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Redeemer. 저당잡힌 물건을 다시 사오거나, 빚을 상환하거나 불명예를 만회한다는 뜻[* 원래 뜻에서 파생된 의미로 쿠폰이나 상품권 등을 사용하여 혜택을 청구하는 것도 Redeem이라 한다.]의 Redeem에 행위자를 나타내는 -er이 붙은 단어. 직역하면 빚을 갚는 자 정도가 되겠지만, 보통 Redeemer라는 단어는 십자가에 매달려 피를 흘림으로써 모든 인류의 원죄의 값을 대신 치른 [[예수 그리스도]]에 빗대어 "구원자"라는 의미로 통용된다. == [[언리얼 시리즈|언리얼 토너먼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무장 == [[파일:external/www.unreal-info.net/redeemer.jpg]] 명실상부 언리얼 시리즈의 최종 병기. 요약하자면 수동 조작식 유도 '''[[핵미사일]]'''이다. 언리얼 시리즈는 보통 각종 무기들에 마우스의 왼쪽 단추와 오른쪽 단추마다 별도의 발사 모드가 존재하는데, 리디머의 경우 주 발사 모드는 그냥 로켓 런처처럼 직선으로 발사되어 폭발한다. 그러나 보조 발사모드로 발사하면 시야가 리디머의 탄두로 변하면서 방향키나 마우스로 조작이 가능해지는데, 조종하면서 꺾을 수 있는 각도가 매우 유연해서 미사일이라는 느낌이 별로 나지 않을 정도다. 물론 제대로 조작하면 사각(死角)에서 원격조작으로 프랙할수도 있는 어찌보면 좀 치사한 무기. 다행히 발사된 핵탄두는 요격이 가능하다. 봇도 2차 발사한 리디머 탄두에 대해서 어그로를 끌리도록 프로그래밍되어서 자신에게 접근한 탄두를 요격하려 시도한다. 크기도 거대해서 HUD의 1/4를 차지한다. 고수가 잡으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상대방이 뭘 맞았는지도 모른채 죽게 만들 수도 있다. 대미지는 최종무장답게 엄청 강력하며 '''어지간한 적은 한 방에 말 그대로 삭제된다.''' 노드도 한방에 날아가거나 거의 터지기 일보 직전이 되고, 코어도 직격당하면 3 기준으로 내구력의 35퍼 가량이 깎인다. 그나마 실드 벨트를 걸친다던가 차량을 타고 있는 상태에서 빗맞으면 가까스로 살아남는 정도. 레비아탄을 타고 있는 상태에서 맞으면 어찌저찌 견디지만 역시 3분의 2 정도의 내구력이 날아가서 얼마 못가 터진다. 리디머에서 발사하는게 설정상 '''초소형 핵탄두'''다. 물론 스플래시 범위 역시 자비가 없어서, 그냥 로켓 런처처럼 썼다가는 폭발에 휘말려서 자신도 사이좋게 제거되는 불상사가 일어난다. 다른 무기나 탈 것에 의해 죽을 때는 '고어다', '너무 잔인하다' 등으로 충격을 주는 반면 이건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서 깔끔하게 맞는 순간 시신까지 증발한다. 고어 옵션을 끄고 보면 아예 시체가 홈런을 맞은 것처럼 저 멀리 날아간다. 아주 먼거리에 있는 고정된 타겟을 맞추거나, 어지간하면 원거리에서 원격조작으로 맞추는 게 좋다. 혹은 높은 상공을 향해서 발사한 뒤 적진을 정찰했다가 기회가 되면 바로 꼬라박을 수도 있다. 어지간한 격전지에 잘 때려 박으면 적어도 2~3킬은 거저 먹을 수 있고 운이 좋으면 몬스터 킬도 따낼 수 있으니 사용자의 센스가 중요하다. 디자인도 많이 바뀌었는데, 그냥 휴대용 대전차포같은 외형에서 미사일 포드, 미사일 발사 시스템 같이 생긴 인터페이스로 바뀌었다. 3에선 무기라기보단 조종 컨트롤러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참고로 당시 본 무기의 디자인을 맡은 [[https://youtu.be/UOE6528pwFc?t=7m10s|James Schmalz의 회고에 따르면]][* 해당 동영상은 해당 인물이 설립한 [[디지털 익스트림즈|게임 개발 스튜디오]]에서 [[Warframe|개발한 게임]]을 다루는 [[다큐멘터리]]이다.] 무기 이름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있는 [[https://goo.gl/maps/29Y6priJXFB2|동명의 교회 이름]]에 따왔다고 한다.[* 본 무기를 디자인한 경험 덕분인지 해당 스튜디오가 개발한 게임 중에는 리디머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장비가 등장하는 게임이 [[Dark Sector|2008년산]]과 [[Warframe/워프레임/이바라|2013년]]산으로 2개나 된다.] == [[커맨드 앤 컨커 3 케인의 분노]]의 에픽 유닛 리디머 ==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png|width=200]]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jpg]] || ||<:> {{{#ffffff '''유닛 아이콘'''}}} ||<:> {{{#ffffff '''게임 내 텍스처'''}}} || ||||<:>[[파일:attachment/Redeemer_Hi-Rez.jpg]] || ||||<:> {{{#ffffff '''일러스트'''}}} || ||<:>가격 ||<:>5000원 || ||<:>생산시간 ||<:>50초 || ||<:>요구사항 ||<:>리디머 엔지니어링 시설, 기술 연구소 || ||<:>상성 ||<:>모든 것에 강함 || ||<:>주무기 ||<:>3단 레이저 || [[커맨드 앤 컨커 3 케인의 분노]]에 등장하는 [[Nod]]의 초중장갑 워커 에픽 유닛. 설정상 [[M.A.R.V.]]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Nod]]측에서 [[M.A.R.V.]]를 파괴한 뒤, 그 잔해를 이리저리 분석하여 M.A.R.V.의 보병 탑재 가능한 기능을 흡수해서 우상적 외형의 [[아바타(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아바타]]에 이식해서 만든 것이 리디머다. 캠페인상에서는 M.A.R.V.를 연구하기 위해서 [[GDI]]의 재건 허브를 점령한 다음, 시간이 지나야 리디머 엔지니어링 시설을 건설하고, 리디머를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등장할 때에는 [[거대로봇물]] 아니랄까봐 '''[[공장]] [[태권브이|지하에서 증기와 함께 솟아오르면서]] [[마징가 시리즈|피라미드 지붕을 열고 당당히 걸어나온다]].''' 창고에서 기어나오는 듯한 M.A.R.V.나 그냥 더 큰 포탈에서 나오는 이레디케이터와 비교해서 출격하는 간지 하나는 확실히 비교된다. 기본 공격인 3단 레이저는 범위 공격이기는 한데 그 범위가 아주 좁아서 사실상 없는 것과 다름 없다. 공격 쿨타임이 길지만 단일 타겟 공격에 한해서는 에픽 유닛 중에서 최강이다. [[스콜피온 탱크]]를 단 '''1번의 공격'''으로 파괴한다. [[M.A.R.V]]나 [[이레디케이터 헥사포드]]의 경우 기본적으로 넓은 범위 공격을 가졌기에 대규모 한타에서도 빛을 발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특수 능력인 분노 발생기가 강력하다. [[Nod]]의 스텔스 장막과 조합[* [[블랙 핸드(진영)|블랙 핸드]]는 스텔스 장막을 사용할 수 없다.]하여 범위내에 몰래 들어와서 '''몰래''' 발생시키면 상대 병력을 녹일 수 있다. 사용시 리디머를 중심으로 넓은 범위에 즉시 능력이 시전되는데, 시전후 약 6초간 적 지상 병력은 컨트롤 불가상태가 되며 피아구분없이 근처에 있는 모든 유닛을 공격한다. 이 능력에 적용받은 적 유닛은 지속시간동안 적 방어건물에게도 적 유닛으로 간주되어 공격을 받는다. 다만 이미 공격중이었던 유닛은 분노 발생기에 맞더라도 그 공격 목표가 제거되거나 은폐 등으로 사라지지 않는 한 계속 그 목표만 공격한다. 또한 공중유닛은 분노 발생기 범위안에 있더라도 통제불능이 되지 않는다. 이놈은 싸우라고 있는게 아니라 적이 '''서로 싸우게''' 이간질시키는 유닛으로 메리트가 있는 것이며 이것으로 먹고 산다. 유리의 복수의 [[카오스 드론]]이 체력만 좀 더 높았다면 이랬을까 싶을 정도로 효과가 끝내준다. 하지만 박격포 상향으로 인해 [[GDI]]는 [[핏불]]이 기본 유닛이 돼서 리디머가 접근하기 전에 발각되어 집중 공격받는 일이 너무 흔해진 탓에 핏불이 있을 때 사용하기엔 힘들어졌으며 공군이 주력인 [[스크린(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스크린]] 유저에겐 쓰기도 그래서 결국 동족전에만 쓰이는 난감한 유닛이 되었다. 더불어 M.A.R.V.는 지나가는 자리의 타이베리움을 싹쓸이하여 자원으로 회수하는 능력이 있고 이레디케이터 헥사포드는 자신의 근처에서 죽인 적의 생산비 일부를 회수하는 무언가 경제적인 능력들이 있는데 리디머 혼자 이런 능력이 없다. 선택하지 않은 채로 두면 상반신을 빙글빙글 돌리거나 다리 나사를 조이기도 한다. === 리디머의 보병 포드 ===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_gun_turret.jpg]]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_rocket_turret.jpg]]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_self_repair.jpg]] ||<:>[[파일:external/goto2020.cdn1.cafe24.com/redeemer_flame_turret.jpg]] || ||<:>[[민병대 분대]], [[컨페서 카발]], [[각성자]] ||<:>[[로켓 민병대]] ||<:>[[새보터|새버터]] ||<:>[[블랙 핸드(유닛)|블랙 핸드]], [[타이베리움 돌격대]] || ||<:>[[소총]] ||<:>[[로켓]] ||<:>자체 수리 드론 || [[화염방사기]], 타이베리움 방사기[* 타이베리움 방사기는 화염방사기와 텍스처를 공유한다.] || 보병 탑재 가능 수는 양 어깨에 하나씩 포드가 있어서 2개의 포드가 있다. 당연히 착용하면 다시 해제가 불가능하다. 에픽 유닛 중에서 가장 보병 주둔 포드가 적으며 들어갈 수 있는 보병 수도 가장 적기 때문에 보병 포드의 효율이 3종족의 에픽 유닛들 중에서 가장 떨어진다. [[Nod]] 본대나 [[블랙 핸드(진영)|블랙 핸드]]에서는 화염방사기를 끼워서 보병유닛을 상대하기 쉬워지고 엄청난 건물 파괴 속도를 보여주지만 대공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공 방어를 위해서 [[민병대 로켓 분대]]를 넣어도 보병 탑재 포드가 2개 뿐이라서 대공 능력이 떨어진다. [[스텔스 탱크#s-2.4|스텔스 탱크]]나 [[맨티스#s-5|맨티스]]의 호위는 필수. [[마크 오브 케인]]에서는 [[각성자#s-2|각성자]]가 들어가면 민병대처럼 소총만 달리며 '''[[구원자#s-3|구원자]]는 리디머에 들어가지 못한다.'''[* 구원자의 대장갑 능력을 생각하면 [[M.A.R.V.]]에 [[존 트루퍼]], [[이레디케이터 헥사포드]]에 [[쇼크 트루퍼#s-3|쇼크 트루퍼]]가 들어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틸 탤론]]도 보병 운용을 못해서 넣어줄 보병이 부족한건 마찬가지. 존 아저씨를 넣고 레일건 가속기까지 끼워주는 것을 막았기 때문이다.] [[블랙 핸드(유닛)|블랙 핸드]]가 없어서 화염방사기를 장착하지 못하고 대체하는 [[타이베리움 돌격대]]가 들어가면 오로지 대보병에 강한 타이베리움 방사기가 달리지만 대전차 공격력은 사실상 없고 대건물 공격력도 화염방사기보다 취약하다. 그래서 마크 오브 케인에서는 리디머의 활용도가 떨어져서 --구원자 못쓰는 아쉬움 대신-- 입자빔 베놈을 호위용으로 쓰면서 본체는 쌍로켓으로 화력을 보조하거나 쌍수리로 탱킹하는 경우가 많다. 성능상 타이베리움 돌격대나 블랙 핸드를 집어넣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경우에 따라 새보터를 집어넣어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로켓 민병대나 민병대를 집어넣게 되면 효율이 매우 떨어져 왠만해서는 블랙 핸드나 새보터를 쓴다. === 대사집 === [youtube(fDUFmabnFqk)] ||<#FF0000><-2><:>{{{#white '''출고'''}}} || ||The Redeemer has risen! ||리디머가 강림했다! [* 적 진영에게 울리는 대사.]|| ||I live! ||난 살아있다! [* 플레이어/동맹 진영에게는 I live라고 크게 울린다. 피라미드를 열고 나오는 폼과 함께 울리는 대사가 꽤 멋진 느낌을 준다.]|| ||<#FF0000><-2><:>{{{#white '''선택'''}}} || ||The ultimate war machine! ||궁극의 전쟁병기! || ||Kane is all! ||케인님은 위대하시다! || ||Fear his mind! ||그의 정신을 두려워하라! || ||Care for a demonstration? ||증명에 신경쓰이는가? || ||I will crush them all! ||모두 짓밟아버리겠다! || ||All system online! ||전 시스템 온라인! || ||Redeemer engaged! ||리디머가 교전에 들어갔다! || ||Redemption! ||구원! || ||Absolute power! ||[[절대왕정|절대권력!]] || ||I wait. ||난 기다린다. || ||<#FF0000><-2><:>{{{#white '''이동'''}}} || ||Operation engaged! ||명령을 받았다! || ||Onward to victory! ||승리를 향해 전진하라! || ||I move! ||난 움직인다! || ||Out of my way! ||날 방해하지 마라! || ||Vector pathed! ||벡터 맞춰짐! || ||Advancing! ||전진 중! || ||To battle! ||전장으로! || ||<#FF0000><-2><:>{{{#white '''공격'''}}} || ||Fear me! ||내가 느껴지는가! || ||Die! ||죽어라! || ||The will of Nod! ||Nod의 뜻이다! || ||Behold the power of Nod! ||형제단의 힘을 보아라! || ||Weakness is death! ||약한 자에게 죽음을! || ||Redemption is yours! ||구원해 주소서! || ||Resistance is futile! ||저항은 무의미하다![* [[스타트렉]]에 나오는 메인 빌런인 [[보그(스타 트렉)|보그]]들이 자주 쓰는 대사다.] || ||Heed the Word! ||이것이 법이다! || ||Engage! ||전투 개시! || ||I kill! ||난 죽인다! || ||<#FF0000><-2><:>{{{#white '''돌격'''}}} || ||All shall die! ||모두 죽으리라! || ||I shall crush them all! ||내가 전부 밟아주마! || ||Combat sensors engaged! ||전투 센서 가동개시! || ||For Kane! ||케인 님을 위해! || ||Attack vector engaged! ||공격 벡터 개시됨! || ||I search! ||난 찾고 있다! || ||<#FF0000><-2><:>{{{#white '''교전'''}}} || ||Enemy engaged! ||적 교전 중! || ||They are like ants! ||개미같은 자식들! || ||All combat systems online! ||모든 전투 시스템 작동 중! || ||Hostiles! ||적이다! || ||Bringing redemption! ||구원을 가져다 주는 중이다! || ||I am the Word! ||[[티리엘|내가 바로 법이다!]] || ||<#FF0000><-2><:>{{{#white '''분노 발생기'''}}} || ||Spreading the joy! ||즐거움을 뿌린다! || ||Count to ten! ||10초 준다! || ||Feeding their rage! ||그들의 분노를 먹여라! || ||Raising unrest! ||불안함을 일으킨다! || ||<#FF0000><-2><:>{{{#white '''퇴각'''}}} || ||If it is Kane's will... ||케인님의 뜻이라면... || ||Retreat! ||퇴각! || ||It is not possible! ||이건 말도 안돼! || == [[미니어처 게임]] [[워머신]]의 세력 [[메노스 보호령]] 소속 경장 [[스팀잭|워잭]] == [[파일:external/privateerpress.com/redeemer.png]] 마크 1 시절의 리디머. [[파일:external/privateerpress.com/32083_RedeemerWEB.jpg]] 마크 2로 넘어오면서 디자인이 바뀐 리디머. 보호령 팩션북에는 미리 실려있었지만 모형 발표는 2011년 후반기에 이루어졌다. >'''"이단자들에게 둘러싸여도 다시는 두려워하지 말지어다. 축복받은 불꽃의 우박이 이단의 무리에게 떨어지면, 그 많던 군세가 모두 [[메노스]]의 손길에 사그라들지어다."''' -고위 심문관 보른. === 설정 === 원거리 공격용 워잭으로, [[리펜터]] 몸체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러개의 장거리 로켓으로 무장하고 있다. 일단은 근접전용 철퇴도 갖추고 있지만 근접전 능력은 그저 그렇기에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이 워잭의 진가는 연속 발사가 가능한 스카이해머 [[로켓]] 발사기에 있다. ===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 === 이 스카이해머는 나름 활용도가 다양한데, 우선은 연속 발사가 가능한데다 엄청난 사거리에 범위 공격이 가능한 무장이라서 [[경보병]]들을 광범위하게 쓸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스카이해머 로켓의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리디머의 사격 실력을 나타내는 척도인 RAT는 다른 리펜터 기반 워잭처럼 평균적인 수준인 5지만, 스카이해머 로켓의 '''부정확함'''이라는 특수 능력에 의해 -4의 보정을 받는다. 명중 굴림은 6면체 2개+근접 또는 사격 실력의 합계가 상대방의 회피 능력인 DEF 이상 나오면 되는데, 웬만한 워잭의 DEF는 못해도 10이고 보병은 12~14정도가 일반적이다. 그러니 '''평균치가 고작 8인''' 스카이해머 로켓을 별다른 명중 보정 없이 직격으로 날리는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이 무기는 원래 폭발해서 근방에도 피해를 주는 무기라서 너무 멀리 빗나가지만 않으면 보병 살상용으로는 충분하다. 이 게임에서 폭발하는 무기가 빗나가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빗나가는지를 판정해 그 위치에서 폭발한다. 유폭 피해는 직격타의 절반 피해지만 어차피 보병은 중장갑을 두르지 않은 이상 유폭만 맞아도 잘 죽는다. 그 다음으로는 로켓 한발에 모든걸 걸어 직접 피해를 입히는 식으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메노스 보호령이 자랑하는 [[성가대#s-2|성가대]]의 버프에 이동을 포기하고 조준 보너스를 얻으면 꽤 강력한 로켓이 탄생한다. 여기서 추가 사격을 포기하고 이 한발의 명중, 피해 증폭에 모든 집중 점수를 투자해서 명중률을 보강하고 공격력을 올리면 [[워캐스터]]를 비롯한 중요 모델들을 골로 보낼 수 있는 원거리 공격 모델로 탈바꿈한다. 여전히 중형 워잭에게 박힐 수준은 아니지만 어차피 단독 모델이나 웬만한 워캐스터에게는 이정도만으로도 아프다. 일단은 부정확한 범위 공격을 통한 대량 보병 살상용 워잭으로 보이지만 보호령은 원레 버프질로 먹고 사는 세력이라 이런 명중률 페널티는 상쇄할 방법이 너무나도 많다. 심지어 MK1 때는 [[세베리우스]]의 주문 중 하나인 '사형 선고'[* MK1 시절엔 대상이 모든 공격에 '''자동 명중'''을 당하는 흉악한 주문이었지만 MK2 오면서 너프당해, '명중 실패시 주사위 다시 굴림'으로 변경되었다.]를 걸면 원래 명중에 페널티가 있었던 것도 같은데 '''[[소드마스터 야마토|그런 것은 아무래도 상관없어.]]''' [[보병]] 중 [[무장타격대]]가 스카이해머 로켓을 직접 운용한다. == [[던전앤파이터|던전 앤 파이터]]의 직업인 [[미스트리스(던전 앤 파이터)]]의 2차 각성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스트리스(던전 앤 파이터))] == 게임 [[스타 시티즌]]에 등장하는 중형 건쉽 == [[파일:sc aeg redd 0102.gif]] 이지스 다이나믹스사의 중형 건쉽으로 등장하는 함선의 이름이다. 동체급의 함선중 최고의 OP함선으로 군림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스타 시티즌/함선]] 항목 참조. == [[요 네스뵈]]의 소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리 홀레 시리즈)] [[분류:동음이의어]][[분류: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움 시리즈]][[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