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포시의 행정구역)] ||<-4> ''' [[남포시|{{{#000000,#dddddd 남포시}}}]]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wiki style="margin: -5px 0" '''{{{+1 룡강군}}}'''[br]龍岡郡[br]{{{-1 Ryongga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룡강군, 너비=100%, 높이=100%)]}}} || ||<-2> '''군소재지''' ||<-2> 룡강읍 || ||<-2> '''광역행정구역''' ||<-2> [[남포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10[[리(행정구역)|리]] || ||<-2> '''면적''' ||<-2> 미상 || ||<-2> '''인구''' ||<-2> 58,390명[*2008년] || ||<-2> '''인구 밀도''' ||<-2> 미상 || ||<-2> '''군인민위원회 위원장''' || [include(틀:조선로동당)] || 안용택 || ||<|2><-2> '''최고인민회의''' || [include(틀:조선로동당)] || 임종실[br]{{{#!wiki style="font-size: 12px" (룡강선거구 / 2선)}}} || || [include(틀:조선로동당)] || 창재룡[br]{{{#!wiki style="font-size: 12px" (룡호선거구 / 초선)}}}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9'''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안남도]]의 군. 광복 당시 13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진남포]]([[남포시|남포]])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북쪽으로 [[강서군]], 동쪽과 남쪽은 [[대동강]]에 접한다. 바다에는 간석지가 널리 펼쳐져 있다. 또한 강수량이 적기 때문에 광량만을 중심으로 염전이 해안 곳곳에 발달해 있다. 물이 좋은 고장인지 진로소주가 시작된 곳도 이 곳이었고, 믿거나 말거나지만 [[맹자]]가 이 지역에 왔다가 우물맛에 반했다는 맹자우물 전설도 있다. 일제강점기 [[주요섭]]이 쓴 단편소설 '진남포행'에서는 평안도 사투리로 "롱강"이라고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 역사 == 낙랑군(樂浪郡) 점제현(秥蟬縣)이었다. 고려 시대에 용강현, 삼화현이었다. 구한말 삼화군의 [[남포시|진남포]]가 개항하여 삼화부로 승격되고, 1910년 진남포부로 개칭되었다. 1914년 진남포부 중 개항장 외곽 지역(삼화면 등)을 용강군에 편입하였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서부 지역을 신설된 [[온천군]]에 넘겨줘 면적이 축소되었다. 1978년에는 1개 로동자구와 3개 리 일부를 대안시(현재 [[대안군]])에 넘겨줬다. 1978년 남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남포시에 소속되었다. 2004년 직할시가 시로 격하되면서 평안남도 소속으로 바뀌었으나, 2010년 남포시가 특별시로 승격되면서 남포시 소속의 군이 되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평안남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용강군기.png|width=50%]] [[파일:용강군.jpg]] [* 위 지도는 광복 당시가 아닌 1937년 당시의 지도로, 그 이후 이루어진 [[남포시|진남포부]] 확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1938년 대대면 마사·유사·대두리가, 1945년 대대면 어호·해산·고정·영곡리, 양곡면 문애·천교·초유리, 오신면 한학·도학리, 다미면 지울리가 [[남포시|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https://arca.live/b/city/28556120|#]] 덤으로 광복 이후 간척으로 해안선이 많이 바뀐 건 덤.] === 구 용강군 지역 === [[파일:황룡산성.jpg|width=60%]] 황룡산성 * '''용강면'''(龍岡面) * 관할 리 : __옥도(玉桃)__, 난산(卵山), 반추(盤楸), 방어(芳漁), 서부(西部), 오작(烏鵲), 의산(義山), 장암(長巖), 초산(草山), 후산(後山) * 면소재지 및 군청소재지는 옥도리다. 하지만 위성사진을 보면 북한 치하 군소재지인 지운면에 비해 많이 쇠락했다. * 서쪽 오석산(烏石山, 565m)은 군내 최고봉인 명산으로 [[화강암]]의 산지이며, [[황룡산성]]이 있다. 오작리에는 용강저수지가 있고, 동쪽 [[강서군]]과의 경계에는 인공호수인 대성호(大成湖)[* 일명 태성호(台星湖)]가 있다. 철도는 [[용강선]] 용호역과 후산역이 있어 용월면 방면으로 통한다. * '''다미면'''(多美面) * 관할 리 : __오화(五花)__, 난마(蘭麻), 대안(大安), 동전(東箭), 보명(普明), 서적(瑞赤), 소안(小安), 오정(梧井), 우안(牛安), 장미(長尾), 지사동(芝沙洞), 치의(幟衣), 한전(閑田) * 동, 서, 남 3면이 [[대동강]]에 둘러싸여 있으며, 대동강 동쪽 너머 [[황해도]] [[송림시]]·[[황주군]], 서남쪽으로는 [[안악군]]과 마주한다. 1945년 지울리가 [[남포시|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홍경래]]의 출신 지역이다. * '''서화면'''(瑞和面) * 관할 리 : __자복(自福)__, 동상(同相), 석치(石峙), 설암(雪巖), 신안(新安), 암현(巖峴), 죽본(竹本), 한현(漢峴) * 서북쪽 해안 지대에 있으며, 연대봉(55m)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20m 이하의 평지이다. * '''양곡면'''(陽谷面) * 관할 리 : __마명(馬明)__, 갈천(葛川), 남동(南桐), 두보(杜寶), 신류(新柳), 정화(亭花), 주흥(周興), 회용(洄湧) * 1945년 천교리·문애리·초유리가 [[남포시|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평남선]] [[갈천역]]이 있다. 면내 서북단 남동리에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2%BD%EC%84%9C|김경서]](金景瑞)[* 독립운동가 [[김경서]](金敬瑞)가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장군이다.]의 사당인 충렬사(忠烈祠)가 있다.[* 좌표 북위 38º50'15", 동경 125º21'00". 믿거나 말거나지만 전설에 따르면 정려문 앞에 일본인이 가면 피를 토하고 즉사한다(...)고 전해진다. 2005년 보도에 따르면 16대 후손인 김광철(당시 30세)이 관리인으로 있다.[[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culture&id=&board_seq=120512&page=223&board_code=|#]]] * '''오신면'''(吾新面) * 관할 리 : __가룡(佳龍)__, 가양(葭陽), 구룡(九龍), 내덕(內德), 덕해(德海), 도대(桃垈), 석정(石井), 송성(松城), 월매(月梅), 유동(楡洞), 인산(麟山), 직매(直梅) * 1945년 한학리·도학리가 [[남포시|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용월면'''(龍月面) * 관할 리 : __갈현(葛峴)__, 계명(桂明), 광덕(廣德), 국안(國安), 대영(大永), 마동(麻洞), 송석(松石), 주달(周達) * 면 동남부, 용강면과의 경계에 군내 최고봉인 오석산(565m)이 있다. [[용강선]] 용월역, 종점인 마영역이 있다. * '''지운면'''(池雲面) * 관할 리 : __진지(眞池)__, 대성(大城), 두륵(頭勒), 만하(晩荷), 문성(文城), 신촌(新村), 안성(安性), 양원(兩院), 양화(陽和), 유보(柳保), 인포(仁浦), 입성(立城), 현암(絃巖) * 북한 치하에서 용강읍 소재지이다. 시가지 북쪽에 용강대총·쌍영총을 비롯한 [[고구려 고분군]]이 위치한다. 용강면과의 경계에 있는 석천산(石泉山)은 봄에 [[진달래]]꽃이 유명하며, 남쪽 기슭에 [[고인돌]]이 다수 있다. * [[룡강역|용강역]](구 진지동역)이 있고, [[평남선]]과 [[룡강선|용강선]]이 분기하여 용강선은 용강면 방면으로 이어진다. [[태성역]]도 있었으나 현재는 폐역. * 수질이 좋아 [[진로(브랜드)|진로]][[소주]]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진로의 '진'이 바로 공장이 있던 진지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6.25 전쟁]] 때 창업주 일가가 월남하여 다시 소주 사업을 시작하면서 현재의 진로소주가 만들어졌고 북한은 여기 남겨진 공장에서 진지리소주를 생산한다고 한다.] * '''해운면'''(海雲面) * 관할 리 : __온정(溫井)__, 갈성(葛城), 궁산(弓山), 성현(城峴), 연봉(延鳳), 용반(龍磻), 용정(龍井), 월지(月池), 이현(里峴), 일병(日屛) * 북한 행정구역상 [[온천군]] 소재지이다. [[용강온천]]이 위치하며, [[평남선]]의 종점인 온정역([[평남온천역]])이 있다. 동부 성현리에는 [[점제현 신사비]]가 소재한다. === 구 삼화현 지역 ===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삼화현에 해당한다. [[진남포시]]도 구 삼화현 지역이었다. * '''귀성면'''(貴城面) * 관할 리 : __노상(路上)__, 감박(甘朴), 금정(金井), 노하(路下), 대령(大嶺), 석성(石城), 석찬(石贊), 용도(龍島), 원읍(元邑), 증악(甑岳), 최광(最廣), 향곶(香串) * 광량만(廣梁灣)을 중심으로 [[염전]]이 많다. [[평남선]] [[로상역]]·[[귀성역]]이 있다. * 연안에는 화도(禾島)·초도(草島)·대매도(大梅島)·소매도(小梅島)·덕도(德島)·상취라도(上吹螺島)·하취라도(下吹螺島)[* 육지에서 먼 덕도 및 상하취라도는 1951~53년 [[KLO|국군 부대]]가 주둔 내지 활동하였다.] 등 크고 작은 섬들이 있으나, 현재는 육지와 가까운 화도(禾島)·초도(草島) 등은 간척되어 육지와 연결됐다. * 고구려의 장수 [[강이식]] 장군의 고향이라고 전해진다. 고구려 멸망 이전에는 고구려 강씨([[진주 강씨]]) 일족이 이곳에 씨족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 '''금곡면'''(金谷面) * 관할 리 : __우등(牛登)__, 경전(耕田), 금수(金水), 남상(南上), 남하(南下), 내성(內城), 담부(擔釜), 석포(石浦), 유동(乳洞), 화도(華島) * 귀성면과 함께 광량만을 중심으로 염전이 많다. [[평남선]] [[동광량역]]·[[서광량역]]·[[화도역]]이 있다. * 물이 좋은 고장인지 금수리의 [[맹자]][[우물]]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며, 해운면·삼화면과 경계한 면 북쪽 신덕산(新德山)에서는 북한이 자랑하는 생수인 '신덕샘물'이 산출된다.[* [[김정일]]은 [[김정일/여담|신덕샘물을 그것도 전용 취수구에서 따로 받아낸 것만 마셨다.]](...)] * '''대대면'''(大代面) * 관할 리 : __덕동(德洞)__, 매산(梅山), 사천(沙川), 산동(山洞), 오산(梧山), 월곡(月谷), 화도(花島) * 진남포시의 바로 바깥 지역으로, 1938년 마사리·유사리·대두리가, 1945년 어호리·해산리·고정리·영곡리가 [[남포시|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북한 치하에서 남포 시가지의 확장으로 거의 도시화됐다. 교통편으로는 [[평남선]] [[덕동역]]이 있다. * 매산리 287-2번지[[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l2logeHgba8J: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view.do%3Fseq%3D41494%26aseq%3D558&cd=2&hl=ko&ct=clnk&gl=kr|#]]에는 [[고구려 고분군]]의 하나인 수렵총(狩獵塚)이 있다. 북쪽 삼화면과의 경계에 있는 우산(牛山, 507m) 남안에는 옥천대유원지(玉泉臺遊園地)가 있었다. * '''삼화면'''(三和面) * 관할 리 : __옥정(玉井)__, 내교(內校), 마점(馬岾), 서정(西亭), 용문(龍門), 율상(栗上), 율하(栗下), 주림(舟林), 충흥(忠興), 학당(學堂) * 진남포 개항 전까지 옛 삼화군의 중심지였다. 대부분의 지역이 구릉성 산지로, 사동천(砂洞川)이 면내를 북서에서 남동으로 남포시 방향으로 흘러 북쪽에는 충흥리저수지, 남쪽에는 주림저수지(삼화저수지)를 형성했다. 우산 북쪽 기슭에는 주림저수지를 내다보며 휴양지로 이름 높았던 우산장(牛山莊)이 있다. * '''신녕면'''(新寧面) * 관할 리 : __신덕(新德)__, 광암(廣巖), 마염(馬鹽), 소강(蘇江), 송산(松山), 수일(水日), 신암(新巖), 연송(延松), 오학(梧鶴) * [[서해갑문]]의 북쪽 끝이 이 지역에 닿는다. 서해갑문은 인근 섬인 피도(皮島)와 이어져 있다. [[평남선]] [[평남신덕역]]이 있다. * 서쪽에 광량만이 있다. 임우산(霖雨山)~연대산(燃臺山)을 잇는 산줄기 사이에 학령이 있고, 산줄기 북쪽을 영북(嶺北)지방, 남쪽을 영남(嶺南)지방이라 한다. 광암·마염·수일·오학 4개리가 영남, 신덕·소강·송산·신암·연송 5개리가 영북이다. == 출신 인물 == * [[노능서]] * [[홍경래]] [[분류:남포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