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루한스크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러시아의 행정구역, rd1=루간스크 인민공화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2f2f91 {{{+1 '''루한스크주'''}}}[br]'''Луганська область | Луганская область'''}}} || ||<-2> [[파일:루한스크 주기.svg|width=100%]] || [[파일:루한스크 주장.svg|width=55%]] || ||<-2> '''주기''' || '''주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Луганська область,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가 주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다.] || || '''주도''' ||[[루한스크]]^^(명목상)^^ || || '''최대도시''' ||[[루한스크]]^^(명목상)^^[br][[마키이우카#s-2|마키이우카]]^^사실상^^[* 우크라이나가 탈환한 지역 한정] || || '''시간대''' ||UTC+2[br]UTC+3 {{{-2 (서머타임)}}}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2,121,322명^^[[2021년|(2021년)]]^^ || || '''인구 밀도''' ||<-2>79.5명/km²^^[[2021년|(2021년)]]^^ || || '''면적''' ||<-2>26,684km²^^(명목상)^^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지사''' ||<-2> 아르템 리소호르 [* Артем Лисогор ] [include(틀:무소속)] || }}}}}}}}} || || '''설립''' ||<-2> 1938년 6월 3일 || || '''ISO 3166-2''' ||<-2> '''UA-09''' || || '''공식 사이트''' ||<-2> [[http://loga.gov.ua/|[[파일:루한스크 주장.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한스크주'''는 [[우크라이나]]의 주로, 주도는 [[루한스크]]이다. 그러나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주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다. 면적은 26,684㎢에 인구는 2021년 기준 212만 1322명이다. [[돈바스]] 지역에 위치해 있고 우크라이나 최동단에 있으며 [[러시아]]의 [[로스토프주]]와 접해 있다. 우크라이나의 주라고 되어 있지만 주 대부분이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점령 하에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루한스크주에 행정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주도는 [[루한스크]]이지만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루한스크를 점령하고 있기 때문에 2014년부터 2022년 6월 말까지 [[세베로도네츠크]]에 임시 주도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개시된 지 4개월이 지난 2022년 6월 말 임시주도 [[세베로도네츠크]]가 러시아군의 수중에 넘어가고 2022년 7월 3일 [[리시찬스크]]마저 함락됨에 따라 루한스크주 전역이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점령 하에 있게 되었으나, 9월 9일 우크라이나가 동부전선에 대규모 반격을 개시함으로써 주 일부를 탈환했다. 민족적으로는 [[우크라이나인]]이 58%, 그 다음으로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이 차지하지만, 언어는 우크라이나 동부가 그렇듯이 러시아어가 주류이다. 2001년 기준으로 주민의 68.8%가 러시아어 사용자였다. [[도네츠크주]]와 마찬가지로, 루한스크주가 속한 [[돈바스]] 지역은 공업이 발달하여 도시화율 또한 높은 지역이다. == 도시 == [[스타로벨스크]], [[크레민나]], [[스바토베]], [[포파스나]], [[루비즈네]], [[졸로테]], [[빌로호리우카]]를 제외하면 모두 2001년 기준 인구 10만 이상 도시이다. 현재는 [[빌로호리우카]], [[마키이우카]][* 도네츠크주 마키이우카와는 별개의 지역이다. 규모는 도네츠크주 마키이우카가 훨씬 크며, 현재 도네츠크주 마키이우카는 러시아가 통제중이다.] 등 일부 마을들을 제외한 모든 도시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의 실효 통치 지역이다. * # 표시는 2014~2022년 2월 23일까지 [[우크라이나]]의 실효 통치 지역.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루한스크]](Луганськ): 주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흐루스탈니(Хрустальний)[* 2016년부터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의 명칭을 따르고 있으나, [[러시아]]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측은 크라스니 루치(Красний Луч)라는 기존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리시찬스크]](Лисичанськ)#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세베로도네츠크]](Сєвєродонецьк)#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알체우스크]](Алчевськ)[* 옛 이름은 보로실롭스크(Ворошиловськ: 1931~1961), 코무나르스크(Комунарськ, 1961~1991).]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소로키네(Сорокине)[*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을 묘사한 파데예프(А. Фадеев, 1901~1956)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73457&cid=41773&categoryId=44402|젊은 친위대]](Молодая гвардия)>가 이 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2016년부터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의 명칭을 따르고 있으나, [[러시아]]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측은 크라스노돈(Краснодон)라는 기존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도우잔스크(Довжанськ)[* 2016년부터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의 명칭을 따르고 있으나, [[러시아]]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측은 스베르들롭스크(Свердловск)라는 기존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카디이우카(Кадіївка)[* 2016년부터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의 명칭을 따르고 있으나, [[러시아]]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측은 스타하노프(Стаханов)라는 기존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스타로벨스크|스타로빌스크]](Старобільськ)#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스바토베]](Сватове)#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루비즈네]](Рубі́жне)#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크레민나]](Кремінна)#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졸로테]](Золоте)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트로이츠코예|트로이츠케]](Троїцьке)#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포파스나]](Попасна)#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빌로호리우카]](Білогорівка)#[*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때 가장 먼저 탈환했다.][* 하지만 2023년 1월 기준 교외 언덕지역과 동쪽 일부는 [[러시아군]]의 영향 하에 있다.] == 관련 문서 == * [[루한스크]] * [[도네츠크주]] * [[돈바스]]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루한스크, paragraph=2, versio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