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루이지 맨션(동음이의어))]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루이지 맨션 시리즈)] ||<-3> '''{{{#white 루이지 맨션}}}'''[br]'''{{{#white Luigi's Mansion}}}''' || ||<-3> [[파일:165d62013c7242da.jpg|width=300]] || || '''{{{#white 제작}}}''' ||<-2> [[GREZZO|[[파일:external/www.grezzo.co.jp/HP_top_LOGO_01.png|width=80]]]] || || '''{{{#white 유통}}}''' ||<-2>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 {{{#white 플랫폼}}}''' ||<-2>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width=100]]]][* [[New 닌텐도 3DS]] 대응] || || '''{{{#white 장르}}}''' ||<-2> 액션 어드벤처, 호러 || || '''{{{#white 인원}}}''' ||<-2> 1명 (통신 플레이 시 2명) || || '''{{{#white 발매}}}'''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8년]] [[10월 12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2]] [[2018년]] [[10월 19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2018년]] [[10월 20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8년]] [[11월 8일]] || || '''{{{#white 판매}}}''' ||<-2> '''[[https://www.vgchartz.com/game/221279/luigis-mansion/|47만 장]]''' || || '''{{{#white 홈페이지}}}''' ||<-2> '''[[https://www.nintendo.co.kr/software/3ds/detail/bgnk.php|한국]]''' [[https://www.nintendo.co.jp/3ds/bgnj/pc/index.html|일본]] [[https://www.nintendo.com/store/products/luigis-mansion-3ds/|북미]]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JiLz4jM8YWE)]||[youtube(KSIp5Jckg0M)] || || 소개 영상 || 2018.9.14 닌텐도 다이렉트 발표 영상 || [[닌텐도 게임큐브]]로 출시된 [[루이지 맨션 시리즈]]의 첫 작품인 [[루이지 맨션]]이 닌텐도 3DS로 17년만에 리메이크 된 작품. == 시스템 == === 원작과의 차이점 === * 3D 영상 표시. 더불어 3D 작화도 깔끔해졌다. * 화면 비율이 4:3에서 5:3으로 변경되어 더 넓어졌다. * 색감이 더 화사해진 대신 해상도가 400×240으로 낮아졌다. * 게임 보이 화면이 하단 스크린으로 이동했다. 유령 감지등이나 남아있는 HP를 나타내는 하트, 속성 게이지는 그대로 상단 화면에 표시된다. * 하단 화면에서 지도가 상시 표시된다. * '구이지'라는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여 2인 협력 플레이가 가능하다. 이 구이지는 나중에 [[루이지 맨션 3]] 스토리에서 재등장한다. * [[루이지 맨션 2|다크문]]에 나왔던 황금 뼈다귀가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HP가 0이되면 [[유랑아지]]가 나타나서 부활시켜준다. * 부끄부끄를 잡을 때 부끄부끄의 체력이 감소한 상태에서 완전히 잡지 않고 저장하면 부끄부끄의 체력이 저장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저장하고 껐다 키면 부끄부끄의 체력이 다시 완전히 회복되어 나와서 유저들의 엄청난 원성을 샀다.] * 아라따박사의 연구소 카메라 시점과 디자인이 살짝 바뀌었다. * 유령의 그림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개편되었다. * [[GREZZO|같은 개발사]]의 [[에버 오아시스]]에서 채용된 호평 받았던 업적이 추가되었다. * 유령의 그림을 통해 다시 배틀할 수 있고, 그 기록에 따라서 액자틀을 추가로 해금시킬 수 있다.[* 맨션에서 '금액자틀'을 획득하지 못해도 재배틀에서 조건을 충족시키면 획득 가능] * '''히든 맨션''' 모드 (PAL 버전 기준) * 유령의 체력이 빨리 떨어지지 않게 되었다. * 모든 유령들의 체력이 50% 증가. 늘어난 체력에 비례해서 초상화 유령들은 진주를 더 많이 떨어뜨린다. * 어두운 방에서 강력한 유령이 더 자주 등장한다. * 하트(HP 회복 아이템)가 독버섯으로 대체되어서 하트를 오직 2마리 이상의 유령을 포획했을 때만 얻을 수 있다. * 리치 야푸의 등장위치가 달라졌다. * 몇몇 어두운 방에서 쥐 미미, 박쥐 베티 등 작은 적들이 등장하여 유령 포획 난이도를 높인다. * 마리오의 별을 제외한 마리오의 물품들 위치가 변경되었다. * 액자 그림이 통째로 바뀌었다. 어레인지하기도 했다. * 금 액자틀보다 높은 등급의 백금 액자틀이 추가되었다. * S랭크가 추가되었다.[* 1억 3000만 골드 이상이어야 해당 조건을 충족시키는 게 가능하다.] ==== 필드 ==== * 전체적으로 색감이 화사해졌으며 그래픽이 좀 더 업그레이드된 대신 그림자 표현이 좀 옅어졌다. ==== 조작 ==== * 3DS로 리메이크 하면서 우측 스틱이 없어서 그런지 '조준 동작'사용시 자이로 기능을 쓰도록 변경. * 3DS는 확장 슬라이드 패드 이용시 우측 스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New 3DS에서는 C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ZL/ZR버튼도 이용 가능하다. * B버튼을 이용해서 일시적으로 조준동작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 플래시 설정에서 [[루이지 맨션 다크 문|다크 문]]의 충전형 스트로브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때문에 루이지 맨션 게임큐브판 원작을 경험해보지 않은 대부분의 유저들은 루이지 맨션 다크문을 먼저 경험한 경우가 많아 충전형 스트로브 형식을 사용하는데, 사실 반응 속도에서 원작의 플래시가 훨씬 빨라 리치야푸 등등 반응을 빠르게 해야하는 유령을 상대할 때 훨씬 유리하다.] ==== 협력 플레이 ==== 로컬 통신을 이용한 멀티 플레이를 지원한다. 2P는 '구이지'라는 이름의 플레이어[* [[루이지 맨션 다크 문|미래]]의 아라따박사가 과거(현재)의 아라따박사와 루이지에게 보내지는 개체로 설정되었다.]로 전신이 초록색이고 HP가 절반(50)인 상태로 참여하고 HP가 0이되더라도 곧 부활한다. * '''둘이서 저택''' 소프트웨어 2개가 필요하며 스토리 모드를 함께 진행하는 모드이다. 방 이동시 1P에 우선권이 주어져서 2P의 경우 슬라임 형태로 1P의 위치로 강제 텔레포트 된다. * '''보스 재배틀''' 다운로드 플레이도 지원하며 보스 재배틀을 2명이서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 기타 변경점 ==== * 유령의 그림을 통해서 이미 포획한 유령과 다시 배틀할 수 있는 '''보스 재배틀'''이라는 모드가 추가되었다. * 이전 게임큐브 판에서도 대화 상자를 통해 마리오가 말을 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전개는 그대로이므로 본작은 마리오가 대화 상자로 이야기하는 두번째 게임이 된다. 육성은 물론이거니와 대화 상자로도 이야기하는 모습이 많이 나오는 루이지와는 여러모로 대조되는 모습이다. == 아미보 == 마리오, 루이지, 부끄부끄, 키노피오에 대응한다. 보스 재배틀 모드 플레이 중에는 이용할 수 없다. * 마리오: 독버섯이 슈퍼버섯으로 변해서 체력을 조금 회복시킨다.[* 독버섯은 데미지는 없는 대신 루이지가 작아져서 유령싹싹을 쓸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 루이지: 체력이 0이 되면 1번만 부활한다.[* 다크 문에서 등장했던 유랑아지가 다크 문과 같은 방식으로 구해준다.] 숨어있는 리치 야푸[* 돈을 많이 떨어뜨리는 파란색 유령]의 위치가 표시된다. * 부끄부끄: 잡다가 놓친 부끄부끄의 위치를 최대 3마리까지 맵에 표시한다. * 키노피오: 말을 걸면 체력을 회복시켜준다.[* 원래는 저장만 하고 체력회복은 되지 않는다.] == 평가 == ||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50]]]] || [[오픈크리틱|[[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width=150]]]] || || '''[[https://www.metacritic.com/game/3ds/luigis-mansion|{{{#ffffff 스코어 74/100}}}]]''' || '''[[http://opencritic.com/game/6737/luigis-mansion|{{{#ffffff 스코어 75/100[br]STRONG}}}]]''' || 원작(78점) 보다 평가가 다소 안좋아졌다. '리메이크가 아닌 포팅 수준이고 원작을 이미 즐겨본 유저는 다시 할 동기부여 요소가 없다'는 요약 평이 많으며, 주로 그래픽 다운그레이드[* 매우 다양한 모델링 개선이 있음에도 이런 평이 나온 이유는 원작 출시 시절엔 '역동적인 실시간 그림자 표현'이 유저들에게 굉장한 인상을 남겨주었다. 하지만 해당 리메이크 판에는 그 표현이 거의 삭제되었기 때문. 정확히는 삭제된게 아니라 옅어진 것이지만 자세히 봐야 보일 정도로밖에 안보여서 이러한 평이 나온 것.]나 조작감을 문제점으로 꼽는다.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무쥬라의 가면을 3DS로 잘 이식해냈던 GREZZO가 담당했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왔다.[* 정작 젤다의 전설 2작품은 N64 시절 플레이하던 유저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이것은 젤다와 마리오의 그래픽 스타일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도 큰데, 마리오 시리즈는 툰 렌더링이라 리메이크를 해도 크게 그래픽이 나아지기 어렵지만, 젤다의 전설 시리즈는 (바람의 지휘봉, 몽환의 모래시계, 대지의 기적 등과 같은 툰 시리즈를 제외하면) 리얼 젤다를 추구하는 작품은 그래픽이 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승리자는 바로 게임큐브가 보편화되지 않아 한글판이 없던 한국같은 나라들 뿐. 그러나 라이트 유저들이라면 몰라도 코어팬 유저들에게서는 좋은 반응이 나오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부끄부끄 잡기같은 부분에서의 난이도 조절과 약간의 조작감 완화이다. 또한 본 작품이 사실 일반적인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 전세계에 약 30만장 정도로 극소량만 생산한 기념성 한정판 작품에 가깝다는 점을 생각하면 용도에 비해 나름 괜찮게 나온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초기에는 위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메타크리틱 '''60점대 후반'''으로 굉장히 낮은 점수로 시작했지만 원작의 양호한 게임성 덕분인지 현재 74점으로 조금씩 회복중이다. 사실 리메이크작이 보통 원작에 비해 점수가 4~5점 가까이 까이는 것을 감안하면 점수 자체는 일반적인 리메이크작에 가깝다. 마리오 바스켓볼 3 on 3 이후 12년만의 GREZZO가 참여한 마리오 관련작이기도 하다. 당시는 스퀘어 에닉스 소속. == 기타 == * 2021년 이후로 한국 뿐만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오프라인 패키지형 게임을 구입하기 굉장히 힘들어진 초레어급 희귀게임이 되었다. 온라인 오프라인을 다 통틀어서 매물 자체가 온갖 사이트와 판매점을 다 뒤져도 안나오는 수준인데다가 그나마 있는 중고품이나 신품 가격 마저도 네이버쇼핑 기준 신품 최저가가 17만원이 넘으며[* 이마저도 거의 다 사라졌다.]중고가도 8만~9만 원은 기본[* 이 역시 마찬가지로 거의 멸종이나 다름없다. 다만 정말 가끔가다가 이 게임의 가치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만원~2만원 정도에 올리는 경우가 있긴 했다.]에 알칩 마저도 3만원은 거뜬히 넘어간다. 이는 당시 닌텐도쪽이 스위치로 넘어가면서 전세계적으로 물량이 47만장밖에 안팔렸으며 이 때문에 생산량도 굉장히 적었기 때문이다. [[분류:루이지 맨션 시리즈]][[분류:2018년 닌텐도 3DS 게임]][[분류:닌텐도 3DS 확장 슬라이드 패드/New 닌텐도 3DS C 스틱 대응 게임]][[분류:마리오 시리즈/리메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