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을 일컫는 말. Rumiko + Comic의 합성어이다. Rumic, るーみっく. 단편집인 루믹 월드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된 단어. == 상세 == 1978년~1981년에는 작가 이름의 영문 표기가 Lumiko Takahashi였던 것에 따라 Lumic으로 표기했지만 차차 Rumic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타카하시 루미코 여사의 별칭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루믹 여사), 그런데 어째 [[한국]]에서만 이렇게 부르는 것 같다. 디시인사이드에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rumic|루믹 마이너 갤러리]]가 있다. ||<-2> [[파일:attachment/UYmain_1.jpg|width=100%]] ||<-2> [[파일:메종일각.png|width=100%]] ||<-2> [[파일:k642636271_1.jpg|width=100%]] || ||<-2> [[시끌별 녀석들]] ||<-2> [[메종일각]] ||<-2> [[란마 1/2]] || ||<-6> || ||<-2> [[파일:k932738484_1.jpg|width=100%]] ||<-2> [[파일:external/www.nhk.or.jp/KR2_mv.jpg|width=100%]] ||<-2> [[파일:MAO_Korean.jpg|width=100%]] || ||<-2> [[이누야샤]] ||<-2> [[경계의 린네]] ||<-2> [[MAO]] || 보통은 5대 장편작인 [[시끌별 녀석들]], [[메종일각]], [[란마 1/2]], [[이누야샤]], [[경계의 린네]]를 한데 묶어 말할 때 쓰이나, 때에 따라서는 [[인어 시리즈]], [[1파운드의 복음]], [[타카하시 루미코 극장]] 같은 중단편들도 포함한 루미코의 작품군 전체를 묶어 이야기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연재된 타카하시 루미코의 장편의 첫 글자를 배열하면 RUMIK이 된다. 독자들은 이를 작가가 의도한 것이라 생각했고 따라서 다음 작은 '''O'''로 시작해서 작가 자신의 이름인 RUMIKO를 맞출 것이라고 생각했었으나 [[https://nlab.itmedia.co.jp/nl/articles/1904/17/news044.html|루미코의 최신 인터뷰에 따르면 그저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후 신작제목은 [[MAO]]로 결정됨으로써 십수년을 이어진 떡밥은 종결되었다. R - 란마 1/2 U - 시끌별 녀석들 M - 메종일각 I - 이누야샤 K - 경계의 RINNE == 기타 == 타카하시 루미코 여사의 만화, 루믹 판매 2억부 돌파 기념으로 [[소년 선데이]] 2017년 17호에 주간 소년 선데이에서 연재하던 만화가들이 축하 이미지를 그려 주고, 메세지를 남겨 주었다. [[https://blog.naver.com/sunlin77/222920899588|◇]] [[분류:타카하시 루미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