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84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시엔 출신 인물]][[분류:노르웨이의 축구선수]][[분류:오드 BK/은퇴, 이적]][[분류:로센보르그 BK/은퇴, 이적]][[분류:헤르타 BSC/현역]] [include(틀:헤르타 BSC/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l-obj-000282-dfl-clu-00000z-dfl-sea-0001k5 (1).png|width=100%]]}}} || ||<-3> '''{{{#ffffff 헤르타 BSC No. 22}}}''' || ||<-3> '''{{{#005aab {{{+1 루네 야르슈타인}}} [br]Rune Jarstein}}}''' || ||<-2> {{{#ffffff '''본명'''}}} ||루네 알메닝 야르슈타인[br]Rune Almenning Jarstein || ||<-2> {{{#ffffff '''출생'''}}} ||[[1984년]] [[9월 29일]] ([age(1984-09-29)]세)[br]{{{-1 [[노르웨이]] [[시엔]]}}}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 ||<-2> {{{#ffffff '''신체 조건'''}}} ||[[키(신체)|키]] 192cm / [[체중]] 90kg || ||<-2> {{{#ffffff '''포지션'''}}} ||[[골키퍼]]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오드 BK]] || || {{{#ffffff '''선수'''}}} ||[[오드 BK]] (2002~2007)[br][[로센보르그 BK]] (2007~2010)[br][[비킹 FK]] (2010~2013)[br]'''[[헤르타 BSC]] (2014~ )'''[br]→ {{{-1 [[헤르타 BSC II]] (2015~2016)}}} || ||<-2> {{{#ffffff '''국가대표'''}}}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72경기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2007~)^^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네 야르스테인은 노르웨이의 축구선수이다. == 플레이스타일 == 큰 키를 이용한 공중볼 처리와 크로스 처리 능력이 좋은 골키퍼. 판단력 또한 준수해 스위핑을 자주 시도하였으며,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도 팀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수비를 조율했다. 다만, 원래도 실수가 잦은 편인데 나이가 들면서 실수가 늘어났고, 큰 키를 이용한 선방 능력을 제외하고는 반사신경이 떨어져 선방 능력도 감소하였다. == 클럽 경력 == === 자국리그 시절 === 그는 로컬팀 오드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10대 시절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바이에른 뮌헨]]의 트라이얼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2년, 18살의 나이에 1군 소속으로 [[엘리테세리엔|1부리그]]에 데뷔했으며 2007년 팀이 강등당하자 자국의 명문팀인 [[로센보르그 BK]]로 이적한다. 2010년 3월 8일, [[비킹 FK]]에 입단했다. 오자마자 기존 주전 키퍼를 밀어내며 팀의 넘버원으로 활약했으며 동시에 수년간 자국리그를 대표하는 수문장으로 거듭난다. === [[헤르타 B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236778.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b4a4d4ed2dc.jpg|width=100%]]}}} || 비킹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덕분에 2013년 12월 17일에 [[분데스리가]]의 [[헤르타 BSC]]로 이적했다. 2015-16 시즌 부상당한 [[토마스 크라프트]] 대신 주전으로 출전하다 좋은 모습을 보이자 크라프트 복귀 이후에도 주전자리를 차지했다. ==== 2019-20 시즌 ==== 2019-20 시즌에도 주전으로 출전중이었으나 계속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정적으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경질되고 [[알렉산더 누리]]감독대행하에서의 첫경기 [[1. FC 쾰른]]전 5실점을 하며 5:0 대패를 당했고 이후 크라프트가 대신 출전하고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_5_28_4.gif|width=100%]]}}}|| 28라운드 [[RB 라이프치히]]전 1:1 동점 상황에서 [[파트리크 시크]]의 슛을 제대로 잡지 못해 뒤로 흘리며 어이없는 실점을 하고 말았다... 다행히 경기는 [[크시슈토프 피옹테크]]가 PK골을 성공시키며 2:2 무승부로 끝났다. 29라운드에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32라운드 [[SC 프라이부르크]]전 골킥을 하다가 애매했는지 바로앞의 [[블라디미르 다리다]]에게 패스했는데 그대로 뺏기며 실점했다(...) 이 골로 인해 2:1로 패했다. ==== 2020-21 시즌 ==== 2020-21 시즌 [[알렉산더 슈볼로]]가 이적해오며 주전자리를 빼앗길것으로 보이며 2020년에는 단 한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2021년 그동안 슈볼로의 기량 저하로 인해 드디어 첫 경기를 치뤘는데 하필 상대가 [[바이에른 뮌헨]]이었다.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가 COVID-19 확진판정을 받았다. ==== 2021-22 시즌 ==== 2021-22 시즌 무릎수술을 받으며 벤치에도 앉지 못하고 있다. ==== 2022-23 시즌 ==== 2022-23 시즌 프리시즌 [[SV 바벨스베르크 03]]전 교체출전하며 무려 468일만에 필드를 밟았다 훈련 도중 안디 멩어 골키퍼코치와 말다툼을 벌였고, 이에 구단 자체 징계로 출전정지를 받았다.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258898.jpg|width=100%]]}}} || 유소년 대표팀 시절부터 30경기를 소화하며 차세대 수문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2007년 8월 23일,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의 친선전을 통해 A대표팀에 데뷔했으며 2011년부터는 기존의 주전 골리였던 욘 크누드센의 부상을 틈타 주전으로 도약한다. 소속팀에서 출전을 하지 못하며 잠시 [[외르얀 뉠란]]에게 밀렸던 2014~2015년을 제외하고는 2010년대 후반까지 노르웨이 대표팀 주전 수문장으로 활약하였다. == 같이보기 == [include(틀:헤르타 B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