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백화점)] [include(틀:대구광역시 소재 쇼핑시설)] ---- ||<-2><#877669> {{{+2 '''대구점'''}}} (200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대구점.jpg|width=100%]]}}} || || '''연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20]]]] '''[[대구역(도시철도)|{{{#000,#e5e5e5 대구역}}}]],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75]] [[대구역]]''' || || '''개점일''' ||[[2003년]] [[2월 27일]] || || '''휴무일''' ||설, 추석 당일 || || '''영업시간''' ||정상영업([[월요일|월]]~[[목요일|목]]) - '''10:30 ~ 20:00'''[br]연장영업([[금요일|금]]~[[일요일|일]], [[공휴일]]) - '''10:30 ~ 20:30'''[br]식당가영업 - '''10:30 ~ 20:00''' {{{-3 (연장시 ~20:30)}}} || || '''건설''' ||[[롯데건설]] || || '''소유''' ||[[롯데쇼핑]] || || '''지점장''' ||조용욱 ||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태평로(대구)|태평로]] 161 ([[칠성동2가]]) || || '''링크''' ||[[https://www.lotteshopping.com/branchShopGuide/floorGuideSub?cstr=0023|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3년]] [[2월 27일]] 개점한 [[롯데백화점]] 점포이며, [[대구역]] [[민자역사]]로 운영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지방(지리)#s-2|비수도권]]의 유일한 민자역사 [[백화점]]이기도 하다. [[2023년]] 기준 연 매출 2,080억 원을 올려 전국 50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9.3% 역신장했다. == 상세 == '''대구에 처음 진출한''' 대형 유통기업의 백화점 매장이다. 대구보다 인구가 적은 [[광주광역시|광주]]나 [[대전광역시|대전]]에 비해서도 개점이 늦었는데 이는 [[대구백화점]]과 [[동아백화점]][* 지역 건설사인 [[화성산업]]의 소유였으나 [[2010년]] [[이랜드그룹]]에 매각되었다.] 두 향토 백화점의 세가 강했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 개점 이후에도 대구백화점의 실질적 플래그십 점포인 대백프라자는[* 현재는 본점이 폐점하여 유일한 점포다.] [[더현대 대구|현대백화점 대구점]] 개점 이전까지 지역에서 롯데와 양강 체제를 형성했다. 개점 직전 [[대구 지하철 참사]]가 발생하여 개점이 [[https://mnews.imaeil.com/page/view/2003021912331139180|늦춰졌으며]][* 또 지하철 참사 합동 분향소가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를 사이에 둔 시민회관(현 [[대구콘서트하우스]])에 있었다.] 개점 당시 롯데백화점 진입 차량이 [[동대구역]]네거리까지 늘어설 [[https://mnews.imaeil.com/page/view/2003022812320953750|정도였고]], 2000년대 제법 오랜 기간 대구 지역 백화점 매출 1위를 달렸'''었'''다. 그만큼 [[명품]] [[브랜드]] 라인업 역시 상당히 화려했는데, 현재도 매장을 운영하는 [[프라다]], [[생 로랑]], [[버버리]], [[불가리]], [[페라가모]], [[발렌시아가]], [[캐나다구스]], [[에트로]], [[멀버리]], [[코치]], [[엠포리오 아르마니]] 등을 비롯해 지금은 퇴점한 [[루이 비통]], [[샤넬]], [[롤렉스]], [[크리스찬 디올]], [[구찌]], [[펜디]] 등이 입점했었던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고급 [[백화점]]이'''었'''다. 하지만 2011년 8월 [[더현대 대구|현대백화점 대구점]][* 대구 지역에서는 최초로 [[에르메스]]가 입점했으며, [[루이 비통]]과 [[샤넬]]까지 모두 입점시키며 3대 명품을 입점시킨 대구 지역의 유일한 백화점이 되'''었'''다. 현재는 [[대구신세계]]가 이 기록을 가지고 있다.]이 개점하면서, 결국에는 대구 지역 2위 백화점으로 밀려났다. 2015년에는 샤넬이, 2016년에는 루이 비통이 철수하면서 4,000억원 중반을 기록했던 연 매출이 2022년에는 2,294억 원 초반대로 크게 줄었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영향이 컸으며, [[2021년]]에 잠시 소폭 반등했다.]. 2023년에는 [[구찌]]도 철수하면서 브랜드 이탈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2016년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대구신세계]]까지 개점하면서 대구지역 3위로 밀려나며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또한 [[동성로(대구)|동성로]] 상권이 [[국채보상로]] 남쪽으로 쏠리고 국채보상로 북쪽 교동 상권은 갈수록 쇠퇴하는 것도 매출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점은 [[현대백화점 부산점]]과 유사하다.] ||
'''연도''' || '''순위''' || '''연 매출''' || '''신장률''' || ||<^|1><-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16년~201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16 || 29위 || 3,862억 || -7.1% || || 2017 || 30위 || 3,586억 || -7.2% || || 2018 || 34위 || 3,200억 || -10.1% || || 2019 || 37위 || 2,925억 || -9.5% ||}}}}}}}}} || || 2020 || 43위 || 2,226억 || -23.9% || || 2021 || 46위 || 2,361억 || 6.1% || || 2022 || 49위 || 2,294억 || -2.8% || || 2023 || 50위 || 2,080억 || -9.3% || [[롯데쇼핑]] 측에서도 대구점을 아예 포기하진 않았는지,[* [[롯데쇼핑]] 입장에서 [[대구경북]]의 핵심 지점인 [[롯데백화점]] 대구점을 포기한다는 것은 [[대구경북]] 상권을 포기한다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대구역]]의 입지를 보면 대구 최대 상권이자 유동인구가 많은 동성로 입구나 마찬가지인 곳이다. 즉, 애초에 [[대구경북]] 지역을 오가는 사람들은 [[대구역]]을 자주 이용해왔었고 그만큼 위치 하나는 굉장히 좋은 곳이다. 이곳을 버린다는 건 대구권 전체를 버린다는 뜻도 된다.] [[백화점]] 상층부[* 9층과 10층]의 [[롯데시네마]]를 폐점하고 매장을 확장했으며[* 다만 이는 장기적으로 보면 몰링 트렌드에 맞지 않은 결정이었다. 이 자리에 명품 브랜드를 수두룩하게 채울 수 있는 능력이 되었다면 복합쇼핑몰 트렌드 못지 않게 2020년대 들어 중요해진 명품관 조성이 되었겠지만, 그것이 전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폴바셋]]과 [[무인양품]]을 대구 지역 최초로 입점시키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애썼다.[* 하지만 [[폴바셋]]과 [[무인양품]] 모두 [[대구신세계]]에도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7년]] [[4월 28일]]에는 [[리치몬드 그룹]]의 럭셔리 워치 멀티샵인 ‘타임 밸리’를 전세계에서 [[중국]] [[난징]]과 [[일본]] [[도쿄]]에 이어 3번째로 입점시키기도 했다. 2020년에는 [[발렌시아가]]를 1층 명품관에 추가로 입점시켰다. 여기에 같은 해에는 지하 1층까지도 명품관을 확장할 계획을 세우며 드비어스, 타사키 등 주얼리 브랜드와 아테스토니, 체사레 파치오티 등 해외 패션 브랜드가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철수하고 잡화 매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하 1층 명품관은 되려 후에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갤러리아 타임월드]]에서 성공시켰다(...).] 2021년에는 의류 매장 공간을 일부 리모델링해 골프 아카데미를 개설하고 전국 최초로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백화점에 입점시키는 강수를 두기도 했다. 또 6월에는 지하 2층 식품관의 브랜드를 대대적으로 리뉴얼하고 [[영풍문고]]를 입점시켰다.[* 기존에는 [[대구백화점]] 본점 지하 1층에 있었는데 대백 본점 영업 중단을 6개월여 앞두고 폐점했고 이후 [[롯데백화점]]에 신규로 입점했다. 동성로점에 이어 대백점까지 폐점한 [[영풍문고]]는 여기서 오픈할 때까지 [[대구광역시]]에 매장이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매출은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1년 12월 야심차게 오픈했던 타임밸리가 결국 철수해 [[더현대 대구|현대백화점 대구점]]으로 이동했다. 애초에 롯데시네마를 폐점하면서 복합쇼핑몰 트렌드와 멀어지는 듯 하더니, 영풍문고를 입점시키는 등 리뉴얼의 방향을 명확히 잡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매출에 비하면 비슷한 처지의 다른 롯데백화점 지점에 비해 명품 브랜드들을 상당히 많이 갖고 있는 편이다. 아쉽게도 한방이 되어줄 명품 브랜드는 부족한 편으로, 구찌마저 철수하면서 추가적 이탈도 예상된다. 다만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대구 인근 도시들에서 [[동성로(대구)|동성로]]를 오가는 승객들로 인해 유동인구가 증가할 것이고, 주변 지역에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반등의 여지가 있다. 영업면적도 1만 5천평으로 증축되어 --경쟁자인 신세계 대구가 워낙 월클급이지만-- 상당히 넉넉한 편이다. == 층별안내 == || '''층''' || '''시설''' || || '''{{{#fff 11층 }}}''' || 샤롯데 가든[br]^^(에비뉴엘 그린 바)^^ || || '''{{{#fff 10층 }}}''' || 식당가, 문화센터[br]^^(웨딩센터, 롯데카드센터, 상품권판매소, 사은품증정, 서비스라운지)^^ || || '''{{{#fff 9층 }}}''' || 아동/유아[br]^^(에비뉴엘 오렌지 라운지, 에비뉴엘 퍼플 라운지, 유아휴게실)^^ || || '''{{{#fff 8층 }}}''' || 가전/가구, 주방식기, 홈패션 || || '''{{{#fff 7층 }}}''' || 진/유니섹스 캐주얼, 주차장[br]^^(문화홀, 갤러리)^^ || || '''{{{#fff 6층 }}}''' || 남성패션, 골프, 주차장[br]^^(스칼라 계단[* 올라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주차장으로 바로 연결된다.], GDR골프아카데미)^^ || || '''{{{#fff 5층 }}}''' || 영캐주얼, 란제리, 주차장[br]^^(스칼라 계단, 안내데스크, 애플서비스센터)^^ || || '''{{{#fff 4층 }}}''' || 여성패션, 구두, 주차장 || || '''{{{#fff M3층 }}}''' || 여성전용 주차장[* 3층과 마찬가지로 역 플랫폼을 통해 연결된다.] || || '''{{{#fff 3층 }}}''' || 여성패션, 디자이너부띠끄, 홈데코, 에비뉴엘 주차장[* 오렌지 등급 이상 이용가능. 매장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역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된다.]^^(대구역 연결통로, 에비뉴엘 에메랄드 라운지[* 2023년까지 6천만원 이상 에비뉴엘 퍼플(구 MVG PRESTIGE) 라운지로 운영되다 24년부터 에메랄드 등급 라운지로 바뀌었다.)^^ || || '''{{{#fff 2층 }}}''' || 해외패션[br]^^(고객상담실)^^ || || '''{{{#fff 1층 }}}''' || 해외패션, 시계[br]^^(발렛파킹 서비스)^^ || || '''{{{#fff 지하 1층 }}}''' || 화장품, 패션잡화, 해외패션, 핸드백[br]^^(지하상가 연결통로)^^ || || '''{{{#fff 지하 2층 }}}''' || 식품, 유니클로, 무인양품[br]^^(영풍문고, 팝업스토어, 지하철 연결통로)^^ || == 여담 == * 상술했듯이 매장 확장을 하면서 많은 게 바뀌었다.[* 본래 식당가 위치였던 8층은 가전 매장으로 바뀌었고, 롯데시네마 위치였던 9층과 10층은 아동 매장과 식당가로 바뀌었다. 주차장은 본래 5층까지였으나 7층까지 증축했고, 옥상인 11층을 옥상공원으로 바꿨다.] == 연계 대중교통 == === [[일반철도]] === * [[경부선]]: [[대구역]] === [[도시철도]] ===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대구권광역철도]]와 환승역 예정] === [[시내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경상감영공원/대구콘서트하우스(00-139·00-146·02-147·05-323·09-084·20-021·20-062·20-123)'''}}}}}}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fff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33; font-size: .95em" [[대구 버스 급행2|{{{#ffffff 급행2}}}]]}}}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101, 101-1|{{{#ffffff 10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204|{{{#ffffff 2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04|{{{#ffffff 3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49|{{{#ffffff 34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01|{{{#ffffff 4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10, 410-1|{{{#ffffff 41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03|{{{#ffffff 50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18|{{{#ffffff 61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23|{{{#ffffff 62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51|{{{#ffffff 65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53|{{{#ffffff 65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706|{{{#ffffff 7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708|{{{#ffffff 70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730|{{{#ffffff 7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808|{{{#ffffff 80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대구 버스 980|{{{#ffffff 980}}}]]}}}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95em" [[대구 버스 가창2|{{{#ffffff 가창2(칠성시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95em" [[대구 버스 북구2|{{{#ffffff 북구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95em" [[대구 버스 북구3|{{{#ffffff 북구3}}}]]}}}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롯데백화점/점포, version=780)] [[분류:북구(대구)의 건축물]][[분류:롯데백화점]][[분류:2003년 건설]][[분류:대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