 [[액틴]] 단량체를 다량체로 조립하고, [[포식세포]](phagocyte) 안으로 들어가 살 수 있다. == 질병 == 가장 중요하고 위험한 것은 신생아에게의 감염으로, 마찬가지로 신생아 감염이 위험한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Streptococcus agalactiae'')와 함께 주의해야 한다.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의 리스테리아 감염은 [[육아종]]으로 인한 [[패혈증]]과 심각한 [[염증]]을 일으켜 사산에 이르게 한다. 출산 후 시간이 흐른 뒤의 리스테리아 감염은 [[수막염]](meningitis)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면역이 정상적인 성인에게 감염될 시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대개는 신생아의 경우처럼 심각한 질병이 발생하지는 않으나, 상술했듯 임신 중이거나 면역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패혈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진단 == [[혈액]] 배양(culture of blood)을 통해 관찰할 수 있으나, 특히 [[B군 연쇄상구균]]과 균주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을 줄 수 있다. 온도별로 이동성이 달라진다는 것과 0도에 가까운 저온에서도 생존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히 동정할 수 있다.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양수]](Amniotic fluid) 등을 통해서도 진단할 수 있다. == 치료 == [[페니실린]](penicillin)과 [[앰피실린]](ampicillin)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감염이 심하면 [[젠타마이신]](gentamicin) 등의 [[항생제]]를 사용한다. == 통제 방법 == 면역 저하 환자에게 감염된 리스테리아는 수막염과 같은 위험 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미리 이 균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 요구되는 온도로 식품을 완전히 익힌다. 날것이거나 덜 익힌 식품의 섭취를 피한다. * 저온 살균한 [[우유]]와 [[유제품]]을 사용한다. * 먹기 전에 채소를 철저하게 씻는다. * 시설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스테리아, version=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