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다피 치하의 아랍 사회주의 국가, rd1=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파일:리비아 국장.svg|width=30]] '''{{{#fff 리비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리비아의 역사)] ---- [include(틀:북아프리카의 국가)] ---- [include(틀:셈족)] ---- [include(틀:베르베르인)] ---- [include(틀:OPEC 가입국)] ---- [include(틀:아랍 연맹)] ---- [include(틀:이슬람 협력기구)] ---- [include(틀:여행금지 목록)]}}} || [include(틀:리비아 관련 문서)] ||<-3> '''{{{#fff {{{+1 리비아}}}[* 외교부에서 인지하고 있는 명칭. [[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45|관련 자료]].][br]{{{-1 리비아국}}}[br]دولة ليبيا[* ''Dawlat Lībiyā''] | State of Libya}}}''' || ||<-2> [[파일:리비아 국기.svg|width=80%]] ||<-1> [[파일:리비아 국장.svg|width=60%]] || ||<-2> {{{#ffffff '''국기'''}}} ||<-1> {{{#white '''국장'''}}} || ||<-3> '''{{{#1e9f44 حرية، عدالة، ديمقراطية[* ''ḥurriyya, ʕadāla, dīmuqrāṭiyya''][br]자유, 정의, 민주주의}}}''' || ||<-3> '''{{{#white 상징}}}''' || ||<-1> '''{{{#white 국가}}}''' ||<-2>'''[[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 ||<-1> '''{{{#white 국화}}}''' ||<-2>'''[[석류|석류꽃]]''' || ||<-1> '''{{{#white 국조}}}''' ||<-2>'''아라비아 독수리''' || ||<-3> '''{{{#white 역사}}}''' || ||<-3> '''1947년 2월 10일 독립 선포'''[br]'''1951년 12월 24일 [[리비아 왕국]] 수립'''[br]'''1969년 9월 1일 [[무아마르 카다피]]의 쿠데타'''[br]'''1977년 3월 2일 [[리비아 아랍 공화국]] 수립'''[br]'''2011년 2월 17일 [[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리비아 민주화 운동]]''' || ||<-3> '''{{{#white 지리}}}'''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면적}}}''' ||<-4>[[https://en.wikipedia.org/wiki/Libya|1,759,541km²]] / 세계 16위 || ||<-2> '''{{{#white 수도[br]최대 도시}}}''' ||<-4>'''[[트리폴리]]''' || ||<-2> '''{{{#white 접경국}}}''' ||<-4>[[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이집트]]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25]][[수단 공화국|수단]] [[파일:차드 국기.svg|width=25]][[차드]] [[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25]][[니제르]]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5]][[튀니지]] ||}}}}}}}}} || ||<-3> '''{{{#white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white 인구}}}''' || '''{{{#white 총인구}}}''' ||<-2>6,875,745명^^(2023년)^^ | 세계 107위 || || '''{{{#white 인구밀도}}}''' ||[[https://en.wikipedia.org/wiki/Libya|3.74명/km²]]^^(2020년)^^ / 세계 218위 || || '''{{{#white 민족 구성}}}''' ||[[아랍인]] 92%, [[베르베르인]] 5%, 기타 3% 등 || || '''{{{#white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2.22명(2020년)[*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P.DYN.TFRT.IN?locations=LY|출처]]] CIA 자료 3.09명(2022년)[*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field/total-fertility-rate/country-comparison|출처]]] || ||<-2> '''{{{#white HDI}}}''' ||0.724^^(2019년)^^ / 세계 105위 || ||<-2> '''[[공용어|{{{#white 공용 언어}}}]]''' ||<-4>[[아랍어]] || ||<-2> '''{{{#white 통용 언어}}}''' ||<-4>[[아랍어]], [[베르베르어]], [[투아레그어]], [[이탈리아어]] || ||<-2> '''{{{#white 공용 문자}}}''' ||<-4>[[아랍 문자]], 티피나그 문자[* 베르베르어의 문자.] || ||<-2> '''{{{#white 종교}}}''' ||<-4>[[이슬람교]] 99%[* [[수니파]]가 주류이다.] '''(국교)'''[* 2021년 부로 토브룩 정부를 기반으로 트리폴리에 국민통합정부가 설립되었으며 기존 토브룩 정부가 추구하는 세속주의 성향이 강한 편이다. 따라서 말만 이슬람이 국교지 국교로써 기능도 없는 편이긴 하지만 트리폴리 정부의 분리독립 등의 문제 탓인지 국교를 폐지하지는 않았다.] || ||<-2> '''{{{#white 군대}}}''' ||<-4>[[리비아군]] ||}}}}}}}}} || ||<-3> '''{{{#white 하위 행정구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주}}}''' ||<-4>22개 ||}}}}}}}}} || ||<-3> '''{{{#white 정치}}}'''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정치체제}}}''' ||<-4>[[단일국가]], [[과도정부]] || ||<-2> '''{{{#white 민주주의 지수}}}''' ||<-4>2.06점, '''{{{#red 권위주의}}}''' ^^(2022년)^^[br](167개국 중 '''151위''') || ||<-2> '''{{{#white 대통령위원회 의장}}}''' ||<-4>[[모하메드 알 멘피]] || ||<-2> '''{{{#white 대통령위원회 부의장}}}''' ||<-4>무사 알 코니[br](Musa Al-Koni / موسى الكوني) || ||<-2> '''{{{#white 국가통합정부 총리}}}''' ||<-4>압둘 하미드 드베이베[br](Abdul Hamid Dbeibeh / عبد الحميد الدبيبة) || ||<-2> '''{{{#white 의회 의장}}}''' ||<-4>아귈라 살레 이사[br](Aguila Saleh Issa / عقيلة صالح عيسى) ||}}}}}}}}} || ||<-3> '''{{{#white 경제}}}'''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경제체제}}}''' ||<-4>[[시장경제]] || ||<|2> '''{{{#white GDP}}}''' || '''{{{#white 명목 GDP}}}''' ||<-2>[[https://en.wikipedia.org/wiki/Libya|$273억]]^^(2021년)^^ / 세계 92위 || || '''{{{#white GDP(PPP)}}}''' ||[[https://en.wikipedia.org/wiki/Libya|$905억 1,300만]]^^(2021년)^^ / 세계 92위 || ||<|2> '''{{{#white 1인당 GDP}}}''' || '''{{{#white 명목 GDP}}}''' ||<-2>[[https://en.wikipedia.org/wiki/Libya|$4,068]]^^(2021년)^^ / 세계 146위 || || '''{{{#white GDP(PPP)}}}''' ||[[https://en.wikipedia.org/wiki/Libya|$12,344]]^^(2021년)^^ / 세계 121위 || ||<-2> '''[[국부#s-3|{{{#white 국부}}}]]''' ||<-4>[[https://www.credit-suisse.com/about-us/en/reports-research/global-wealth-report.html|$810억]] / 세계 87위^^(2019년)^^ || ||<-2> '''{{{#white 신용 등급}}}''' ||<-4>[[피치(신용평가회사)|피치]] : BBB, [[S&P]] : BBB+ || ||<|2> '''{{{#white 화폐}}}''' || '''{{{#white 공식 화폐}}}''' ||<-2>[[리비아 디나르]] || || '''[[ISO 4217|{{{#white ISO 4217}}}]]''' ||LYD ||}}}}}}}}} || ||<-3> '''{{{#white 단위}}}'''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시간대}}}''' ||<-4>[[UTC]]+2 || ||<-2> '''[[도량형|{{{#white 도량형}}}]]''' ||<-4>[[국제단위계|SI 단위]] ||}}}}}}}}} || ||<-3> '''{{{#white 외교}}}'''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대한수교현황}}}''' ||<-4>대한민국: 1980년 12월 29일[br]북한: 1974년 1월 23일 || ||<-2> '''{{{#white 무비자 입국}}}''' ||<-4>양국 모두 무비자 입국 불가능 || ||<-2> '''{{{#white 주한대사관}}}''' ||<-4>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11길 24 ||}}}}}}}}} || ||<-3> '''[[ccTLD|{{{#white ccTLD}}}]]''' || ||<-3> '''.ly''' || ||<-3> '''{{{#white 국가 코드}}}''' || ||<-3> '''434, LBY, LY''' || ||<-3> '''{{{#white 국제전화 코드}}}''' || ||<-3> '''+218''' || ||<-3> '''{{{#white 여행경보}}}''' || ||<-1> '''{{{#white 여행금지}}}''' ||<-2>'''전 지역''' || || {{{#ffffff '''위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Libya_on_the_globe_%28North_Africa_centered%29.svg.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y-map.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리비아,너비=100%,높이=23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아프리카]]에 위치하며 [[지중해]]에 접해 있는 [[아랍]] 국가. [[중동#s-4.3|대중동권역]]으로도 분류된다. [[수도(도시)|수도]]는 [[트리폴리]](Tripoli)이며 아랍어로는 타라불루스(طرابلس)라고 한다.[* [[튀르키예]]와 [[레바논]] 등 중동 여러 지역에도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기 때문에 타라불루스알가르브(طرابلس الغرب, '서트리폴리')로도 불린다. 여담으로 문화어로는 타라불스라고 부른다.] 또 다른 주요 도시로는 [[벵가지]]가 있다. 1951년 이탈리아의 식민통치에서 독립한 직후인 1950, 60년대까지는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나 [[요르단]], [[카타르]], [[쿠웨이트]], [[모로코]] 같이 왕이 통치하던 군주국이었으나, 1969년에 [[리비아 왕국|리비아 왕정]]이 군부 쿠데타로 붕괴된 이후에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독재 정권이 42년간 통치했었다. 2011년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이후에 현재는 과도정부 하의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이들 과도정부는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기본으로 한 신헌법을 채택하고 [[이슬람]]을 국교로 선포했다. 다만 성향은 온건한 편이다.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695만 명, 국토면적은 약 176만㎢로 세계에서 17위이고 아프리카에서는 네 번째로 큰 중간 크기의 대국이다. 유럽에는 러시아를 제외하고 리비아보다 큰 나라가 없다. 아프리카에는 세계 순위권에 속하는 국가인 [[알제리]], [[콩고민주공화국]], [[수단 공화국|수단]]이 있어서 조금 밀리지만 그래도 아프리카에서도 영토만으로 5위를 차지하는 큰 나라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이기 때문에 실제 개발 가능한 면적은 좁다. == 상징 == === 국호 === 국호는 [[고대 그리스어]] 리비에(Λιβύη / Libýē)의 [[라틴어]] 표현인 리비아(Libya)에서 유래한다. [[영어]]로는 리비어(Libya), [[아랍어]]로는 리비야(لِيبِيَا / Lībiyā)이다. 이는 [[람세스 2세]]의 비문에서 나오는 고대 이집트에서 이집트 동쪽의 [[베르베르인]]들을 부르는 리부(Libu)에서 유래한 것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Ancient_Libya]].]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집트]] [[나일 강]] 서쪽([[마그레브]]) 지역 전체를 리비아라고 불렀는데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리비아 지역을 다스린 이집트 왕 [[에파포스]]와 님프 멤피스 사이의 딸 리비아 여왕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현행 아랍어 정식 국호는 [[2013년]]부터 사용된 '리비아국(دولة ليبيا / Dawlat Lībiyā)'이다. [[https://libyaherald.com/2013/01/gnc-officially-renames-libya-the-state-of-libya-until-the-new-constitution/|관련 기사]]. [[2011년]]까지 사용된 정식 국호는 '리비아 인민사회주의 아랍공화국(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이었다.[* ''al-Jamāhīrīyah al-'Arabīyah al-Lībīyah ash-Sha'bīyah al-Ishtirākīyah al-'Uẓmá''.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28772623|관련 자료 1]], [[https://www.mofa.go.kr/www/brd/m_4099/view.do?seq=358169|관련 자료 2]], [[https://casenote.kr/서울고등법원/2019나2035191|관련 자료 3]], [[https://theme.archives.go.kr/next/gazette/viewGazetteDetail.do?gazetteEventId=0028507791&actionType=date|관련 자료 4]].] 여기에서 '[[공화국]]'에 해당하는 '[[자마히리야]](جمهورية / jamāhīriyya)'란 아랍어로 공화국을 뜻하는 일반 명사인 줌후리야(جمهورية / jumhūriyya)와 유사한 어근을 공유하는 표현이며 '인민 직접민주제'로 번역하기도 한다. 이후 과도기를 거치면서 '리비아(ليبيا / Lībiyā)'로 쓰이다가 현행 국호가 채택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그 밖에 [[베르베르어]] 표기는 리비아(ⵍⵉⴱⵢⴰ / Libya)이며 리비아의 한자 표기도 리비아(利比亞)이다. === [[리비아/국기|국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국기)] === [[리비아/국장|국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국장)] === 국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라는 곡을 사용중이다. 이 노래는 1951년부터 1969년까지 사용된 리비아 왕국의 국가였다가 1969년 카다피가 쿠데타로 집권함에 따라 폐지되었다가 카다피 정권 붕괴 이후 다시 사용 중이다. == 자연 == 해안부를 제외한 지역은 거의 [[사막]]지대로 인구가 희박하며,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인 탓에 연평균 강수량은 적은 편이다. [[1922년]]에 아지지야(العزيزية, ʽAziziya)라는 곳에서 [[http://edition.cnn.com/2012/07/11/world/hottest-places-on-earth/|화씨 136도'''(=섭씨 58도)''']]가 기록되어 세계 최고 기록 기온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기록은 2012년 [[세계기상기구]](WMO)의 조사를 받은 후 왕좌를 빼앗겼다. 국제연구진을 조직해 조사를 벌인 결과, 비전문가가 부정확한 판독을 내리는 바람에 잘못 기록된 것으로 결론이 났다.[[http://www.sciencetimes.co.kr/세계-최고-기온-논쟁-끝났다|#]][* 참고로 현재 최고 기온 기록은 똑같이 섭씨 58도인데, 이라크의 바스라에서 기록된 것이다.] === 지리 === 이집트처럼 영토 대다수가 [[사하라#s-1]]이고[* 리비아 영토의 99%가 사하라이며, 이집트는 98%이다.] 해안가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이집트는 그나마 [[나일 강]]이라는 거대한 자연 하천이 흐르기 때문에 나일강 유역 일대 한정이나마 내륙에서도 [[룩소르]]나 [[아스완]] 같은 대도시들이 여럿 있지만, 리비아는 국토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이고 대부분의 국민들이 지중해 연안 쪽에서 살기 있기 때문에 내륙에는 도시가 없고 그저 황량한 사막과 작은 마을밖에 없다.][* 그나마 리비아는 바다라도 접하지, 전 국토가 사하라 사막인데다 내륙국인 [[니제르]], [[말리]], [[차드]] 같은 나라들은 답도 없다.] 리비아와 국경을 직접 접하는 [[이웃나라]]들로는 서북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튀니지]], 서쪽의 [[알제리]], 서남쪽의 [[니제르]], 남쪽의 [[차드]], 동남쪽의 [[수단 공화국]], 동쪽의 [[이집트]], 그리고 국경을 직접 맞대고 있진 않지만 지중해 건너편의 가까운 이웃나라들로는 동북쪽의 [[터키]]와 [[그리스]], 북쪽의 [[알바니아]], 서북쪽의 [[몰타]]와 [[이탈리아]] 등이 있다. 또한 트리폴리에서 동쪽으로 해안선을 한참 따라가면 제 2의 도시인 [[벵가지]]와 트리폴리에서 동쪽으로 450km 거리에 있는 제 3의 도시 [[시르테]], 트리폴리에서 동쪽으로 210km 거리에 있는 [[미스라타]]가 있다. === 지역구분 === 크게 세 지역으로 나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트리폴리타니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페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키레나이카)] == [[리비아/역사|역사]] == [include(틀:리비아의 역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역사)] == [[리비아군|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군)] 1970년대 러시아제 [[MiG-23]](100대), [[MiG-25]](120대), Su-22(80대) Su-25(70대), 미라지 F1(40대), [[Tu-22]] 블라인더 폭격기를 비롯한 전투기들을 사들여와 총 보유수가 500대가 넘었고, 거기에 이탈리아로부터 SF-260 훈련기만 200대 가까이 따로 사들여왔을 정도로 공군 규모 하나는 아프리카 최강급을 자랑했다. 그럼에도 미국은 그렇다쳐도, 훨씬 공군력이 약했던 이집트와 차드 공군에게 크게 당했다. 덕분에 리비아가 이집트와 국경을 맞닿기에 다행이라는 비아냥까지 나왔다. 만일 이스라엘과 국경을 맞닿았다면 틀림없이 전쟁 벌인답시고 설치다가 이집트보다 훨씬 더 지독하게 당했을테니 말이다. [[1980년대]] 리비아 앞바다(주로 Gulf of Sidra, 시드라 만이라고 불린다)에서 여러번 [[미 해군]] 함대에 무력시위를 벌이다 대응출격한 [[F-14]] 전투기에 [[MiG-23]] 전투기가 격추당했다. == 경제 == [include(틀:북아프리카의 경제)] 여타 아랍의 산유국가들처럼 석유 산업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리비아의 석유는 성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석유에 비해 질이 높다고 한다. HDI도 높은 편이다. 과거에는 어느 정도 부유한 축에 속했고,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미국의 1인당 GDP를 추월하기도 했다. 석유파동 당시, 1980년 1인당 GDP가 13,032달러로 미국은 12,576달러였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ast_and_projected_GDP_(nominal)_per_capita|출처]] 복지 수준 등을 감안하면 수치상의 격차보다 더 벌어진다. 내전 이후 정치상황이 혼란하고 많은 시설들이 파괴되다 보니 2011년에는 경제성장률이 -60%까지 폭락했다가 내전의 상흔이 복구된 2012년에 120%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시 내전이 재발하고 유가 폭락까지 겹쳐 GDP가 반토막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었다. 예전 만큼은 아니지만, 조금씩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 2차 리비아 내전이 종결된 이후 현재 리비아의 경제성장율은 무려 '''31.4%'''로 전 세계 1위이다. 미국의 경제제재 여파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율이 굉장히 높은 편. 하지만 [[SNS]]나 [[딥 웹]] 등지에서 무기들이 불법으로 밀거래되면서 총기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점이 남아있기도 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4/0200000000AKR20170504070300009.HTML|#]] 일부 지역은 미군의 무기 거래처로 사용되고 있다. == 정치 == [include(틀:북아프리카의 정치)] ||<-3> 리비아의 정치 정보 || ||[[부패인식지수]]|| 17점[* [[북한]]과 같다.] ||[[2022년]], '''세계 171위''' || ||[[언론자유지수]]|| 40.22점 ||[[2023년]], '''세계 149위''' || ||[[민주주의 지수]]|| 2.06점 ||[[2022년]], '''세계 151위''' || == 사회 == 같은 [[이슬람]] 문화권인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에 비하면 개방적인데 카다피의 차남인 셰이프 알 이슬람의 주도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한다. 유럽 유학을 하여 개혁에 성공해 비교적 세속주의를 갖추었다는 평. 카다피의 후계자로 지목되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2008년 정계은퇴를 발표하긴 했지만 그 후로도 외교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후계자가 유력하다는 평이었는데 2011년 8월 21일 [[리비아 내전]] 와중에 시민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했지만 아버지가 사살당하고 해외로 달아나는 신세가 되었기에 정권을 잡기엔 어려워보인다. 그러나 2021년 출마를 한 상태.[[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3969#home]] 이 나라 국민의 대다수는 아랍계 셈족이며 통용언어는 [[아랍어]]. 그리고 국토의 90% 이상이 사하라 [[사막]]이고 동쪽 이집트와의 접경지역은 리비아 사막이라 농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인구 밀도도 대단히 낮은 편이다. [[석유]] 덕분에 국가가 돈이 엄청나게 남아 도는 관계로 2006년에는 전 초등학생들에게 전자민주주의 확대라면서 120만대 노트북을 무상지급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수단, 소말리아, 예멘과 함께 치안이 막장인 국가들 중 하나였지만 경제와 정치가 안정화되고 있는 현재는 치안도 덩달아 안정을 찾고 있다. 생각하는 것보는 막 위험하지 않다는 얘기가 점점 늘고 있으니. 다만 아직 동부 정부와 서부 정부가 분열 상태에 있는 등 위험 요소도 있고 타 아랍권 국가들 중 나아졌다가 다시 막장화되는 국가들도 적지 않게 나오니 아직은 조심해야 한다. 그래도 현재는 덩달아 안정을 찾고 있는 이라크와 함께 여행금지가 가장 빨리 풀릴 것으로 예상되는 유이한 국가이다. == 언어 == 공용어는 [[아랍어]]이다. 리비아에서 쓰이는 아랍어도 동부는 [[마슈리크]] 아랍어, 서부는 [[마그레브 아랍어]]라는 [[아랍어 방언]]에 속해 있다. 교육받은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의외로 리비아 내 교육쪽에서 진짜 영향력 있는 언어는 [[프랑스어]]이다. 주변국들이 프랑스어를 쓰는 경우가 많고 프랑스도 북아프리카 지역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 예전에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아서 어휘에 이탈리아어 차용어가 꽤 있으며, 노인층 등에서는 [[이탈리아어]] 사용자[* 사용만 할줄 아는거지 어차피 실제로는 아랍어를 쓴다.]가 아직도 남아있긴 하나 소수 수준이다. [[베르베르인]]들도 있다보니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 사실상 극소수를 제외하면 계층과 무관하게 아랍어를 제대로 쓸 줄 알거나 아예 아랍어만 쓴다. === 관광 === [[파일:libya-the-ancient-Roman-cities-of-Leptis-Magna-and-Sabratha.jpg|width=748]] 리비아 서부 사브라타의 로마 극장 유적. [[렙티스 마그나]]와 함께 리비아를 대표하는 유적지이다. [[파일:키레네 신전.jpg|width=748]] 리비아 동부 [[키레네]] (키레나이카의 어원)의 그리스식 신전 한때 리비아의 전 독재자였었던 카다피가 "비록 우리나라 국토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이긴 해도 석유 자원의 힘도 있거니와, 온갖 로마 제국 시대의 유적지 등 볼 것도 많은데 왜 한 해 관광객이 10만 명도 안 되는가? 이웃 이집트만 해도 관광객이 해마다 평균 400만 명이 넘고 튀니지도 200만 명이 넘는데 우리가 뭐가 부족한가?"하여 1998년 영국 여행 관련 사업 전문가에게 한 번에 한화로 약 10억 원이 넘는 거액의 수표까지 줘가면서 자문을 얻었다. 그래서 그 전문가는 리비아로 와서 꾸준히 조사한 다음, 3가지를 바꿔야 한다고 카다피에게 건의했다. 첫 번째는 리비아를 오고가는 국제 항공노선을 더 늘려야 하며, 두 번짼 술을 좀 자유롭게 해줄 것. 이집트는 아예 맥주를 직접 만들고(스텔라 맥주) 튀니지나 모로코, 이집트는 이슬람권 국가 중에서 술에 대하여 개방적이라 외국 관광객이라면 마실 곳이 꽤 많다. 마지막으로 입국을 더 자유롭게 해주면 된다였다.[* 이 전문가가 리비아에 입국할 때, 공항 측은 "홀로 입국은 안 되며 기본 4명이 한 번에 들어와 입국료를 내야한다"고 배짱을 부렸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지난 2008년 그 전문가가 어디 얼마나 달라졌나 하여 리비아로 와봤더니, 이 가운데 딱 하나, 항공노선만 늘렸을 뿐 다른 건 전혀 달라지지 않고 여전히 카다피는 관광객이 안 온다고 불평만 하고 있었다. 지금도 리비아의 관광비자 발급은 1인당 무려 '''$1,000'''을 환전해야 하는 규정이 있는 등 매우 까다로우며, 거기에다가 리비아는 현재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정한 [[여행금지국가]]라서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입국은 불가능에 가깝다. 리비아 해안가 일대에는 고대 그리스, 페니키아나 카르타고, 로마가 남긴 문화유산 및 중근세, 근대시대의 이슬람 사원유적들이 있지만 내전으로 인한 여행금지에 속한 나라이기에 가기 힘들 것이다. 그리고 많은 유적들이 오랜 내전으로 파괴되거나 약탈당했다. 현재 리비아의 치안불안과 이로 인한 문화재 방치, 훼손 등이 심하다고 한다.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2046|관련 기사]]. 다만 부분적으로 오보인 부분도 있지만 부분적 훼손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2019년 12월 기준 [[렙티스 마그나]]와 [[가다메스]]의 옛 시가지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들은 내전중인 국가 치고는 그래도 꽤 부분적으로 멀쩡했다.[* 리비아 내전도 규모로 보면 꽤 큰 편이지만 시리아 처럼 외국군 참전이라던가 오랜 끝 없는 장기전 까진 아니어서 그나마 멀쩡한 부분이 많았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기준으로도 방치가 되어있다고 한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91848&ref=A|#]] === 식문화 === 국토의 거의 전부가 사막성 지역이라 농사지을 땅이 부족하고[* 그나마 이집트와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는 나일강 유역이나 아틀라스 산맥 지대 등 비옥한 지역에서 경작이 가능하다.] 그 동안의 남획으로 어업도 시원치 않다. 때문에 [[페르시아 만]]의 다른 산유국들처럼 먹을 것을 거의 수입해온다. 튀니지나 모로코처럼 [[쿠스쿠스(식재료)|쿠스쿠스]]가 대표적인 요리이다. 이탈리아의 영향으로 파스타도 발달해있다. === 스포츠 === [[축구]]가 [[인기]]가 있긴 하나, [[북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FIFA 월드컵]]에 한번도 못 나간 나라다. 그나마 가까웠던 때가 [[1986년]]의 예선. [[모로코]]에 1:0으로 이겼으나 2차전에서 3:0으로 져서 못 나갔다. 이 나라의 축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자세한 건 [[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조. 리비아 출신 남자배구선수 [[아흐메드 이크바이리]]가 한국 V-리그 22-23시즌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서 뛰었고 23-24시즌은 팀이 바뀌어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서 뛸 예정이다. === 난민 문제 === ==== 혁명 이전 ==== 당시에는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나은 난민선을 보유하고 있었고 인권도 세계 최고 수준이라 사하라 이남 난민들이 자주 찾는 루트 중 하나였고, 옆나라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는 물론 [[미국]]까지도 이 점을 칭찬했다. ==== 혁명 이후 ==== 하지만 현재의 리비아에서 출발하는 난민선은 웬만하면 여자가 탑승하기 힘든 거의 인외마경이 따로 없을 정도. 불법으로 유럽에 들어왔다 나가는 난민선에 질서에 있을 리도 없고 난민선 내에서 성폭행 문제가 불거지자 여성 난민들은 리비아발 난민선을 가급적 탑승하지 않는 추세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콩고민주공화국]] 같은 경우에는 원래 강간 범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였는데 여기 출신 난민들도 리비아발 난민선에 적잖이 탑승한다. 일부 국가 출신 난민들이 강간 범죄 발생 비율이 높은 이유는 현지의 치안 부재와 이로 인한 인권의식의 미성숙인데, 범죄를 저질러도 친척들 동원해서 우기면 웬만하면 처벌받지 않고, 강간 피해자만 수치심에 침묵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다보니, 다른 나라에서도 성범죄를 저지르고나서 도망가거나 발뺌하면 처벌을 안 받는 줄 아는 경우가 진짜로 많다. 덕분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의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안 좋아졌는데,[* 한 번은 이탈리아에서 난민선에서 물에 빠져 죽어가는 콩고 난민을 구조해줬더니 그 난민이 이탈리아 유명 관광지인 [[리미니]]에서 폴란드인 20대 여성 관광객을 상대로 집단 강간 범죄를 저질러서 폴란드와 이탈리아 모두 국민감정이 폭발하고 [[폴란드]]에서는 콩고 난민과 별 상관도 없는 이슬람 사원들이 돌에 맞아서 창문이 박살나는 참사까지 일어났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도 다짜고짜 전부 다 싸잡혀서 성범죄자로 몰리는 현실에는 할 말이 많다. [[에리트레아]] 출신 난민들 같은 경우에는 엄연히 이들이 극악한 독재 정권을 피해 탈출한 난민임에도 그냥 "불법체류자" 취급 받는 현실이며, [[세네갈]]이나 [[가나]] 출신 난민들은 나름 교육수준 높은 엘리트들도 많은데도 불구하고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전부 다 무식쟁이 취급하니 원통해하기도 한다. 요즘은 리비아발 난민선을 통해서 유럽으로 불법이민 혹은 난민신청하려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사람들이 너무 많아지다보니 난민을 납치, [[인신매매]] 후 경매로 노예로 판매하는 노예 시장마저 생겼다. 너무 많은 인원이 몰려오고 난민선을 대기하는 기간이 길어지다보니 그 와중에 난민들이 우르르 몰려다니며 치안이 불안해진 것도 있었고, 카다피가 리비아 시민군과 싸울 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 용병들을 닥치는 대로 고용해 시민들에게 총질하고 각종 전쟁범죄를 저지른 악감정이 남아서인지, 이들을 노예로 파는 리비아인들은 별로 죄책감이 없는 듯하다. === 교육 === 과거 카다피 정권 시절 교육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전혀 사실이 아니다. 카다피 시절에는 무상교육을 시켜주었고, 붕괴 1년 전, 5년 전에는 전 학생들에게 학습용 노트북을 선물한 것도 있고 북한처럼 우상화 교육도 있긴 했지만 카다피 정권 붕괴후에는 거의 없어졌다. 유학도 일정한 수준만 넘으면 국가에서 지원해줄 만큼 자유로웠다.[* 단지 까다로운 출국심사탓에 유학을 막았다는 루머가 퍼진 것이지 카다피가 자국민들을 우민화시킨 [[포르투갈]]의 [[안토니우 살라자르]]같이 폐쇄적이고 은둔적인 사람이 아니다.] == [[리비아/외교|외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비아/외교)] == 창작물에서의 리비아 == [[에어울프]]의 1회의 주요 배경이 리비아이다. 개발한 에어울프를 리비아에 팔아 넘긴 모펫 박사가 주인공 스트링펠로 호크의 애인인 CIA 요원 가브리엘을 사막에 묶어두고 방치하여 탈진사시키고, 호크는 이에 복수하기 위해 사막을 도주하는 모펫박사를 에어울프로 추격해 미사일로 폭사시킨다.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에서는 리비아 [[테러리스트]]가 [[에미트 브라운 박사]]에게 [[원자폭탄]]을 만들라고 [[플루토늄]]을 제공했더니 그걸 삥땅쳐서 [[타임머신]]을 만들고, 이에 화가 난 테러리스트의 보복으로 사망한다. 이에 화가 난 카다피가 직접 수입금지령을 내렸다는 일화가 있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에서는 소련군으로 참전. 데몰리션 트럭이라는 막강한 핵트럭을 특수유닛으로 지니고 있다. 데몰리션 트럭이 본진 가까이에서 터지는 순간 [[헬게이트]]가 열린다. [[철의 장막]]을 씌운다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담으로 로딩화면에서 나오는 국기는 게임제작당시 카다피 정권이 썼던 녹색 단색국기가 아닌 지금의 리비아정부에서 쓰던 국기를 사용했는데 본의아니게 미래 예언이 되어버렸다(...). 소련이 악의 축으로써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다 패배했음에도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영토가 없는 독일, 북한의 물주인 소련이 패배했음에도 남북분단인 대한민국과 더불어 레드얼럿2의 3대 오류. [[데미 무어]]가 주연을 맡은 영화 G.I. 제인에서도 영화 막바지에 네이비씰과 리비아군의 교전이 펼쳐진다. 1980년대에는 대수로 공사로 유명했다보니 [[이현세]]가 80년대 대본소 만화로 그린 <남자 대 남자>에서도 배경이 리비아이다. 에너지 관련 공사 일로 온 주인공 [[오혜성]]과 직장 동료이자 친구인 [[백두산]]이 회사 기밀을 [[모사드]](...)라는 이름을 가진 보스가 거느리는 현지인 조폭에게 팔아치우고 이걸 알아차린 혜성을 두들겨 패서 리비아 사막 한가운데 버려진 성으로 가두고 간다, 그리고, 기밀 누출 혐의를 오혜성에게 덮어씌워버리는데 굶주려서 식인도 마다하지 않는 쥐떼가 가득한 그 성에서 극적으로 탈출해 사막을 오고가면서 현지 경찰에게도 쫓기고 험난한 과정 끝에 다시 백두산과 주먹으로 맞붙어 이번에는 거꾸로 오혜성이 신나게 두들겨 패주는 줄거리였다. 90년대에 [[세주문화사]] 팀매니아 북스에서 고급판 단행본으로 재출간된 바 있다. 해외여행이 제한되어있고 정보도 제한적이던 시절이라 현지에 대한 묘사는 그냥 그렇고, 직장 다른 동료가 현지인 여성을 도우려다가 사람들에게 [[돌팔매]]를 당하기도 한다. 그밖에도 주인공 이름이 오필탁이라고 나오는 80년대 대본소 만화도 리비아에서 거대 수로공사를 벌이는 과정을 다룬 줄거리로 나온 게 있었다.. 타이토 사의 게임 [[오퍼레이션 선더볼트]]의 무대이기도 하다. 칼루비아라는 가상의 지명을 썼다지만 지도상 위치로 보아 누가 봐도 확실하다. 아마도 리비아의 테러리스트를 까기 위해 만든 게임인듯. [각주] [[분류:리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