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저장성의 지급시]] [include(틀:저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000,#ddd 저장성}}}]]의 지급시'''}}} || ||<-3> {{{#ff0 '''{{{+1 [ruby(丽水市, ruby=Lìshuǐ shì)] | [ruby(丽水, ruby=Lisr)](T3)[ruby(市, ruby=Zr)](T3)}}}'''[br]리수이시 | Lishui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丽水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저장성]] 리수이시 롄두구 화위안루1호[br]浙江省丽水市莲都区花园路1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17,29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1현급시 7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507,396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57명/km² || ||<-2> '''{{{#ffff00 서기}}}''' || 후하이펑(胡海峰) || ||<-2> '''{{{#ffff00 시장}}}''' || 우순쩌(吴舜泽)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96억 7,546만 ^^(2020)^^ || || '''{{{#ffff00 1인당}}}''' || $13,037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진달래]] || || '''{{{#ffff00 시목}}}''' || [[녹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浙H'''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处, 丽'''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3'''1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578''' || ||<-2> '''{{{#ffff00 우편번호}}}''' || '''3311'''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ZJ-11''' ||}}}}}}}}} || ||<-3> [[http://www.lishui.gov.cn/|홈페이지]] || [[파일:리수이 중국.jpg|width=450]] 리수이 역 [[파일:잉싱 중국.jpg|width=450]] 강변 공원의 응흥루(应星楼)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저장성]] 서남부의 지급시. [[진화시]]에서 동남쪽으로 60km, [[원저우]]에서 서북쪽으로 70km 떨어진 협곡 분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25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56만이 거주한다. 우이산맥의 한복판에 위치하여 금광석(金鑛石) 등의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이를 기반으로 한 기계, 건축, 전자 산업이 발달하였다. 옛 지명은 괄창(括蒼), 처주(處州) 등이었다. 한자가 똑같은(번체자로 麗水) 한국의 [[여수시]]와 자매결연 도시이다. 시가지는 우장 (구강 瓯江) 북안에 자리해 있으며, 우장은 시가지 동쪽에서 허시강과 합류하여 원저우까지 흘러간다. 시내에는 리수이 대학교가 위치한다. 출신 인물로 송대 시인 엽소옹, [[명나라]]의 개국공신 [[유기(명나라)]], [[중화민국]]의 장성 [[천청]], 바둑기사 [[커제]] 등이 있으며 중국 내에서 이곳 주민들은 성격이 드세기로 유명하다. 리수이 역에는 진화-원저우간 고속철이 지난다. 중화민국의 전함 [[리수이]] 호가 이곳을 따서 명명되었다. == 역사 == 본래 동월족이 세운 동구 (東甌)국에 속했다. [[한무제]]가 동월을 정벌한 후 회계군에 속하였으나 현이 설치되지는 않았다. [[손오]] 시기에 회계군에서 동양 / 임해군이 분리되었을 시기에 현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30여 km 떨어진 쑤이창현과 쑹양현은 각각 동양군 수창현, 임해군 송양현으로 편성되었다. 그러다 [[수문제]] 시기인 589년 처주가 설치되었는데 [[수양제]] 때인 607년 영가군 (永嘉郡)으로 개편되었다. [[당고종]] 때인 621년에는 괄주 (栝州)가 설치되었다. [[당현종]] 때인 742년에 진운군 (缙云郡)으로 개편되었으나 758년 다시 괄주로 돌아갔다. 다만 779년 막 즉위한 [[당덕종]] 이괄의 피휘를 위해 수나라 대의 처주로 개칭되었다. [[원나라]] 대인 1276년에는 처주로가 되었고, 1359년에는 안남부 (安南府)로 격상된 후 처주부가 되었다. 명대에는 다시 처주로 돌아갔고, 현 시가지에 해당하는 여수현이 그 중심이었다. 청대와 중화민국을 거쳐 [[중일전쟁]] 시기에 일본군이 [[항저우]]를 함락하자 저장성 정부는 리수이 서남쪽 윈허현을 임시 성도로 삼았다. (1942년 5월 ~ 1945년 10월) 이로써 리수이 일대는 많은 공장, 병원, 학교 등 각종 공공 시설들이 집중되며 발전하였다. 해방 후 리수이 지구를 거쳐 2000년 리수이 시가 설립되었다. == 교통 == [[취닝철도]](衢宁铁路)10개 역이 리수이시에 있다. == 기타 == [[파일:중국 리수이.jpg]] 진윈현 신두 풍경구 [[분류:중국의 도시]] 절강성에서 미인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있으며 이 지역 출신 여성들중 미인들이 특히 많다. 대부분 예술학원으로 진학해서 모델,연예인, 가수, 술집으로 진로를 타는 경우가 많으며 돈많은 재벌 잡아서 결혼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