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류시위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include(틀:LPL 4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include(틀:LPL 3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include(틀:리프트 라이벌즈 Red Rift 역대 우승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MG_COLD_2022_Split_1.png|width=100%]]}}} || ||<-2> '''{{{+1 COLD}}}[* 前 五爷, Amazing, 5, Five, cold][br]류시위(刘时雨[* 한국 한자음으로는 류시우.] | Liu Shi-Yu)''' || || '''출생''' ||[[1997년]] [[2월 1일]] ([age(1997-02-0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포지션''' ||[[서포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18]] 서포터]] || || '''소속''' ||Team RM 2[br](2014.11.15 ~ 2014.11.23)[br]'''[[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h My God]][br](2015.01.?? ~ 2022.12.14 )'''[* 2군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6|Oh My Dream]] 시절 포함. (2015.01 ~ 2015.05.19)]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MGCOLD2022springwe.jpg|width=100%]]}}} || || {{{#ffffff '''Liu "COLD" Shi-Yu'''}}} || [[중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자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h My God]]의 프렌차이즈 [[서포터]]였다. == 수상 경력 == ||<-5><#8a2be2> '''{{{#fff 우승 기록}}}''' || ||<-5> '''[[2017 Rift Rivals/LCK, LMS, LPL|2017 Rift Rivals Red Rift]] 우승''' || || 대회 개최 || → || '''LPL'''[* 2017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WE]],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NG]], [[EDG]], OMG] || → || LPL[* 2018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NG]], [[EDG]], [[Anyone's Legend|RW]],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 || == 선수 경력 == === 2020 시즌 이전 === 팀의 서폿 담당. 롤 프로게이머 [[모리스 슈테겐슈나이더]]도 아이디 Amazing을 사용한다. 결국 아이디가 겹쳐서 그런지 아이디를 숫자 5로 바꿨다. 쓰레쉬의 랜턴과 사형선고만큼은 LPL에선 손꼽힐 정도로 뛰어나지만, 다른 챔프로는 그냥 메카닉만 준수한 서포터. 사족으로 Mlxg와 이름이 똑같다[* 물론 한자는 다르다.]. 그래도 2017 시즌에는 쓰레쉬 외에도 라칸을 포함해 다양한 이니시에이터, 캐리형 서포터를 잘 다루면서 그나마 거품 가득한 이 팀에서는 아이콘 다음으로 기여도가 높은 선수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Machi전에서 라칸으로 망했다. 리프트 라이벌즈 이후 보여주는 모습은 어이없는 쓰로잉으로 나름 쓸만한 유망주라는 평을 듣는 원딜인 첼리의 발목을 잡기만 할 뿐 그나마 있던 장점인 메카닉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무뇌형 서포터의 길을 걷고 있다. 2019년 12월 16일 계약을 갱신하면서 닉네임을 Five에서 cold로 변경했다. [[https://www.weibo.com/3165008832/Il5klyz3v|#]] === 2020 시즌 === [[파일:OMG Cold 3000 Assists.jpg]] 2020 스프링 3천 어시스트를 달성한 중국 미드카더 라인에서 화석급 서포터임은 분명하다.[* 메이코, PYL의 4천어시 다음이며 아직 현역인 밍, 바오란보다 빨리 달성했다. 밍은 중국 치고는 덜 교전 지향적인 RNG 스타일로 인해 어시 쌓이는 속도가 느리고 바오란은 사우스윈드에 서브로 밀려 있어서, 의외로 당분간 3위를 마크할 수 있을듯.] 그러나 중국이 지금의 베트남 수준 운영을 보여주던 시절을 대표하던 서포터다 보니[* 실제 17 스프링에 4위를 달성한 OMG가 서머에 밑도 끝도 없이 추락한 순간이 18년부터 시작되는 LPL의 전성기 발판이 쌓아올려지는 그 순간이었다.], 서포터 자원 은근히 풍족한 중국에서 이런 한계가 있는 선수를 언제까지 계속 써야 하는지는 의문. === 2021 시즌 === 21 스프링 개막전 EDG전 2세트에서 뜬금없이 베릴급은 아니라도 전성기 메이코급 알리스타 캐리를 보여주었다. 물론 1, 3세트는 우리가 아는 그 콜드였다. 그런데 결국 팀은 멸망인데 콜드는 SmLz와 함께 하던 시절에도 그가 떠났던 시절에도 보여준 적 없는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냈다. 비슷한 케이스인 유럽의 [[프로미스큐]]와 비교해도 훨씬 잘했다. 서머 시즌에도 쓰레쉬 등으로 꽤 날카로운 이니시를 자주 보여주면서 OMG의 기대이상 선전에 한 몫 거들었고, 활약을 인정 받아 4주차에는 이주의 서폿까지 선정되었다. 애초에 콜드가 탑급 서포터 인 적도 없었지만 아니어도 그나마 빛을 봤던 2017년 이후에 몇년간 별 볼일 없던 시절을 딛고 제 2의 전성기라는 평가도 받았다. 결국 3년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이라는 큰 성과를 얻었다. 이게 한창 시절 무지성 꼬라박으로 아이콘, 커스, 아러 등 수많은 솔로라인 유망주들의 커리어를 박살내던 그 서포터가 맞는지 신기할 정도. 플레이오프에서는 특유의 약한 체급으로 벽에 부딪혀 바텀 차이를 계속 허용했고 WE에게 0:3 완패를 당했다. === 2022 시즌 === 22 스프링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막차 경쟁을 하다가 FPX에게 밀려 11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서머 시즌에는 시즌 초 3연패를 찍고 서포터 돌림판까지 돌아갔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하며 정규 시즌 8승 8패 8등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어진 플레이오프, 정규 9등이었던 FPX를 2 : 3으로 패배하며 시즌을 마감한다. 크렘이 케어에게 밀린 것과, 본인의 부진이 꽤나 영향을 미쳤다. 시즌 이후 선수 생활 동안 몸담았던 OMG를 떠났다. 소식에 의하면 은퇴를 할 것이라는 모양. [[분류:중국의 프로게이머/리그 오브 레전드]][[분류:1997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