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티베트 자치구의 행정구역)] [[파일:시가체.jpg]] 1961년 [[문화대혁명]] 당시 파괴되었다가 2005-2007년 복원된 시가체 종 [[파일:타쉴훈포 3.jpg]] 1447년에 세워진, [[판첸라마]]의 본거지인 타쉴훈포 사원 [[파일:타쉴운포 1447.jpg]] 타쉴훈포 사원에서 바라본 시가지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000,#ddd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日喀则, ruby=Rìkāzé)][ruby(市, ruby=Shì)] | གཞིས་ཀ་རྩེ་གྲོང་ཁྱེར།}}}'''[br]르카쩌시 | Xigazê City | सिगात्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日喀则市, 너비=100%, 높이=224px)]}}}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티베트 자치구]] 르카쩌시[br]쌍주쯔구 산둥베이루4호[br]西藏自治区日喀则市[br]桑珠孜区山东北路4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82,066.26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17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798,153명 ^^(2021)^^ || ||<-2> '''{{{#ffff00 인구밀도}}}''' || 4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티베트인]] 95.50% | [[한족]] 3.67%[br][[키르기스|키르기스인]] 0.38% | [[후이족|회족]] 0.20% || ||<-2> '''{{{#ffff00 서기}}}''' || 장옌칭(张延清)^^([[티베트인]])^^ || ||<-2> '''{{{#ffff00 시장}}}''' || 양쿤(杨昆)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6억 7,900만 ^^(2015)^^ || || '''{{{#ffff00 1인당}}}''' || $3,608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없음 || || '''{{{#ffff00 시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藏D'''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日'''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4'''0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92''' || ||<-2> '''{{{#ffff00 우편번호}}}''' || '''857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Z-02''' ||}}}}}}}}} || ||<-3> [[http://www.rkzszf.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서부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 수부인 [[라싸시]]에서 서쪽으로 250km 떨어져 있으며, 라싸시에 이어 자치구에서 두 번째로 크고 영향력 있는 도시이다. [[판첸 라마]]의 본거지로 유명하며, 사캬 사원 등 수백개의 [[티베트 불교]] 사원이 있다. == 상세 == [[표준중국어]] 발음은 Rìkāzé(르카쩌)이지만 공식 로마자 표기도 중국어 Rikaze가 아닌 [[티베트어]] Xigazê(씨까쩨)[* 티베트어로는 གཞིས་ཀ་རྩེ།라고 쓰고, 와일리 표기법에 따르면 'gzhis ka rtse'로 표기한다.]이고 여행서나 포털 사이트 등에서 시가체라는 [[티베트어]] 명칭이 많이 사용된다. 티베트어로 시가체는 '고향의 산봉우리'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상하게 [[버스 터미널]]에 가서 표 끊으려고 하면 한족이든 티베트인이든 시가체라고 말하면 못 알아듣는 척하기에 이때만은 Rìkāzé라고 해야 한다. 아무래도 [[중국 공산당]]의 [[중국-티베트 관계|무언의 압박]] 때문인 거 같다. 르카쩌 지급시[* [[2014년]]에 현급시에서 지급시로 승격되었다]의 행정구역은 무려 11만 km^^2^^에 이르는데, 도시 하나가 [[대한민국]]이 실효지배 중인 국토에 해당하는 [[남한]] 전체보다 넓다. 과연 [[대륙의 기상]]답다. 행정구역 내의 인구는 70만 명이 넘는다. 중국 도시치곤 인구가 많은 곳은 아니다. 중국의 행정체계 특성상 정확하지는 않으나 전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이다. 행정구역 전체 면적이 워낙 넓다 보니 한국 기준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의 규모를 보려면 시의 중심부에 있는 성북가도(城北街道)[* 티베트어로는 '동장된쬐(grong byang don gcod)'라고 한다.]와 성남가도(城南街道)[* 티베트어로는 '동호된쬐(grong lho don gcod)'.]의 면적과 인구를 보는 것이 좋다. 두 가도를 합치면 면적 약 160㎢에 인구 6만 3천명 정도로, [[경기도]] [[안산시]]나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보다 조금 넓은 곳에 인구는 훨씬 적게 살고 있다. 지급시 자체는 남한보다도 넓고 인구는 70만에 달하지만, 실제 '도시'라고 할 수 있는 구역에는 인구가 10만도 안 된다. 도시가 해발 3700미터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여느 티베트 도시처럼 [[고산병]]에 시달릴 수 있다. 3700미터면 [[일본]] 최고봉 [[후지산]]의 높이부터 쌈싸먹는 높이다. 모직물이 유명했으며, [[1950년대]] 이후 세워진 [[발전소]]로 전기가 공급된다. [[파일:타실훈포.jpg]] [[파일:타쉴훈포 2.jpg]] [[파일:타쉴훈포 1.jpg]] 주요 관광지로는 타쉴훈포[*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에 따르면 'bkra shis lhun po'로, [[동국대학교]] 티벳장경연구소 표기법에 따르면 '따씨휜뽀'이다. ] 사원이 있다. 타쉴훈포 사원은 판첸라마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라싸의 [[포탈라궁]] + 드레풍사원 과 비슷한 위치. 즉 사원이기도 하면서 라마의 궁전이기도 하다. 그래서 타쉴훈포 사원 안에 역대 판첸라마의 무덤도 있다. == 교통 == [[2010년]] 10월 19일에 개항한 국내선 전용공항인 [[르카쩌 허핑 공항]]이 있어서 [[티베트항공]] 및 [[중국동방항공]]이 [[청두]], [[시안시|시안]], [[상하이]]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2014년]]도에 티베트자치구 수도 [[라싸시]]에서 르카쩌시를 잇는 라르철도(拉日铁路)[* [[칭하이성]] [[시닝]]과 티베트자치구 라싸시를 잇는 [[칭짱철도]]의 연장노선이며 추후 [[네팔]]까지 연장될 예정이다.]가 개통되어 직달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수부 [[라싸]]에서 [[인도]] 북부 [[시킴]] 지방으로 가는 도로[* 204번 성급도로가 티베트자치구 야둥현을 거처 나투라고개로 연결된다.]와 [[네팔]]로 가는 여러 통상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네팔 측의 경우 대표적으로 [[장무 통상구]]와 [[지룽 통상구]]가 있다. [[분류: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분류:중국의 옛 수도]] [[분류:판첸 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