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독일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1px-D185_L%C3%BCtjens.jpg|width=100%]]|| || 1번함 뤼첸스 || [목차] == 개요 == [[서독]]이 도입한 방공[[구축함]]. 전후 [[독일 해군]]이 운용한 '''마지막''' 구축함이다.[* 현대의 독일 해군은 [[작센급]]이나 [[바덴-뷔르템베르크급]]과 같은 자국이 건조한 대형 수상 전투함을 전부 호위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 제원 == ||<-10><:> '''{{{+1 {{{#FFFFFF 뤼첸스급 구축함}}} }}} [br] {{{#FFFFFF Lütjens-Klasse Zerstörer}}}''' || ||||<:><#eeeeee> '''함종''' ||<(><-3> [[구축함]] || ||||<:><#eeeeee> '''이전급''' ||||||<(> [[함부르크급 구축함|함부르크급]] || ||||<:><#eeeeee> '''다음급''' ||||||<(> [[작센급]] || ||||<:><#eeeeee> '''만재배수량''' ||<(><-3> 4,720톤 || ||||<:><#eeeeee> '''길이''' ||<(><-3> 133.2m || ||||<:><#eeeeee> '''폭''' ||<(><-3> 14.3m || ||||<:><#eeeeee> '''[[흘수선]]''' ||<(><-3> 6.1m || ||||<:><#eeeeee> '''추진''' ||<(><-3> 증기터빈 × 2 || ||||<:><#eeeeee> '''최대 속도''' ||<(><-3> 33노트 |||| ||||<:><#eeeeee> '''항속거리''' ||<(><-3> 20노트 순항시 4,500해리 || ||||<:><#eeeeee> '''승무원''' ||<(><-3> 승조원 337명 || ||<:><|4><#eeeeee> '''레이더''' ||<:><|2><#eeeeee> '''장거리''' ||<(><-3> AN/SPS-40 2D 장거리 대공 레이더 || ||<(><-3> AN/SPS-52 3D 장거리 대공 레이더 || ||<:><#eeeeee> '''중거리''' ||<(><-3> AN/SPS-67 중거리 해상 감시 레이더 || ||<:><#eeeeee> '''항법''' ||<(><-3> [[레이시온]] RP 1225 항법 레이더 || ||||<:><#eeeeee> '''소나''' ||<(><-3> 아틀라스 일렉트로닉 DSQS-21B 능동/수동 소나 || ||<:><|3><#eeeeee> '''대응 장비''' ||<:><#eeeeee> '''전자전''' ||<(><-3> [[EADS]] FL1800 ESM || ||<:><|2><#eeeeee> '''디코이''' ||<(><-3> [[BAE 시스템스|BAE]] Mk.36 SRBOC [[디코이]] 발사기 2기 || ||<(><-3> AN/SLQ-25 Nixie || ||<:><|6><#eeeeee> '''무장''' ||<:><#eeeeee> '''함포''' ||<(><-3> Mk.42 127mm/54 mod10 함포 2문 || ||<:><#eeeeee> '''부포''' ||||<(><-3> [[라인메탈]] Rh202 20 mm 자동포 2문 || ||<:><#eeeeee> '''미사일 (대함)''' ||<(><-3> [[하푼]] 대함미사일 × 8 || ||<:><#eeeeee> '''CIWS''' ||<(><-3> [[팰렁스]] × 2 [br] [[RIM-116 RAM]] × 2 (개수 후) || ||<:><|2><#eeeeee> '''대잠''' ||<(><-3> [[RUR-5 ASROC]] 8연장 발사기 × 1 || ||<(><-3>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어뢰발사관 2문 || == 상세 == 서독 해군은 미국의 [[찰스 F. 애덤스급 구축함]] 기반의 구축함을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총 3척 도입했다. 독일 해군이 운용한 뤼첸스급은 독일군의 요구사항에 따라 원본인 찰스 F. 애덤스급 구축함과 비교하여 무장이나 전투 체계 등이 다른 파생형 함선이다. 독일 해군은 뤼첸스급을 독일 내에서 6척 건조할 계획이었으나, 결국 미국에서 건조된 함선을 3척 도입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3척의 뤼첸스급은 냉전 기간 동안 독일 해군의 주력함으로 활동하였다. 1번함은 [[비스마르크 추격전]] 당시 비스마르크 전대장이었던 [[귄터 뤼첸스]] 해군대장의 이름을 딴 뤼첸스, 2번함은 인류 최초의 100기 격추 기록(총 114대)을 세운 [[루프트바페]] 초기 에이스인 [[베르너 묄더스]]의 이름을 딴 묄더스, 3번함은 [[에르빈 롬멜]] 원수의 이름을 딴 롬멜로 명명하여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육/해/공군의 명장들의 이름을 붙였다. 1966년은 아직 나치 청산이 덜 된 때라 이런 명명이 가능했다.[* 서독의 완전한 나치 청산은 이로부터 후인 [[68혁명]]을 전후하여 벌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당시 서독 진보진영에서는 거세게 반발했다. 이후 서독 해군은 다시는 함명에 사람 이름을 붙이지 않고 오로지 지명만을 붙이도록 방침을 정했고 현재까지 지켜지고 있다. 참고로 공교롭게도 이 함명에 이름이 붙은 세 명은 모두 패전 이전에 사망했고, 각자 사망사유도 다 다르다. 뤼첸스는 1941년 5월 27일 [[비스마르크 추격전]]에서 전사, 묄더스는 1941년 11월 22일 항공기 추락 사고로 사망, 롬멜은 1944년 10월 14일 히틀러의 압박으로 자살했다. == 퇴역 == 뤼첸스급 구축함 3척중 롬멜은 1998년에, 그리고 나머지 2척은 모두 2003년에 퇴역하였다.[* 퇴역 자체는 뤼첸스가 묄더스보다 7개월 가량 늦었다.] 이후 묄더스는 박물관함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롬멜은 2004년 퇴역 직후 부품수급용으로 해체, 그리고 뤼첸스는 2012년 해체되었다. == 동형함 목록 == ||<-8><:> {{{#FFFFFF '''독일 연방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 1 ||<:> D185 ||<:> FGS[* Federal German Ship. 원래 독일은 1차대전 이후로 선박 접두어를 사용하지 않으나, [[NATO]]에서 국가별 해군 함선을 구별하기 위해 지정한 접두어를 사용.] [[귄터 뤼첸스|뤼첸스]] (Lütjens) ||<:>1966년 3월 1일 ||<:>1967년 8월 11일 ||<:>1969년 3월 22일 ||<:>2003년 12월 18일 ||<:><|7> 퇴역 || ||<:> 2 ||<:> D186 ||<:> FGS [[베르너 묄더스|묄더스]] (Mölders) ||<:>1966년 4월 12일 ||<:>1967년 4월 13일 ||<:>1969년 2월 23일 ||<:>2003년 5월 28일 || ||<:> 3 ||<:> D187 ||<:> FGS [[에르빈 롬멜|롬멜]] (Rommel) ||<:>1967년 8월 22일 ||<:>1969년 2월 1일 ||<:>1970년 5월 2일 ||<:>1998년 9월 30일 || == 매체에서의 등장 == * [[전함소녀]]에서 [[뤼첸스(전함소녀)]]가 등장한다.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독일 연방군/군함]][[분류:196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