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류영수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 [include(틀:LG 트윈스 2군 감독)] }}} || ---- ||<-2> [[파일:external/img.mbn.co.kr/029122120011.jpg]] || ||<-2> [[헨리 소사]]를 다독이며. || || '''이름''' || 류영수(柳永洙 / Ryu Young-soo) || || '''생년월일''' || [[1945년]] [[5월 25일]] ([age(1945-05-25)]세)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신지''' || [[대구광역시]] || || '''학력''' || 칠성초-경상중-[[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 || '''신체''' || 165cm, 54kg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소속 구단''' || [[제일은행 야구단]] (1964~1966)[br][[육군]] [[상무 피닉스 야구단|야구단]] (1967~1969) || || '''지도자''' || [[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상업고등학교]] 감독 (1979~1982) [br] [[MBC 청룡]] 수석·투수코치 (1983~1987) [br] [[LG 트윈스 2군|MBC 청룡 2군]] 감독 (1988) [br] [[삼성 라이온즈]] 수석·투수코치 (1989~1990) [br]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1991) [br] [[태평양 돌핀스]] 수석코치 (1992~1995) [br] [[현대 유니콘스 2군]] 투수코치 (1996~1998) [br] [[현대 유니콘스 2군]] 감독 (1999~2004) [br] [[현대 유니콘스]] 재활군 코치 (2005) [br] 베이징 타이거즈 투수코치 (2008~2009) [br] [[원광대학교]] 투수코치 (2010~2013) [br] '''[[넥센 히어로즈]] 육성군 총괄·재활코치 (2014)''' [br] '''[[넥센 히어로즈]] 1군 투수코치 (2014)''' [br] [[넥센 히어로즈]] 육성군 총괄·재활코치 (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3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프로야구의 코치로 현장에서 뛰었던 그야말로 [[KBO 리그]]의 산 증인이다. == 선수 경력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시절 팀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 결승으로 이끌 정도의 투수 유망주였다. 당시 그와 호흡을 맞췄던 [[포수]]가 지도자 시절 계속 함께 하게 되는 [[정동진(1946)|정동진]]이다.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를 졸업하고 [[정동진(1946)|정동진]]과 함께 [[실업야구]]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1964년 7월 30일 인천시청을 상대로 [[노히트노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25EB%25A5%2598%25EC%2598%2581%25EC%2588%2598%25EC%2598%25B9%2520%25EB%2585%25B8%25ED%259E%2588%25ED%258A%25B8%25EB%2585%25B8%25EB%259F%25B0.png]] 경향신문 1964년 7월 31일자. == 지도자 경력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상고]] 야구부 감독으로 일하다가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하자 [[MBC 청룡]]의 투수코치로 합류해서 1988년까지 MBC의 2군 감독, 수석코치로 일했다. 1990년 [[대구 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동기인 [[정동진(1946)|정동진]]이 그 해 [[삼성 라이온즈]]의 수석코치로 영입했다. [[정동진(1946)|정동진]] 감독이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에게 스윕당한 후 해임되자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1992 시즌을 앞두고 [[미국]] 유학 중이던 [[정동진(1946)|정동진]]이 [[태평양 돌핀스]]의 감독으로 취임하자 정동진을 따라 수석코치로 태평양에 합류했다. 1994 시즌 [[김재박]]이 수석코치가 되자 태평양의 2군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태평양이 1996년 [[현대 유니콘스]]로 재창단하면서 [[정동진(1946)|정동진]] 감독이 물러나고 [[김재박]] 감독-[[정진호(1956)|정진호]] 수석코치 체제가 된 이후에도 2005년까지 [[현대 유니콘스]]의 2군 감독, 재활군 코치, 2군 투수코치 등을 맡으면서 [[현대 유니콘스]] 커리어에서는 대부분 2군에서 육성을 담당하였다가 2005 시즌을 마치고 재계약에 실패한 후 한동안 프로 현장을 떠났다. 1999년 타자였던 [[권준헌]]이 투수로 전향할 때의 투수코치이기도 하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9051513005301|기사]] [[중국]]에서도 투수코치를 했으며,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원광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를 맡으면서 유망주를 키웠다. 그리고 2014년부터 [[넥센 히어로즈]] 육성/재활군 총괄코치로 영입되어 프로 현장에 복귀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id=86102&category=kbo&gameId=20140621SKWO0&date=20140621&listType=game|#]] 2014년 태평양, 현대 시절 류 코치의 제자이기도 했던 [[염경엽]] 감독이 [[넥센 히어로즈]] 투수진의 대붕괴 사태에 직면하여 공석이던 1군 투수코치 자리에 전격적으로 올린 것이다.[* [[최상덕]] 코치가 1군 투수진 대붕괴의 책임을 지고 2군으로 내려갔고 [[이강철]] 수석코치가 투수코치까지 겸임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거기다가 [[이강철]] 코치는 메인 투수코치만 맡으면 투수진을 박살내는 인물인지라.][* 사실 [[이상군]], [[양상문]]이 워낙 악명을 떨치면서 상대적으로 가려진 무능력자들이 상당히 많다. [[윤학길]], [[윤석환]], [[조계현]], [[이강철]], [[정민태]], [[김태한]] 등도 자기 팀 팬으로부터 도대체 하는 일이 뭔지 모르겠다는 비아냥을 듣는 투수코치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자기만의 명확한 투구이론이 없고, 자신의 선수 시절 구종과 투구폼 이외에는 가르치질 못한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이름값으로 코치를 하는 사람들.] 실제로 류 코치는 재활군에서조차 가망이 없다고 판단한 부경고 출신의 우완 투수 [[김태훈(1992)|김동준]]을 밀착 지도하는 혹독한 조련으로 1군 선수로 만들어냈다고 한다. 이에 보답한 [[김태훈(1992)|김동준]]은 류영수가 부임한 [[2014년]]에 1군으로 처음 콜업되었으며, 이듬해 데뷔 첫 승의 감격을 안았고 [[염경엽]] 감독이 [[선발 투수]]로 낙점하였을 정도로 성장하였다. 류영수 코치가 1군 투수코치로 취임한 후 말썽이었던 넥센 투수진이 환골탈태, 단독 2위까지 올라서면서 숨은 공신으로 손꼽히고 있다. 또 투수들의 지도뿐만 아니라 선수단 전체의 멘탈에도 도움이 되는 듯하다. 한 예로 [[박병호]]가 긴 부진 끝에 30홈런을 친 후 류 코치와 깊은 포옹을 하는 모습이 있었다.[* 몇 달 뒤 [[박병호]]가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류영수 코치가 1군으로 올라왔을 때부터 [[박병호]]가 부진에 빠지자 그게 다 자기 때문이라는 듯 마음 고생이 심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20140711%25EB%25A5%2598%25EC%2598%25B9%25EA%25B3%25BC%25EB%25B0%2595%25EB%25B0%25B1%25EC%2597%2585%25ED%258F%25AC%25EC%2598%25B9.jpg|width=550]][* 참고로 포옹 장면을 흐뭇하게 보는 사람은 [[강정호]]가 아니라 [[안태영(야구)|안태영]]이다. ~~진짜 [[강정호]]는 [[박병호]] 왼쪽으로 옆에옆에 있다.~~ ~~카메라 의식?~~] [[2014년 한국시리즈]] 이후, [[넥센 히어로즈]]에서 [[손혁]] [[MBC SPORTS+|엠스플]] 해설위원을 1군 투수코치로 영입하면서 본래의 자리였던 육성/재활군 코치로 복귀했다. 아쉽게도 2015 시즌이 끝나고 코치를 그만뒀다. 아무래도 고령의 나이에 열악한 2군에서 투수 육성을 하는게 보통 일이 아닌지라... 2020 시즌, 류영수 코치의 역작인 [[김태훈(1992)|김태훈]]이 팀 내 가장 중요한 불펜 요원으로 등극하며 팬들이 류영수 코치에게 감사함을 잊지 못하고 있다. == 여담 ==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20140728%2520%25EC%2583%2581%25EC%259A%25B0%2520%25EB%25A5%2598%25EC%2598%25B9.jpg|width=550]] [[파일:external/90ec9b3357b9f94243eea6104f669fd19e9cef23a633cfb06366e27becd0959b.gif]] [[조상우]]를 예뻐라 하는 모습이 종종 포착된다. [[파일:external/lh6.googleusercontent.com/20140815%25205%25ED%259A%258C%25EB%25A7%2590%2520%25EB%25B0%2595%25EB%25B1%2585%2520%25ED%2588%25AC%25EB%259F%25B0.gif]] [[2014년]] [[8월 15일]] [[박병호]]가 투런홈런을 쳤을 때의 모습. 못 보고 지나치는 박병호에게 먼저 손 내밀고 인사하는 훈훈한 모습을 보이기도. 더불어 박병호도 하이파이브와 폴더인사를 한큐에 해결하는 훈훈함을 보여서 팬들을 흐뭇하게 했다.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에서는 '''유일하게 절대 까이지 않는 인물.''' 투수진의 문제를 해결한 것 뿐만 아니라 팬들에게도 겸손한 인성, 특히 손자뻘인 선수들에게도 허리 굽혀 인사를 하는 등 훈훈한 모습에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매우 좋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키움 히어로즈/선수단]] [[분류:1945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우투우타]][[분류:우완 투수]][[분류:1964년 데뷔]][[분류:1969년 은퇴]][[분류:제일은행 야구단/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야구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