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올 엘리트 레슬링|{{{#9e862d '''AEW'''}}}]] || || '''링네임''' || Genkai [br] Lee Mitchell [br] '''Lee Moriarty''' || || '''본명''' || Lee Moriarty || || '''생년월일''' || 1994년 || || '''신장''' || 180cm || || '''체중''' || 84kg ||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 || || '''별명''' || '''TAIGASTYLE''' || || '''[[피니시 무브|{{{#9e862d 피니시 무브}}}]]''' || 타이가 드라이버 '18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주요 경력''' || PWX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WX 태그팀 챔피언 1회 [br] PWX 쓰리 리버스 챔피언 2회 [br] IWTV 인디펜던스 레슬링 월드 챔피언 1회 [br] QCW 챔피언 1회 [br] Enjoy 컵 챔피언 1회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QIIEr9MMxL8|Taiga Flame]] || [목차] == 개요 == [[AEW]] 소속으로 AEW를 비롯해 각종 인디 단체에서 활동 중인 테크니션 계열 프로레슬러. == 커리어 == 10대 시절 WWE를 보면서 프로레슬링의 팬이 됐으며, 당시 좋아했던 프로레슬러들은 [[레이 미스테리오]], [[제프 하디]], [[CM 펑크]]. [[AJ 스타일스]]. 나이를 먹고 일본 및 인디 무대에 대해 알게 되면서 [[타이거 마스크]] 1세의 옛날 경기 비디오를 구해다 보는 등 꽤나 하드한 팬이 됐고, 21살이었던 2015년 본격적으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해 펜실베이니아의 PWX 도장에서 브랜든 K 및 딘 래드포드로부터 훈련을 받게 된다. 초창기에는 PWX에서 '디 오더'라는 스테이블의 일원으로 주로 활동하며 태그팀 챔피언에도 올랐으나, 2018년부터는 여러 단체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점차 이름을 알리게 된다. 2020년에는 [[임팩트 레슬링]] 익스플로젼 방영용 경기에서 수어사이드의 상대로 출연했지만 패배. 2021년 8월 13일 공개된 [[AEW]] 다크에 출연했지만 짧은 경기 끝에 단테 마틴에게 패배한다. 이후로도 인디 단체 활동을 병행하며 간간이 AEW 다크 및 엘리베이션에 자버로 출연해왔고, 9월 12일에는 [[ROH]]에서 벌어진 데스 비포 디스아너 XVIII에 출연해서 [[존 월터스]] & [[LSG]]와 팀을 이뤄 [[크리스 딕킨슨]] & [[토니 데픈]] & [[호미사이드]]를 상대하나 패한다. 2021년 10월 15일 AEW 램페이지 바이인 쇼에서 [[바비 피쉬]]의 상대로 등장하지만 또 패배한다. 이후 AEW와 정식계약을 맺었음이 발표되고 10월 24일 공개된 다크에서 [[닉 코모로토]]를 상대로 AEW에서의 첫 승을 기록한다. 11월 10일자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맷 사이달과 팀을 이뤄 단테 마틴 & [[리오 러쉬]]의 태그팀 상대로 등장하며 TV쇼에도 데뷔하게 된다. 이후로도 맷 사이달을 멘토로 삼아 함께 활동하고 있으며, [[리오 러쉬]]가 불미스러운 사태로 AEW를 떠남과 함께 붕떠버린 단테 마틴까지 합류해 3명이 뭉쳐다니게 된다. 2022년 1월 16일 [[터미너스: 얼 로드 리드 히어]]에 출연하게 되면서 같은 소속 선수인 [[제이 리썰]]과 맞붙을 예정이었지만 제이 리썰이 코로나 확진으로 불참하면서 [[조쉬 우즈]]와 맞붙게 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2월 2일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브라이언 대니얼슨]]이 [[존 목슬리]]에게 힘을 합쳐 프로레슬링의 미래들을 키워보자며 연합을 제안하는데, 그 프로레슬링의 미래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나머지 두 명은 [[대니얼 가르시아]]와 [[휠러 유타]].] 존 목슬리는 즉답을 피한 뒤 바로 다음주인 2월 9일자 다이너마이트에서 [[CM 펑크]]와 팀을 맺어 [[FTR]]을 상대하고, 2월 11일자 램페이지에서 토니 쉬바니가 이에 대한 브라이언 대니얼슨의 의견을 묻는다. 브라이언 대니얼슨은 존 목슬리와 CM 펑크의 연합은 단발성에 지나지 않고, 자신의 계획은 장기적인 것이라며 아직 존 목슬리에게 미련을 버리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인터뷰 현장에 나타난 맷 사이달이 왜 리 모리아티를 자신에게서 빼가려 하냐며 항의한다. 대니얼슨은 맷 사이달이 위대한 레슬러이며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너는 결코 리 모리아티를 가르칠 수 없으며 리 모리아티는 '폭력'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리 모리아티가 대화에 끼어들며 왜 자신이 이 자리에 없는 것처럼 이야기를 나누냐며 화를 내고, '폭력'을 원하면 얼마든지 보여주겠다고 대꾸한다. 바로 도전을 수락한 대니얼슨과 2월 16일자 다이너마이트에서 맞붙게 되지만, 10여분간의 분투 끝에 리걸플렉스 - 부사이쿠 니 - 스톰핑 - 트라이앵글 초크의 연계에 실신하며 패배하고 만다. [[슈퍼카드 오브 아너 XV]]에서 [[제이 리썰]]을 상대로 경기를 가지나 제이 리썰이 심판몰래 리 모리아티에게 로우 블로우를 날리면서 리 모리아티는 패하고, 당일 메인이벤트 경기로 벌어진 통합 ROH 챔피언십 매치가 끝난 후 나온 제이 리썰을 공격하지만 [[선제이 더트]] & 제이 리썰의 합동공격에 당한다. [[조나단 그레샴]]이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7월 8일에 방영된 램페이지에서 벌어진 태그팀 경기에서 [[툴리 블랜차드]]와 같이 등장한 게이츠 오브 애거니를 상대하지만 조나단 그레샴의 배신으로 패하고, 15일에 방영된 램페이지에서 리 모리아티는 조나단 그레샴과 맞붙지만 패한다. 22일에 방영된 램페이지에서 [[단테 마틴]]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나 심판몰래 로프를 잡는 반칙을 써서 승리를 거두며 악역전환의 시작을 알린다. 맷 사이달이 리 모리아티의 행동을 비판하면서 7월 29일에 방영된 램페이지에서 맷 사이달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다. 스토클리 해서웨이를 따라다니기 시작하며 [[올 아웃 2022]]에서 열린 카지노 래더 매치에서 스토클리 해서웨이 & [[빅 빌|W. 모리시]] & [[에단 페이지]] & [[콜튼 건]] & [[오스틴 건]]과 같이 [[MJF|미스터리 조커]]를 돕는 무리로 등장한다. 이후로 '''더 펌'''(The Firm)을 결성한다. 더 펌 멤버로 활동하지만 얼마안가 각자 활동이 벌어져 더 펌은 사실상 해체가 확정되면서 리 모리아티는 평범하게 활동한다. == 기타 == 1대 타이거 마스크인 사야마 사토루의 팬이기도 했으며, 이 때문에 원래는 호랑이 마스크를 쓰고 복면 레슬러로 활동할 생각을 했었다. 자신의 스타일을 타이가스타일(TAIGASTYLE)로 정의하고 있다. 대문자로 표기해야 한다고. 등장할 때 쓰고 나오는 마스크나 착용하는 링기어들의 대부분은 스스로가 디자인한 것들. [[분류:1994년 출생]][[분류:피츠버그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