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1년에 일어난 사건, rd1=오디세이 새벽 작전)] [include(틀:미국의 대외전쟁)] [include(틀:리비아의 대외전쟁)] 1986 United States bombing of Libya الغارة الأمريكية الجوية على ليبيا [목차] == 개요 == [[1986년]] 4월 [[미국]]이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리비아]]에 공습을 가한 작전. 작전명은 Operation ''El Dorado Canyon'' عملية الدورادو 1980년대에 각종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미국]]의 골머리를 썩게 만들었는데 특히 [[이스라엘]] 문제와 관련하여 [[유럽]]에서 활동하던 아랍계 [[테러리스트]]들이 최대의 골치거리였다. 이러한 아랍계 [[테러리스트]]의 배후로는 여러 세력이 있었으나 당시 대놓고 활동하던 거물급 인물로 리비아의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있었다.[* 당시 개봉한 유명한 영화 [[백 투 더 퓨쳐]]에도 리비아 테러리스트들이 핵무기를 만들려고 모아 둔 플루토늄을 슬쩍해 타임머신의 동력으로 썼다는 설정이 나올 정도다.] 결국 계속되는 테러 행위에 참다못한 [[미군]]이 연장을 집어들었다. == 공습 준비 == 1986년 3월 일단 시범타로 리비아의 시드라 만에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파견하여 무력시위를 펼쳤으며 리비아의 해상경계망을 무력화시키는 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 때문에 [[소련]] [[소련 해군|함대]]가 감시하기 위해 [[지중해]]로 나오는 등 난리가 아니었다. 이에 카다피의 지원을 받던 테러리스트들이 서[[베를린]]의 미군들이 많이 찾던 디스코텍을 폭파시켜 다수의 미군 사상자(3명 사망, 229명 부상)를 내는 것으로 보복을 가했다. 보복테러에 빡친 미국은 리비아에 공습을 가하기로 결정하고 [[벵가지]]와 [[트리폴리]] 지역에서 확인된 테러리스트의 훈련을 돕는 캠프와 카다피가 머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처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작전에는 [[F-111]]F 아드바크가 동원될 예정이었고 대규모 병력을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F-111 편대와 이미 배치된 해군 항모 [[함재기]]들과 협력하여 목표물에 대한 핀 포인트 타격을 하고 빠지는 형태였다. [[공군]] F-111 편대는 수도 트리폴리를, [[해군]] [[A-6]], [[A-7]] 편대는 제 2의 도시 벵가지를 공격하기로 임무를 분담했다. 이 공습은 당시 최신예 [[전투기]]였던 [[F/A-18]]의 첫 실전이기도 했으며 호넷은 여기서 [[SEAD]]를 맡았다. === 우방국의 비협조 === 공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큰 골치거리가 있었다면 '''유럽 국가들의 비협조'''였다. 우선 이 작전에 [[영국]] 주둔 [[미국 공군|미 공군]]을 동원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정작 영국은 보복테러를 우려하여 기지에서 발진만 허가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영국에서 리비아로 날아가기 위한 최상의 경로는 [[스페인]]과 [[프랑스]]를 비롯한 중서부 유럽 국가를 지나가는 것이었으나 이들은 모두 리비아와 이해관계가 엮여 있었고 역시 보복테러를 우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영공통과요청을 거부'''했다. [[파일:external/media.airspacemag.com/DJ09_A-B+Main.jpg]] 결국 미군은 차선책으로 [[대서양]]을 건너 지브롤터 해협을 경유하여 [[지중해]]를 거쳐서 리비아를 타격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게 '''예상 왕복 비행 시간만 13시간, 총 비행거리 약 10,000km'''의 사상 최장거리 작전이 되어 버렸다. 게다가 F-111의 항속거리를 감안하면 최소 12번의 공중급유를 해 줘야 했는데 역시 보복테러를 걱정한 유럽의 우방국들이 [[공중급유기]] 지원을 거절하였다. 결국 작전에 필요한 모든 필요사항을 미국이 알아서 다 해결해야만 했다. 그 중에서 곤혹스러운 점은 급유기들도 연료를 소모하므로 별도의 재급유를 받아야만 했다는 점이다. 그러니깐 '''급유기가 급유하러 날아가기 위해 다른 급유기로부터 급유를 받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그나마 이 공중급유기에 급유해 주는 역할은 영국에서 해 주기로 합의되었다. == 작전 개시 == 당초 영국에서 이륙한 편대는 공격을 담당할 F-111F 24기와 전자전을 담당할 EF-111 6기였지만 중간에 문제가 생겨서 F-111F 6기와 EF-111 1기가 귀환하였다.[* 반대로 공격 담당 기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대신 들어가기로 한 예비기들이 공격 담당 기체에 문제가 없어 귀환한 것이라는 자료도 있다.] 그래서 실제 공격에 참여한 병력은 F-111F 18기와 EF-111 5기이다. 한편 공군의 움직임에 맞춰 해군에서도 함재기들을 발진시켰는데 이를 감시하던 소련 함대가 포착하고 [[리비아]]에 통보가 되면서 미국의 공습이 임박했음을 눈치채게 되었고 [[몰타]] 총리가 [[리비아]]의 화풀이를 두려워해 몰타 상공으로 미군 공습부대가 통과했다는 사실을 카다피에게 통보해 주었다. 이래저래 불안요소가 산재한 상태에서 미군은 리비아 상공에 진입하였다. [[파일:external/ronaldtkwong.com/operationeldoradocanyon.jpg]] 우선 공군 공격부대에서 3개 편대 9기가 카다피의 거처로 알려진 장소[* 실제로 폭격당한 곳은 카다피의 별장이었다.]와 테러리스트 캠프 등에 대한 공습에 나섰다. 하지만 강력한 방공망으로 인하여 폭탄을 투하할 수 있었던 것은 고작 2기뿐이었으며 한 기가 대공미사일에 격추되어 [[조종사]] 두 사람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다른 1개 편대 3기는 테러리스트 캠프에 공습을 가하였으며 피해 없이 임무를 완수하였고 나머지 2개 편대는 트리폴리 공항에 공습을 가해 지상에 주기 중이던 [[항공기]]들을 파괴하고 [[공항]]에 큰 피해를 주었다. 한편 벵가지 지역의 테러리스트 캠프와 공항을 공습한 해군 공격부대는 목표물인 캠프를 파괴하였고 공항에 주기 중이던 항공기들을 파괴하였다. 이 공습은 불과 10분 남짓 되는 시간만에 마무리되었으며 대부분의 목표에 성공적으로 타격을 가하였다. 당시 미국은 AN/AVQ-26 Pave Tack 시스템을 이용하였는데, 간단히 [[레이저]] 유도장치와 목표확인용 [[카메라]]를 통해서 목표물을 지정하면 레이저 유도 폭탄인 GBU-10 페이브웨이가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 조져 버리는 핀 포인트 타격 방식이었다. 하지만 실제 작전이 끝나고 확인한 결과 성공적으로 투하한 것은 17기 중에서 4기에 불과했고 7기는 목표물을 명중시키지 못하였으며 6기는 대공망의 위협을 받아 투하하지 못했으며 투하된 폭탄 중 일부가 리비아 주재 프랑스 대사관 주변에 떨어지는 바람에 자칫 프랑스 대사관이 명중당할 뻔한 상황도 빚어졌다. 당연히 프랑스는 이 사건에 대해서 미국에 격렬히 항의했고 잠시 외교분쟁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미군은 리비아 상공에서 격추된 1기와 중간에 [[엔진]] 고장으로 스페인에 비상착륙한 1기를 제외하면 모두가 무사히 귀환하였다. 미군의 인명손실은 격추된 전투기의 조종사 2명이었다. 공습당한 리비아는 최소 40명이 사망하였는데 그 중에는 [[민간인]] 피해자가 15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카다피의 가족 일부([[양녀]])가 공습으로 사망하였다고 발표되었다. 그 외에 최소 [[Il-76]] [[수송기]] 3기와 [[MiG-23]] 14기, [[헬리콥터]] 2기를 상실하였다. == 공습 이후 == 미국에게 크게 한 방 먹은 카다피는 그 보복으로 1988년 12월 21일 리비아 정보기관 요원들을 동원하여 [[팬암]] 항공사 747 여객기를 스코틀랜드 상공에서 폭파해 탑승객 259명과 지상 거주자 11명이 목숨을 잃은 [[팬암 103편 폭파 사건]]을 벌였으나 직후 [[냉전]]의 종식과 [[걸프 전쟁]]을 보면서 [[이라크]]가 제대로 아작나는 걸 보고 염통이 쫄깃해져서 테러리스트 지원을 포기하였고 순한 [[양(동물)|양]]이 되었다. 그 결과 유럽에서 활동하던 테러리스트들도 [[버로우]]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미국에게는 Pave Tack 시스템이 지닌 문제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열심히 고치고 보완하여 개발한 AN/AAQ-13 LANTIRN 시스템으로 [[걸프 전쟁]]에서 전투손실 없이 [[이라크군]]을 완벽하게 조졌다. 1988년 카다피가 [[요한 바오로 2세]]를 통해 전사한 조종사의 시신 송환을 제안하였고 이에 따라 1989년 폭격수 폴 F. 로렌스 대위의 시신이 송환되었다. 하지만 미군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그 시신은 조종사 페르난도 L. 리바스도미니치 대위로 확인되었으며 로렌스 대위의 시신은 행방이 묘연하다. 2006년 가족들이 시신을 찾기 위해 리비아에 직접 가기까지 했으나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 그 외 이야기 == [[이원복]]은 과거에 [[조선일보]]에 연재하던 [[만화]]에서 이 공습에서 목표하던 카다피 제거에 실패한 게 당시 미군 상층부가 어느 점쟁이에게 의존하여 묻지마 공습한 결과라고 깐 적이 있는데 이 대가로 그 점쟁이에게 수백만 달러나 주고 공습한 게 이런 결과였다고. 하지만 실제론 미군은 애초에 카다피 제거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물론 카다피를 죽였다면 대성공이었겠지만...] 겁을 줘서 리비아의 테러 지원을 끊으려는 계산이었다. 결과는 위에 나온 것과 같이 리비아 공습 이후 미국을 목표로 한 테러는 지속되었지만 그 횟수는 감소하였으며 무기 시스템까지 발전시켜 훗날 걸프 전쟁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뒀으니 미국은 충분히 성과를 거두었으며 [[공중급유기]]와 정밀타격의 중요성을 최초로 알린 공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습에서 별장이 폭격당했을 때 카다피의 양녀가 사망하였다고 공표되었으나 사실 멀쩡하게 살아 있으며 카다피가 [[반미]] 감정을 격양시키기 위하여 일부러 벌인 정치쇼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view.html?cateid=1046&newsid=20110827190715506&p=yonhap|기사]] 그러나 [[더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공습 당시 양녀가 사망했고 이후 다시 다른 양녀를 입양해 죽은 양녀와 같은 이름을 지어 주었다는 내부 증언이 나왔기 때문에 속단하기 어렵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1/aug/26/hana-gaddafi-daughter-mystery|기사]] [[분류:1986년/사건사고]][[분류:공습/폭격]][[분류:리비아의 역사]][[분류:미국-리비아 관계]][[분류:무아마르 카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