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석학·미적분학)] [[분류:해석학(수학)]] [목차] == 개요 == 리만 재배열 정리는 조건수렴하는 무한급수의 항의 순서를 적당히 바꿔서, 임의의 값으로 수렴하거나, [math(\pm \infty)]로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무한번 더하는 것은 유한 번 더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예시다. == 상세 == >실수열 [math(a_{n})]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sum_{n=1}^{\infty}a_{n})]이 수렴하고, [math(\displaystyle\sum_{n=1}^{\infty}|a_{n}|)]은 발산한다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확장된 실수 [math(r\in\mathbb{R}\cup\{\pm \infty\})]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sum_{n=1}^{\infty}a_{\sigma(n)}=r )]를 만족하는 일대일대응 [math(\sigma:\mathbb{N}\to\mathbb{N})][* 덧셈 순서를 재배열하는 매핑 또는 순열(permutation)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이 존재한다. 사실, 꼭 조건 수렴할 필요는 없다. 양수항만 더한 급수와 음수항만 더한 급수가 각각 발산하고, 일반항은 0으로 수렴하면 된다. 급수가 조건 수렴하는 경우, 양수항만 더한 급수와 음수항만 더한 급수가 각각 \pm\infty로 발산한다는 사실은 급수의 연산법칙에 의해 쉽게 유도할수 있다. === 재배열 하는 방법 === 재배열 하는 방법이 유일하지는 않지만, 항상 원하는 수렴값으로 재배열 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다. 급수가 조건수렴하는 수열 [math(a_{n})]이 주어졌을 때, 수열 [math(a^{+}_{n})]을 [math(a_{n})]의 음이 아닌 항을 순서대로 늘어놓은 수열이라고 하고, 반대로, 수열 [math(a^{-}_{n})]을 [math(a_{n})]의 음수항을 순서대로 늘어놓은 수열이라고 하자. (예를 들어서 [math(a_{n}=\displaystyle\frac{(-1)^{n-1}}{n})]이라고 하면, [math(a^{+}_{n}=\displaystyle\frac{1}{2n-1})], [math(a^{-}_{n}=-\displaystyle\frac{1}{2n})]이 된다. ) 이 때, [math(a^{\pm}_{n})]는 모두 0으로 수렴하고, 급수는 [math(\pm\infty)]로 발산하는데, 수열을 재배열해서 급수를 [math(L\in\mathbb{R})]로 수렴시키고 싶으면, 1. L을 넘을때까지 a_{n}^{+}을 차례대로 더한다. 즉, [math(a^{+}_{1}+\cdots+a^{+}_{m_{1}}>L)] 을 만족하는 최소 자연수 [math(m_{1})]을 찾는다. 1. 1에 이어서 L보다 작아질때까지 a_{n}^{-}을 차례대로 더한다. 즉, [math((a^{+}_{1}+\cdots+a^{+}_{m_{1}})+(a^{-}_{1}+\cdots+a^{-}_{m_{2}})a_{n}^{+}을 차례대로 더한다. 즉, [math((a^{+}_{1}+\cdots+a^{+}_{m_{1}})+(a^{-}_{1}+\cdots+a^{-}_{m_{2}})+(a^{+}_{m_{1}+1}+\cdots+a^{+}_{m_{3}})>L)] 을 만족하는 최소 자연수 [math(m_{3})]을 찾는다. 1. 3에 이어서 L보다 작아질때까지 a_{n}^{-}을 차례대로 더한다. 즉, [math((a^{+}_{1}+\cdots+a^{+}_{m_{1}})+(a^{-}_{1}+\cdots+a^{-}_{m_{2}})+(a^{+}_{m_{1}+1}+\cdots+a^{+}_{m_{3}})+(a^{-}_{m_{2}+1}+\cdots+a^{-}_{m_{4}})L \geq(a^{+}_{1}+\cdots+a^{+}_{m_{1}})+\cdots+(a^{+}_{m_{i-2}}+\cdots+a^{+}_{m_{i}})-a^{+}_{m_{i}})] 또는, [math((a^{+}_{1}+\cdots+a^{+}_{m_{1}})+\cdots+(a^{-}_{m_{i-2}}+\cdots+a^{-}_{m_{i}}) [math(\displaystyle a_{n}=b_{n}=\frac{\left(-1\right)^{n}}{\sqrt{n}})]이라고 하자. 이 때, [math(a_{n})]과 [math(b_{n})]의 코시곱 [math(c_{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displaystyle c_{n}=a_{1}b_{n}+a_{2}b_{n-1}+\cdots+a_{n-1}b_{2}+a_{n}b_{1}=\sum_{i+j=n+1}a_{i}b_{j})] 여기서 위에서 정의한 [math(\displaystyle a_{n}=b_{n}=\frac{\left(-1\right)^{n}}{\sqrt{n}})]를 대입해서 전개해보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c_{n} &=& && a_{1}b_{n} &+& a_{2}b_{n-1} &+& \cdots &+& a_{n}b_{1}\\&=&\left(-1\right)^{n+1}&&\cdot\{\frac{1}{\sqrt{1}\sqrt{n}}&+&\frac{1}{\sqrt{2}\sqrt{n-1}}&+& \cdots &+& \frac{1}{\sqrt{n}\sqrt{1}}\}\end{aligned}\\=\left(-1\right)^{n+1}\sum_{i=1}^{n}\frac{1}{\sqrt{i}\sqrt{n-i+1}})] 여기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sqrt{i}\sqrt{n-i+1}\leq\frac{1}{2}\left(i+n-i+1\right)=\frac{n+1}{2}\\\frac{1}{\sqrt{i}\sqrt{n-i+1}}\geq\frac{2}{n+1})] 절대값을 취한 뒤 이 관계식을 대입해서 정리하자. [math(\displaystyle |c_{n}|=\sum_{i=1}^{n}\frac{1}{\sqrt{i}\sqrt{n-i+1}}\geq\sum_{i=1}^{n}\frac{2}{n+1}=\frac{2n}{n+1})] 즉 [math(\displaystyle |c_{n}|\geq \frac{2n}{n+1}=2-\frac{2}{n+1}\neq 0)]. 수열의 극한값이 0이 아니면 해당 급수는 발산하는 것은 급수의 성질에 의해 자명하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c_{n})]은 발산한다. || === 재배열해도 되는 경우 === 흔히 리만 재배열 정리를 다루면서 "조건수렴하는 급수는 항을 아무렇게나 재배열했다가는 이처럼 아예 아무 수나 다 만들어버릴 수도 있으니 재배열한 급수를 원래 급수의 수렴 판정이나 수렴값 계산에 쓸 수 없다"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것이 가능한 재배열도 있다. 재배열을 원래 위치에서 얼마나 떨어질지 모르는 먼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즉 원래 위치 [math(n)]과 재배열된 위치 [math(\sigma(n))]간의 차이 [math(|\sigma(n)-n|)]가 [[유계]]인 경우에는 원래 급수와 재배열한 급수의 수렴 여부 및 수렴하는 경우 수렴값이 일치한다. [* 증명은 [[https://10-duck.tistory.com/entry/악귀같지-않은-재배열-보조정리|이 블로그]]를 참조. 반 장난식인지 [math(\displaystyle\lim_{n \to \infty}|\sigma(n)-n|=\infty)]인 경우를 '악귀같은 재배열', 반대로 [math(|\sigma(n)-n|)]가 [[유계]]인 경우를 '악귀같지 않은 재배열'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그란디 급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