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로피안 디저트)] [include(틀:죽의 종류)] ||<#FF99CC> {{{+2 '''{{{#663300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br] {{{#663300 \textit{Rødgrød med fløde}}}}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ødgrød med fløde.jpg|width=100%]]}}} || [목차] == 개요 == Rødgrød med fløde [[덴마크]]의 디저트 중 하나로 어원은 "[[생크림|크림]]을 곁들인 붉은 [[죽]]." 죽이라고 해서 곡물로 만든 죽에 크림을 올린 것은 아니고 라즈베리로 만든 [[푸딩]][* 푸딩이라고 해도 우리가 생각하는 푸딩보다는 잼 형태에 가깝다.] 위에 크림을 올린 것이다. 덴마크에서 죽을 뜻하는 'grød'는 식사용 죽[* 보통 [[오트밀]]죽으로 불리는 포리지] 말고도 과일이나 단 것을 전분과 뭉근히 끓인 것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만드는 법은 꽤나 간단한 편인데 분쇄한 [[딸기]]와 [[라즈베리]]를 물과 [[녹말|전분]], [[설탕]]을 이용해 되직하게 쑤어 푸딩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휘핑 크림이나 [[연유]]를 올리면 끝. 이때 쓰는 [[설탕]]은 단맛을 내기 보다는 라즈베리의 풍미를 깊게 만들기 위한 것이기에 과하게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하며 전분의 경우 취향껏 넣어도 상관없다. 보통 만드는 용량의 20분의 1 정도면 적당하다. 다만, 푸딩을 가열한 다음에 자연풍으로 식혀야 하고[* [[냉장고]]에 넣으면 냉장고 안의 음식물 냄새가 배여 맛을 망치기 때문이다. 디저트 요리용 냉장고를 따로 두었다면 상관 없다.] 또 졸일 때 타지 않도록 조심해야하기 때문에 손은 많이 가는 편이다. 8인분 정도를 만든다고 할 때 조리하는 시간만 40분이고 푸딩을 만든 뒤 식히는 시간까지 포함하면 3~4시간 정도 걸린다. 여러모로 가볍게 해먹을 수 있는 요리는 아니다. 이 요리는 독일으로 전해져 Rote Grütze[* 곁들인 과일에 따라 명칭이 달라질 수 있는데 구스베리나 [[키위]]류 같은 녹색 과일은 Grüne, 노란 구스베리나 골든키위, [[파인애플]], [[바나나]] 등을 곁들이면 Gelbe, 블루베리나 블랙베리, 피자두, [[포도]] 등을 곁들여 먹으면 Blaue Grütze라고도 한다]라는 디저트로 변했는데 이 요리의 경우에는 라즈베리 대신 구스베리와 여러 산도가 높은 과일들을 사용하고 있고 [[폴란드]]나 발트해 연안국가, 러시아 일부 지방에서는 '키셀'이라고 한다. 뢰드그뢰드, 즉 라즈베리 푸딩의 경우는 그 자체로 디저트로서 [[우유]]와 함께 먹기도 한다. == [[잰말놀이]] == ||
[youtube(7bik6ggv_9c)] || [[https://en.m.wiktionary.org/wiki/File:Da-r%C3%B8dgr%C3%B8d_med_fl%C3%B8de.ogg|발음]] 디저트 자체보다는 '''특이한 발음''' 때문에 유명해진 표현이기도 하다. 어찌 보면 [[덴마크어]]판 [[잰말놀이|'간장공장공장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국제음성기호로는 /ˈʁœðˀˌɡ̊ʁœðˀ mɛ ˈfløːð̩/,[* 영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ˈʁœ̝ð̠˕ˠˀˌkʁœ̝ð̠˕ˠˀ me ˈfløːð̩˕˗ˠ/에 가깝다고 한다.]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정도가 되지만 한글로는 정확히 표현할 방법이 없고 실제로는 구개수음과 성문폐쇄 현상 탓에 굉장히 기묘한 소리로 들린다. 거기에 g의 무성음화와 med의 d 묵음까지 있다. 더 가까운 발음은 '회르끄회르 메 플뢰르' 정도. 이는 [[덴마크어]] 음운의 특징 때문이다. 구개수 마찰음인 /ʁ/과 트림 소리 비슷한 'stød' 현상 (/ˀ/)[* 해당 음절을 성문 파열음이 섞인 듯 중간에 음을 끊으면서 내거나 음절을 트림하면서 내는 소리다.] 이 합쳐져 전체적으로 목 뒤에서 세게 내뱉는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덴마크어의 R 음운은 독일어, 프랑스어와 달리 조음점이 더 뒤로 넘어가 [[인두음]]으로 실현되기까지 한다. 이런 발음 경향도 해당 단어가 기묘하게 들리는 데 한몫 한다.] 또한 덴마크어 어말의 'd'(/ð/)는 영어 'this'의 'th'처럼 마찰음이 아니라 접근음이어서 'ㄷ'보다는 'ㄹ'에 가까운 소리가 나는데, 이것도 해당 표현이 괴상하게 들리는 원인 중 하나이다. == 관련 문서 == * [[덴마크 요리]] [[분류:죽]][[분류:젤리]][[분류:덴마크 요리]][[분류:언어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