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회학 용어 == Rumor / Rumour 풍문. 민중 속에서 발생해 전달되는 [[유언비어|근거 없는 소문]]으로 함부로 믿거나 만들면 인간 관계에 해를 입힐 수도 있지만 많이들 믿고 잘 만든다. 특히 악성 루머의 경우, 근거 없이 남을 비방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등 건전하지 않은 내용의 뜬소문을 퍼뜨리는 것을 뜻한다. 악성 루머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 번 퍼지고 빨리 악성 루머의 싹을 뿌리뽑지 않을 경우 일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는 것.''' 특히 연예계에서는 자주 일어나는 편. 특히 내부 자료 유출에 기반한 루머의 경우, 근거 자체는 있지만 설령 유출 시점에서는 100% 사실이 맞는다 하더라도 그게 '''공식 발표'''가 아닌 이상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두는 게 좋다. [[윈도우 10]]의 사례로 RTM 확정 정황이 뻔히 유출되었음에도 철회된 [[RS4|17133.1]] 빌드나, [[20H2]]는 다시 기능 업데이트가 될 것이라는 근거로 지목된 후 조용히 철회된 19536 빌드가 그 좋은 사례이다.[* 사실 '''공식 발표'''라도 아직 '''예정'''인 이상 회사 사정에 의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컴퓨터 부품의 경우 한때 공개 로드맵상에서 사라져서 취소 루머 돌만큼 돈 후에 다시 나타난 [[NVIDIA]] [[틀:NVIDIA/Turing|튜링 아키텍처]]나 [[AMD]] [[AMD RYZEN Threadripper#s-2.3|쓰레드리퍼 3세대]][[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267669|#]]가 그 좋은 사례이다. 튜링의 경우 사라지기 전 로드맵에서 명시한 [[HMC]] 3D 스택 메모리 사용을 포기했다. 즉, 원래 로드맵상의 튜링은 실제로 취소된 게 맞는다는 거지만, 이런 세세한 사정은 알기도 힘들고 아예 공개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므로, 그러려니 할 수밖에 없다.] 애초에 누가봐도 뻔한 비밀인데 공식적으로는 '아님'이라고 하는 경우 내부 사정에 의해 얼마든지 '''예고없이''' 바뀔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 오리발을 미리 내밀어둔 거다. === 관련 문서 === * [[식품 관련 루머]] * [[유언비어]] * [[카더라 통신]] == 독일의 물리학자 == Otto Richard Lummer 1860~1925 예나 출생. 측광학 및 열복사의 연구에 힘을 기울였고 정밀기기도 제작했다. 정밀측광에 사용되는 루머브로둔측광기(1889), 분해능력이 뛰어난 루머게르케간섭계(1902)등의 많은 발명품을 남겼다. 실험연구로는 F.쿠를바움과 함께 시행한 고온물체의 온도측정(1892)이 있다. == [[플리트우드 맥]]의 앨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umours)] 이쪽은 영국식 스펠링을 사용한다. == 혼성 그룹 [[KARD]]의 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UMOR)] == [[프로듀스 48]]의 콘셉트 평가 앨범 <[[PRODUCE 48 - 30 Girls 6 Concepts]]>의 [[Rumor(프로듀스 48)|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umor(프로듀스 48))] [[분류: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