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비야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002643 ''' 루카스 오캄포스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UEFA 유로파 리그 2019-20 베스트팀|[[파일:UEFA 유로파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유로파 리그 2019-20 베스트팀|{{{#ff8c00 '''UEL 2019-20'''}}}]]}}}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121117_t179_2022_1_003_000.png|width=100%]]}}} || ||<-2> '''{{{#cd0a33 세비야 FC No. 5[* [[UEFA 유로파 리그|UEFA 클럽 대항전]]에서는 55번] }}}''' || ||<-2> '''{{{#fff,#262626 {{{+1 루카스 오캄포스}}}[br]Lucas Ocampos}}}''' || || {{{#cd0a33 '''본명'''}}} ||루카스 아리엘 오캄포스[br]Lucas Ariel Ocampos || ||<|2> {{{#cd0a33 '''생년월일'''}}} ||[[1994년]] [[7월 11일]] ([age(1994-07-11)]세) || ||{{{-1 [[부에노스 아이레스|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퀼메스}}} || || {{{#cd0a33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 {{{#cd0a33 '''신체'''}}} ||[[키(신체)|키]] 187cm / [[체중]] 84kg || || {{{#cd0a33 '''포지션'''}}} ||[[윙어]] || || {{{#cd0a33 '''주발'''}}} ||오른발 (양발) || || {{{#cd0a33 '''유스 클럽'''}}} ||퀼메스 아틀레티코 클루브[br][[리버 플레이트]] || || {{{#cd0a33 '''프로 클럽'''}}} ||[[CA 리버 플레이트]] (2011~2012)[br][[AS 모나코 FC]] (2012~2015)[br]→ {{{-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15 / ^^임대^^)}}}[br][[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15~2019)[br]→ {{{-1 [[제노아 CFC]] (2016~2017 / ^^임대^^)}}}[br]→ {{{-1 [[AC 밀란]] (2017 / ^^임대^^)}}}[br]'''[[세비야 FC]] (2019~ )'''[br]→ {{{-1 [[AFC 아약스]] (2022~2023 / ^^임대^^)}}} || || {{{#cd0a33 '''국가대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2성)엠블럼.svg|width=25]]]] 12경기 2골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2019~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 현재 [[세비야 FC]]에서 뛰고 있다. == 클럽 경력 == 2011년 17세의 나이에 아르헨티나의 명문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데뷔하였다. 38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하는 활약으로 2012년 [[FIFA]]가 선정한 주목할 선수 중 한 명으로 뽑히며 유럽 클럽들의 러브콜을 받았다. 2012년 8월 6일, 11M 유로에 [[리그 2]] [[AS 모나코 FC]]로 이적했다.[* 리그 2 역대 최고 이적료를 기록했다.] === [[AS 모나코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campos monaco.webp|width=100%]]}}} || 2012년 8월 31일, [[르아브르 AC]]와의 경기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데뷔했다. 두 번째 경기인 [[쿠프 드 라 리그]] 3라운드 [[발랑시엔 FC]]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했다. 첫 시즌 31경기에 나서 5골 3도움을 기록하며 AS 모나코의 [[리그 1]] 승격을 도왔다. 리그 1으로 복귀한 모나코는 [[라다멜 팔카오]], [[하메스 로드리게스]], [[주앙 무티뉴]] 등을 폭풍 영입하면서 전력을 강화했고 이로 인하여 오캄포스의 입지는 좁아졌다. 2013-14시즌에는 주로 교체 멤버로 뛰었음에도 39경기 7골 5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으로 모나코가 승격한지 한 시즌만에 리그 2위를 차지하는데 일조했다. 2014-15시즌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이 경질되고 [[레오나르두 자르딤]] 감독이 부임하면서 팀내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그런 와중에 [[골든보이]] 수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의 영예는 [[라힘 스털링]]에게로 돌아갔다. 2014년 11월 26일, [[UEFA 챔피언스 리그]] [[바이엘 04 레버쿠젠]] 원정 경기에서 챔피언스 리그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귀중한 원정승을 이끌었으나 이후 2015년 1월까지 단 7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오캄포스는 모나코에 이적을 요청했다. 2015년 2월 3일, 잔여 시즌 동안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임대가 결정되었다. 임대 간 마르세유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고 복귀하였다. 2015년 6월 30일, 7M 유로에 마르세유로 이적했다.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as Ocampos m.jpg|width=100%]]}}} || 이적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마르셀로 비엘사]] 감독이 자진 사퇴하면서 입지가 불안해 졌다. 2015년 8월 23일, [[트루아 AC]]와의 경기에서 시즌 첫 골을 넣었고 이후에도 감독 눈에 들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2015-16시즌 25경기에 나서 4골 1도움만을 기록하는데 그친다. 2016년 6월 29일,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제노아 CFC]]로 임대가 결정되었다. 8월 12일, [[코파 이탈리아]] [[US 레체]]와의 경기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데뷔했다. 제노아에서 17경기 3골을 기록하며 그럭저럭 준수하게 뛰고 있던 찰나 [[왓포드 FC]]로 임대 이적한 [[음바예 니앙]]의 대체자를 구하던 [[AC 밀란]]의 눈에 들어왔고 마르세유를 설득해 오캄포스는 반 시즌만에 제노아에서의 임대 생활을 종료하고 밀란에서 남은 시즌 동안 임대 생활을 하게 되었다. 사실상 니앙의 대체자로 데려왔는데 니앙보다 못하면서 아무런 임팩트도 못 남기고 마르세유로 돌아가게 되었다. 마르세유 복귀 후, 2017년 8월 12일 [[FC 낭트]]와의 경기에서 복귀 첫 골을 시작으로 상반기 동안에만 15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넣으며 부활을 알렸다. 2018년 2월 7일, 자신의 프로 커리어 첫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UEFA 유로파 리그]]에서도 주전으로 13경기 출전하여 4골 1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이며 마르세유의 준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 이러한 활약 속에 2019년 7월 3일, [[세비야 FC]]로 이적했다. === [[세비야 FC]] === ==== 2019-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villa Ocampos.webp|width=100%]]}}} || 세비야와 6년 계약을 맺은 오캄포스는 2019년 8월 18일 라리가 1라운드 [[RCD 에스파뇰]]과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데뷔했다. 2019년 9월 26일 라리가 6라운드 [[SD 에이바르]]전에서 1골 1도움을 기록, 데뷔골을 넣음과 동시에 팀의 3:2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에도 2~3경기당 1골은 넣는 득점 페이스를 보이고 있다. 24라운드 [[RCD 에스파뇰]]전부터 28라운드 [[레알 베티스]]전까지 5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2019-20시즌 라리가에서만 14골을 넣어 득점 순위 6위에 랭크되었다. UEFA 유로파 리그 8강 [[울버햄튼 원더러스]]전에서 경기 종료를 몇 분 남기지 않고 결승골을 넣어 세비야의 4강을 이끄는 등 세비야가 유로파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는데 큰 공헌을 하며 유로파 리그 시즌의 스쿼드에 선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campos europa1.webp|width=100%]]}}} || '''2019-20시즌 44경기(선발 41경기) 17골 5도움''' 라리가: 33경기(31) 14골 3도움 UEFA 유로파 리그: 7경기 1골 1도움 코파 델 레이: 4경기(3) 2골 1도움 ==== 2020-21 시즌 ==== 2020 [[UEFA 슈퍼컵]]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PK골을 기록했지만 팀은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바이에른 뮌헨과 링크가 나고있다. 2020-21 시즌 [[라리가]] 8라운드 [[아틀레틱 빌바오]]전에서 9분 크로스로 [[유세프 엔네시리]]의 선제골을 도왔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차전 [[FC 크라스노다르]]와의 경기에서 양팀 최다 드리블 성공(9회)과 볼 경합 성공 1위(15회 성공)를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쳤다. 라리가 9R 오사수나전에서는 59분 본인이 얻어낸 PK를 중앙으로 강하게 차 넣어 결승골을 기록했다. 라리가 10R 셀타비고전에서 드리블 8회 성공, 볼 경합 성공 12회를 기록하면서 4:2 승리에 기여했다. 라리가 11R 우에스카전에서 83분 상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수비 2명 사이로 드리블링 후 컷백을 연결해 엔네시리의 결승골을 도왔다. 이후 리그와 챔스에서 좋지 않은 폼을 보이고 있다. 라리가 14R [[레알 바야돌리드 CF]]전에서 상대의 핸들링 반칙으로 얻은 PK를 우측 하단 구석으로 침착하게 차 넣으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라리가 15R [[발렌시아 CF]]전에서 양팀 선수 통틀어 최다인 무려 14회의 볼 경합에서 승리했고, 4회의 드리블 성공과 3회의 기회 창출을 기록하며 세비야가 70%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바탕으로 1:0 승리를 챙기는데 크게 기여했다. 라리가 16R [[비야레알 CF]]전에서 7분 [[호안 호르단]]이 얻어낸 PK를 오른발로 처리해 결승골을 기록했고 기회 창출 3회와 볼 경합 성공 13회, 드리블 3회 성공을 기록하며 2:0 완승을 이끌었다. 최근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라리가 18R [[레알 소시에다드]]전에서 46분 우측면에서 수비 1명을 스텝오버로 따돌리고 [[유세프 엔네시리]]에게 컷백을 연결하며 엔네시리의 해트트릭을 도왔다. [[코파 델 레이]] 32강 [[CD 레가네스]]전에서 연장 전반 6분에 결승골을 터뜨리며 팀을 16강으로 이끌었다. 라리가 21R [[SD 에이바르]]전에서 28분 엔네시리가 얻어낸 [[페널티 킥]] 키커로 나서 결승골을 성공시켰다. 이어서 치러진 코파 델 레이 8강 알메이라전에서 67분 [[수소 페르난데스]]의 크로스를 헤더로 마무리하며 결승골을 터뜨렸다. 팀을 준결승으로 이끈 활약을 인정 받아 경기 종료 후 경기의 King Of The Match에 선정되었다. 라리가 22R [[헤타페 CF]]전에서 52분 [[다코남 제네]]에게 발을 밟히면서 발목이 꺾여 57분 교체 아웃되었다. 경기 종료 후 정밀 검진 결과, 발목 염좌 부상으로 3~6주 가량 결장할 예정이다. 2021년 3월 4일에 치러진 코파 델 레이 준결승 2차전 [[FC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 62분 [[올리베르 토레스]]와 교체되어 출전하면서 부상 후 약 1개월여 만에 그라운드에 복귀했다. 73분에는 PK 키커로 나섰으나 [[마르크안드레 테어슈테겐]]의 선방에 막혀버리면서 팀이 준결승에서 탈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원정 경기에 왼쪽 윙어로 선발 출전했다. 위협적인 드리블 돌파를 수 차례 성공시키는 등 반대쪽의 전반전 내내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반코트 게임을 이끌며 좋은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팀은 도르트문트의 버스를 끝내 뚫지 못하며 2대 2 무승부에 그쳐 16강에서 탈락했다. 라리가 29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전에서 [[이반 라키티치]]가 경기 시작 8분 만에 얻어낸 PK 키커로 나섰지만... 지난 코파 델 레이 바르셀로나전과 마찬가지로 방향을 읽히면서 [[얀 오블락]]의 선방에 막혀 실축했다. 결국 이후 경기부터 PK 키커 자리를 라키티치에게 넘겨줬다... 32R [[그라나다 CF]]전에서 53분 [[알레한드로 고메스]]의 컷백을 달려들면서 강한 슈팅으로 마무리하며 결승골을 넣었다. 지난 시즌 51%였던 슈팅 정확도가 39%까지 떨어졌고, 빅찬스 미스도 3개 더 기록하면서 지난 시즌에 비해 현저히 적은 득점을 기록했다. 팬들은 우측에서 뛰는 [[수소 페르난데스]]로 인해 좌측에서 뛰는 빈도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득점력을 제외한 경기력 자체는 지난 시즌과 비교해 떨어진다고 볼 수 없는 준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2020-21시즌 46경기(선발 37경기) 8골 4도움''' 라리가: 34경기(30) 5골 4도움 챔피언스 리그: 7경기(5) - 코파 델 레이: 4경기(1) 2골 UEFA 슈퍼컵: 1경기 1골 ==== 2021-22 시즌 ==== 리그 초반 고전을 면치 못하며 부진을 겪고 있다. [[라리가]] 12R [[CA 오사수나]]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세비야 통산 1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했다. 이를 자축하듯 60분에 쐐기골까지 터뜨리며 시즌 첫 골을 신고했다. 지난 4월 이후 약 6개월 만에 터진 득점이기에 더욱 뜻깊은 득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사수나전을 기점으로 부활하며 라리가, [[UEFA 챔피언스 리그]], [[코파 델 레이]] 등 무대를 가리지 않고 약 3개월 동안 14경기에서 7골 4도움을 폭격했다. 이후 대표팀 차출과 부상으로 2주 가량 결장했다. [[UEFA 유로파 리그]] 32강 1차전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터뜨려 팀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의 득점으로 지난 시즌 공격 포인트(8골 4도움)와 타이를 이뤘다. 라리가 25R [[RCD 에스파뇰]]전에서 받은 옐로 카드로 경고 5회 누적이 발동되어 26R [[레알 베티스]]전에는 결장했다. UEFA 유로파 리그 16강 1차전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옐로 카드를 받았고 경고 누적으로 2차전에는 결장했다. 이후 다시 부진의 늪에 빠지며 침체기를 겪고 있다. 라리가 31R [[그라나다 CF]]전에서 약 2개월여 만에 득점포를 재가동했다. 팀은 4:1로 승리하여 다시 리그 2위 자리를 탈환했다. 라리가 33R [[레반테 UD]]전에서 시즌 최고의 활약을 펼치며 2도움을 기록, 팀의 3:2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35R [[비야레알 CF]]전을 앞두고 가벼운 부상을 입어 결장할 예정이다. 오캄포스의 공백은 코로나가 대체한다. 바로 다음 경기인 36R [[RCD 마요르카]]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면서 복귀전을 치렀다. 이번 시즌에는 엄청난 기복을 보여주며 에이스 자리를 [[파푸 고메스]]에게 내줬다. 한때 5000만 유로 이상까지 치솟았던 몸값도 3000만 유로까지 떨어졌다. '''2021-22시즌 42경기(선발 33경기) 9골 6도움''' 라리가: 30경기(23) 6골 4도움 챔피언스 리그: 6경기(5) 1골 1도움 유로파 리그: 3경기 1골 코파 델 레이: 3경기(2) 1골 1도움 ==== 2022-23 시즌 ==== 2022년 8월 안토니의 대체자로 아약스와 링크되었다. 2022년 8월 30일, [[파브리지오 로마노]], 마이크 베르바이가 [[안토니(2000)|안토니]]의 대체자를 찾는 [[AFC 아약스]]행이 가까워졌다고 보도하였다. 추정 이적료는 €20m이다. 아약스로 임대를 떠난지 약 5개월여 만에 조기 복귀했으며 라리가 18R [[카디스 CF]]전에서 74분 교체 출전하면서 복귀전을 치렀다. [[코파 델 레이]] 8강 [[CA 오사수나]]전에서 최전방 원톱으로 선발 출전했으나 완벽하게 지워졌고 62분 교체 아웃되었다. [[UEFA 유로파 리그]] 32강 [[PSV 에인트호번]]전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출전하였고 투입된지 4분 만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올리베르 토레스]]의 크로스를 받은 뒤 터닝 슈팅을 때려 스코어를 2:0으로 만드는 추가골을 넣었다. 그로부터 5분 뒤에는 페널티 박스 안에서 [[네마냐 구델]]에게 백힐 컷백을 연결하며 스코어를 3:0으로 만드는 쐐기골까지 어시스트했다. 라리가 27R [[카디스 CF]]전에서는 51분, 카디스의 다비드 힐 골키퍼의 선방으로 흘러나온 공을 오른발 슈팅으로 마무리하며 결승골을 기록했다. 득점 후 그동안 마음 고생을 한 가족들과 지인들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골 세레머니를 했고 경기 종료 후 팀의 승리를 이끈 공을 인정받아 MOM에 선정되었다. 유로파 리그 8강 1차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전에서 양 팀 통틀어 가장 많은 드리블 성공 5회, 태클 성공 5회, 볼 경합 성공 '''16회'''를 기록했고, 1:2로 뒤지고 있던 90+3분에는 [[유세프 엔네시리]]의 머리에 떨어지는 크로스로 [[해리 매과이어]]의 자책골을 유도해내는데 관여하며 2:2 무승부에 기여했다. 유로파 리그 8강 2차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에서는 경기 시작 8분 만에 [[다비드 데헤아]] 골키퍼에게 전방 압박을 가했고 데헤아의 실책을 유도해내면서 결승골에 관여했다. 40분에는 추가골까지 넣는가 싶었지만 VAR 판독 결과 [[마르코스 아쿠냐]]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는 바람에 득점 취소되었다. 라리가 31R [[아틀레틱 클루브]]전에서는 경기 종료 직전인 90+2분, 자신이 얻어낸 PK를 성공시키며 결승골을 기록, 팀에게 천금같은 승점 3점을 안겼다. 라리가 33R [[RCD 에스파뇰]]전에서는 33분 교체로 출전하였고, 1:2로 뒤지고 있던 69분, [[파파 게예]]가 얻어낸 PK를 성공시켜 동점골을 기록했다. 85분에는 크로스의 궤적을 살짝 돌려놓는 헤더를 시도했지만 크로스바를 맞혔다. 경기는 게예의 결승골로 3:2 승리했다. 유로파 리그 준결승 [[유벤투스 FC]]전을 대비하여 리그 34R [[레알 바야돌리드 CF]]전은 휴식을 가졌다. 유로파 리그 준결승 1차전 유벤투스전에서 26분, 우측면에서 엔네시리에게 컷백을 연결하며 선제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리고 8분 뒤인 34분, 가벼운 부상을 입어 교체 아웃되었다. 유로파 리그 결승 [[AS 로마]]전에서 연장전까지 120분 풀타임을 소화했고 승부차기에서 첫 번째 키커로 나서 로마의 [[후이 파트리시우]] 골키퍼를 상대로 방향을 완벽하게 속여내며 PK를 성공시켰다. 이후 [[야신 부누]]의 엄청난 선방과 [[에릭 라멜라]], [[이반 라키티치]], [[곤살로 몬티엘]]의 연속된 PK 성공으로 개인 통산 2번째이자 세비야 통산 7번째 유로파 우승을 일궈냈다. 지난 시즌의 부진이 이번 시즌까지 이어지면서 [[AFC 아약스]]로 임대를 떠났지만 아약스에서도 자리잡지 못하면서 조기에 복귀했다. 임대 복귀한 직후 많은 이들은 오캄포스를 불신의 눈초리로 바라봤지만 이내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감독의 지휘 아래에서 부활에 성공하면서 강등의 위기에 빠졌던 팀과 함께 반등했다. 2023년 6월, [[풀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022-23시즌 29경기(선발 17경기) 5골 2도움'''[* 아약스에서 뛴 6경기는 제외한 기록] 라리가: 19경기(11) 4골 유로파 리그: 9경기(5) 1골 2도움 코파 델 레이: 1경기 - ==== [[AFC 아약스]] (임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루카스 오캄포스 아약스 계약.jpg|width=100%]]}}} || 현지 시각 2022년 8월 31일, [[AFC 아약스]]로 임대 이적했다. 임대료는 €3M이며 €25M 가량의 구매 옵션 포함. 등번호는 이전에 [[안토니(2000)|안토니]]가 사용했던 11번을 이어 받았다. 임대 이적으로 결정이 된 이유 또한 아약스 구단 이적위원회가 영구 이적 대신 선임대 후 선택적 이적만 가능하다는 결정을 내려서였다고 한다. ===== [[AFC 아약스/2022-23 시즌|2022-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as Ocampos Ajax.jpg|width=100%]]}}} || [[에레디비시]] 5R [[SC 캄뷔르]]전에서 경기 종료 10분을 남기고 교체로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8R [[고 어헤드 이글스]]전에서 첫 선발 출전했으나 좋지 못한 퍼포먼스를 보였고 63분 [[스티븐 베르흐베인]]과 교체되었다. 그 후로 벤치만 달구고 있다. 2023년 1월 17일 세비야로 조기 복귀한다는 오피셜이 떴다. 5개월 가량 이른 시기에 복귀하는 만큼 세비야측에서 임대료 중 일부인 €1M은 포기한다고 한다. 아약스에서의 기록은 6경기[* 리그 4경기(100분 출전) + 챔스 2경기(14분 출전)] 0골 0도움. == 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campos argentina.jpg|width=100%]]}}} || 세비야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10월 친선전을 앞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의 부름을 받았다. 2019년 10월 9일 독일과의 친선전에서 하프타임 [[앙헬 코레아]]와 교체 투입되어 데뷔하였으며 데뷔전에서 데뷔골을 터뜨렸다. 2019년 10월 13일, 에콰도르전에서 첫 선발 출전하였고 두 경기 연속골을 기록했다.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리오넬 메시]]와 공격진을 형성하면서 주전으로 기용되었으나 잔부상과 폼 저하로 인해 [[2021 코파 아메리카]]에 소집되지 못하였다. 그래도 그와 비슷한 역할을 맡은 [[니콜라스 곤잘레스]]가 수비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큰 공백이 나지는 않았다. 결국 폼을 끌어올리지 못하면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 명단에 들지 못했고, 조국이 36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의 순간을 함께 하지 못했다. 2022-23시즌 후반기 들어서 다시 부활하면서 1년 3개월 만에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반년만 일찍 부활하지..~~ == 플레이 스타일 == 187cm, 84kg의 큰 체구의 소유자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섬세하게 볼을 다루는 테크니션 유형의 윙어. 정지된 상황에서 발바닥으로 볼을 다루며 상대 수비수를 속이거나, 교묘하게 방향을 트는 독특한 기술을 보여준다. 돋보적으로 빠른 주력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괜찮은 순간 속도와 테크닉을 더해 상대를 벗겨낸다. 주발이 오른발임에도 양발을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양발을 잘 다루다 보니, 좌우 측면을 모두 소화할 수 있고 드리블 패턴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으며, 보는 이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장점들이 드리블러로서의 오캄포스를 돋보이게 만든다. 문전 앞에서의 침착함이 뛰어나 결정력도 좋은 편이다. 2019-20 시즌 세비야 이적 후 제대로 포텐이 터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단점으로 지적받던 슈팅 및 크로스의 정확도 기복이 크게 개선되면서 세비야의 에이스이자 주 득점원으로 자리 잡았다. 심지어 아크로바틱한 발리슛이나 다이빙 헤딩슛으로 득점을 빵빵 터뜨리고 있다. 그 덕택에 아르헨티나 대표팀에서도 주전급으로 중용받기 시작했다. 체력이나 활동량이 디 마리아에 가까운 수준인 듯 보이고, 수비 공헌도 역시 스리백의 윙백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높은 편이다. 팬들은 [[막시 로드리게스]] - [[앙헬 디 마리아]] - [[루카스 오캄포스]]를 계보로 엮기도 한다. 다만 순수한 윙어로서는 왼쪽 측면보다 오른쪽 측면에서 위력적이라는 견해가 많다. 왼쪽에서 뛸 때는 오른발잡이인데도 의외로 중앙으로 치고 들어오면서 슈팅하는 움직임이 많지 않으며, 플레이메이킹에 주력하거나 스트라이커 뒤에 숨어 있다가 우측에서 올라오는 크로스를 받아먹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편이다. 반면 오른쪽에서 뛸 때는 [[헤수스 나바스]]와 영혼의 콤비 플레이를 선보일 뿐 아니라, 측면에서의 개인 파괴력이 엄청난 모습을 보여준다. 크로스도 꽤 날카롭고, 문전으로 치고 들어오면서 시도하는 슈팅도 도리어 오른쪽 측면 사각지대에서 시도할 때 더욱 위력적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CA 리버 플레이트]] (2011~2012) *[[프리메라 B 나시오날]]: 2011-2012 *[[AS 모나코 FC]] (2012~2015) *[[리그 2]]: 2012-2013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15~2019) *[[UEFA 유로파 리그]] 준우승: 2017-2018 *[[세비야 FC]] (2019~) *[[UEFA 유로파 리그]]: 2019-2020, 2022-23 *[[UEFA 슈퍼컵]] 준우승: 2019-2020 === 개인 수상 === * [[UEFA 유로파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9-2020 == [[WAGs]] == [[파일:루카스 오캄포스 아내 1.png]] [[파일:루카스 오캄포스 아내 2.png]] [[파일:루카스 오캄포스 아내 3.png]] 2017년에 결혼해서 아내가 있다. 아내는 1991년생 모델 마주 바르베이토 (Majooh Barbeito) 이며 보카 주니어스 서포터라고 한다. 슬하에 딸 둘이 있는데 SNS를 보면 얼굴을 가린다. == 기타 == * 2022년 7월 세비야 FC의 프리시즌을 위해 방한하여 좋은 팬서비스를 보여주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세비야 FC)] [각주]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킬메스 출신 인물]][[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CA 리버 플레이트/은퇴, 이적]][[분류:AS 모나코/은퇴, 이적]][[분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은퇴, 이적]][[분류:제노아 CFC/은퇴, 이적]][[분류:AC 밀란/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은퇴, 이적]][[분류:세비야 FC/현역]][[분류:2011 FIFA U-17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골키퍼 출장 기록이 있는 필드 플레이어]][[분류:공격수]][[분류:윙어]][[분류:라이트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