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SC 안데를레흐트/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dwig002_augustinsson.jpg|width=100%]]}}} || ||<-2> '''{{{#fff200 RSC 안데를레흐트 No. 15}}}''' || ||<-2> '''{{{#393996,#262626 {{{+1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br]Ludwig Augustinsson}}}''' || || {{{#ffffff '''본명'''}}} ||한스 칼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br] Hans Carl Ludwig Augustinsson || ||<|2> {{{#ffffff '''출생'''}}} ||[[1994년]] [[4월 21일]] ([age(1994-04-21)]세) || ||[[스웨덴]] [[스톡홀름주]] [[스톡홀름]]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 {{{#ffffff '''신체'''}}} ||[[키(신체)|키]] 181cm / [[체중]] 74kg || || {{{#ffffff '''포지션'''}}} ||[[레프트백]] || || {{{#ffffff '''주발'''}}} ||왼발 || || {{{#ffffff '''등번호'''}}}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 6번 [br] [[세비야 FC]] - 3번 [br] [[아스톤 빌라 FC]] - 17번 [br] [[RSC 안데를레흐트]] - 15번 || || {{{#ffffff '''유소년 클럽'''}}} ||IF 브롬마포이카르나 (1999~2011) || || {{{#ffffff '''소속 클럽'''}}} ||[[IF 브롬마포이카르나]] (2011~2012)[br][[IFK 예테보리]] (2013~2014)[br]'''[[FC 코펜하겐]] (2015~2017)'''[br]'''[[SV 베르더 브레멘]] (2017~2021)''' [br][[세비야 FC]] (2021~ ) [br] → {{{-1 [[아스톤 빌라 FC]] (2022~2023 / ^^임대^^)}}} [br] → {{{-1 [[RCD 마요르카]] (2023 / ^^임대^^)}}} [br] → {{{-1 [[RSC 안데를레흐트]] (2023~ / ^^임대^^)}}} || || {{{#ffffff '''국가대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46경기 2골[* 2022년 6월 10일 기준.]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2015~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 국적의 [[RSC 안데를레흐트]]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레프트백]]. == 클럽 경력 == === IF 브롬마포이카르나 === 브롬마포이카르나 유소년 출신으로, U-17팀 시절 주장으로 활약했고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UC 삼프도리아]]의 트라이얼에 참가하기도 했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준 그는 2011년, 16살의 나이에 1군으로 승격됐으며, 당해 [[수페레탄]] 무대에 데뷔한다. 다음 시즌에는 본격적으로 주전 레프트백으로 뛰며 2골 4어시스트를 기록했고, 시즌 종료 후 여러 클럽들의 제안을 뿌리치고 [[IFK 예테보리]]로 이적한다. === [[IFK 예테보리]] === 예테보리에 입단한 뒤 대부분의 프리시즌 경기에 출전하며 호흡을 맞추었다. 그러나 2013 시즌이 시작되기 불과 몇 주 전, 스웨덴 U-21 대표팀에서 뛰던 기간에 무릎 부상을 당해 5개월간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리고 8월 25일, [[말뫼 FF]]와의 원정 경기를 통해 알스벤스칸 데뷔전을 치렀지만 또 다시 부상을 당하며 잔여 시즌 경기를 나설수 없었다. 긴 재활을 거쳐 2014년 3월 초 스벤스카 쿠펜 경기를 통해 복귀했다. 그리고 결승에서 [[유르고덴스 IF]]를 꺾고 우승하는데 기여하며 부상으로 시즌을 날린 아쉬움을 달래는데 성공했다. 2014 시즌부터는 큰 부상없이 시즌 내내 주전으로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2014 알스벤스칸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 [[FC 코펜하겐]] === 2015년 1월 5일, 그는 [[덴마크 수페르리가]] 명문팀인 코펜하겐과 4년 반 계약을 채결했다. 2014년 12월 31일에 계약이 만료되는 [[피에르 벵트손]]의 대체자로 영입되었으며, 이적료는 1,300만 유로로 스웨덴 국적의 풀백 중 가장 비싼 이적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2월 베스트셸란을 상대로 수페르리가 데뷔전에서 1골 1어시스트를 적립하며 2:0 승리를 이끌어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 봄 기간 동안 리그 15경기에 출전하여 팀이 2위를 기록하는데 도왔고, 무엇보다 6개의 어시스트를 적립하며 도움 순위 3위에 오르는 등 공격적인 면에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참고로 2014-15 시즌 가장 많은 어시스트를 기록한 수비수로 기록되었다. 수비적인 면에서도 리그 15경기 중 9실점만을 허용하며 공수 양면에서 양질의 활약을 보여주었다. 이에 많은 전문가들은 봄 기간동안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그를 꼽기도 했다. 리그에서 뿐만 아니라 컵대회에서도 그의 활약은 여전했다. 준결승전에서 왼발 프리킥으로 결승골을 성공시키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고 5월에 열린 결승에서도 베스트셸란을 상대로 1어시스트를 추가하며 3:2 승리에 기여하며 대니쉬컵 우승을 거머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15-16 시즌에도 주전 레프트백으로 뛰며 팀의 수페르리가 우승과 대니쉬컵 우승을 이끌며 더블을 달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로 인해 레프트백 자원을 찾던 [[리버풀 FC|리버풀]]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2017년 4월 17일, [[브뢴뷔 IF]]와의 [[코펜하겐 더비]] 원정 경기 중 그가 코너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브뢴뷔 서포터즈 관중석에서 누군가 그를 향해 죽은 쥐를 투척한 사건이 있었다. 이내 그는 죽은 쥐를 걷어찼고 ~~와우..~~ 이후 양 팀 팬들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 [[SV 베르더 브레멘]] === 2017년 1월 30일, 그는 [[1. 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팀인 브레멘과 사전계약을 채결했고, 시즌이 끝난 뒤 팀에 정식으로 합류했다. 4시즌간 브레멘의 레프트백으로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2021-22 시즌에 브레멘이 [[2. 분데스리가|2부리그]]로 강등당하면서 [[SS 라치오]], [[AS 로마]] 그리고 몇몇 프리미어리그 팀에서 관심을 보였다. ~~꿀 매물~~ === [[세비야 FC]] === 그리고 2021-22 시즌을 앞두고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세비야 FC]]행이 확정되었다. ==== [[아스톤 빌라 FC]] (임대) ==== 현지 시각 2022년 7월 12일, 1년 임대 합의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구매 옵션 포함 (약 €3.5M정도 된다고 한다.) 10월 3일 [[리즈 유나이티드]]전 팀의 풀백의 연속된 부상으로 선발 데뷔전을 치뤘지만 전반 추가시간 대표팀에서의 뛴 경기가 피로로 다가왔는지 햄스트링이 올라와 [[얀 베드나렉|베드나렉]]과 교체되며 데뷔전을 아쉽게 마쳤다. 2023년 1월 28일, 파브리지오 로마노는 아우구스틴손이 아스톤 빌라와의 임대 계약을 해지하고 [[RCD 마요르카]]로 임대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 [[RCD 마요르카]] (임대) ==== 2023년 1월 31일, [[RCD 마요르카]]로 임대 이적했다.[[https://www.rcdmallorca.es/contenidos/noticias/noticia/el-rcd-mallorca-incorpora-a-ludwig-augustinsson|#]] [[자우메 코스타]], [[브라이언 쿠프레]]의 부진한 활약 속에서 레프트백 주전 자리를 꿰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인도 부상이 겹치고, 영 좋지 못한 활약을 보여주면서 단 4경기 출장을 끝으로 마요르카 임대를 끝마치게 되었다. 2023년 8월, [[RSC 안데를레흐트]]와 링크가 뜨고 있다. ==== [[RSC 안데를레흐트]] (임대) ==== 2023년 8월 16일, [[RSC 안데를레흐트]]로 임대 이적했다.[[https://www.rsca.be/en/ludwig|#]]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별 대표팀을 거쳐 2015년 1월 15일,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전을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6월에는 스웨덴 U-21 대표팀 소속으로 [[UEFA U-21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팀의 첫 우승을 이끌었다.[* 이때 활약했던 선수가 [[빅토르 린델뢰프]], [[욘 구이데티]], [[로빈 콰이손]], [[크리스토페르 올손]] 그리고 주장이었던 [[오스카르 힐리에마르크]] 등이 있었다.] [[UEFA 유로 2016]] 최종엔트리에 합류했으나 본선에서는 [[마르틴 올손]]에 밀려 단 한경기도 나서지 못했다. 유로 이후 새로 부임한 [[얀네 안데르손]]의 신임을 받아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플레이오프 포함 12경기 중 10경기를 소화하며 팀의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2018 FIFA 월드컵|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 3차전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전]]에서 선제골을 넣어 팀의 3:0 승리와 함께 조1위를 차지했다. 2021년 3월 28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B조|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코소보]]전에서 선제골을 넣었고, 결과는 3:0으로 끝났다. 하지만 팀은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레반도프스키]]의 폴란드에게 2:0 으로 패하며 다음 기회를 노려야만 했다. == 플레이 스타일 == 공격 가담과 적극성이 돋보이는 풀백. 측면에서의 드리블링을 통해 공을 운반하는 능력이 준수하며, 날카롭고 정교한 왼발 킥을 통해 파이널 서드로 올려주는 패스와 크로스의 질이 좋은 편. 특히 왼발 킥은 브레멘 시절에 세트피스 키커를 담당했을 정도로 킥이 정평이 나 있다. 활동량도 많고 승부욕도 강한 편이라, 수비 시 적극적인 1대1 압박을 시도한다. 다만 풀백치고 스피드가 느린 편에 속한다. 이 때문에 라리가 이적 후에는 드리블링이 무뎌지는 모습도 자주 보여주었다. 게다가 전진성이 강한 플레이스타일을 보유한 만큼, 상대방의 역습 상황이거나 1대1 상황에서 발빠른 공격수와 대면하면 고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거친 수비를 해 파울 횟수가 많고, 카드를 많이 수집한다는 약점이 있다. == 여담 == * 집안 전체가 운동 집안이다. 아버지는 축구 선수로 스웨덴 1부리그에서 뛴 적이 있으며, 어머니는 배구선수였다. 또한 동생인 [[요나탄 아우구스틴손]]은 스웨덴 [[유르고덴스 IF]][* 문선민이 뛰었던 거기 맞다.] 소속 레프트백이다. * 롤모델은 [[가레스 베일]]과 [[데이비드 알라바]]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RSC 안데를레흐트)] [include(틀: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스톡홀름 출신 인물]][[분류:스웨덴의 축구선수]][[분류:IF 브롬마포이카르나/은퇴, 이적]][[분류:IFK 예테보리/은퇴, 이적]][[분류:FC 코펜하겐/은퇴, 이적]][[분류:SV 베르더 브레멘/은퇴, 이적]][[분류:세비야 FC/은퇴, 이적]][[분류:아스톤 빌라 FC/은퇴, 이적]][[분류:RCD 마요르카/은퇴, 이적]][[분류:RSC 안데를레흐트/현역]][[분류:스웨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스웨덴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축구 선수 자녀]][[분류:배구 선수 자녀]][[분류:수비수]][[분류:레프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