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탈리아의 역사)] [include(틀:오스트리아 제국 구성 제후국)] ||<-3><#FFCC21> {{{#000 {{{+1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br]{{{-1 '''Königreich Lombardo–Venetien'''}}},,([[독일어|{{{#000 독일어}}}]]),,[br]{{{-1 '''Regno Lombardo–Veneto'''}}},,([[이탈리아어|{{{#000 이탈리아어}}}]]),,}}} || ||<-2>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국장.png|width=55%]] || ||<-2><#FFCC21> {{{#000 '''국기'''}}} ||<#FFCC21> {{{#000 '''국장'''}}} || ||<-3><#FFCC21> {{{#000 '''지도'''}}} || ||<-3>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위치.svg|width=100%]] || ||<-3><#FFCC21> [[1815년|{{{#000 '''1815년'''}}}]] {{{#000 '''~'''}}} [[1866년|{{{#000 '''1866년'''}}}]] || ||<#FFCC21> {{{#000 '''위치'''}}} ||<-2>[[이탈리아 반도]] 북부 [[롬바르디아]], [[베네토]] || ||<#FFCC21> [[수도(행정구역)|{{{#000 '''수도'''}}}]] ||<-2>[[밀라노|마일란트]](Mailand)(1815~1859)[br][[베네치아|베네디히]](Venedig)(1859~1866) || ||<#FFCC21> {{{#000 '''정치 체제'''}}} ||<-2>[[전제군주제]] || ||<#FFCC21> {{{#000 '''국가 원수'''}}} ||<-2>[[왕]] || ||<#FFCC21> [[공용어|{{{#000 '''공용어'''}}}]] ||<-2>[[독일어]], [[이탈리아어]] || ||<#FFCC21> {{{#000 '''역사'''}}} ||<-2>1815년 [[오스트리아 제국]]에 의해 성립[br]1866년 [[이탈리아 통일 전쟁]]의 영향으로 [[이탈리아 왕국]]으로 편입 || ||<#FFCC21> {{{#000 '''통화'''}}} ||<-2>롬바르디아-베네치아 파운드(1816-1860)[br]롬바르디아-베네치아 플로린(1860-1866) || ||<#FFCC21> {{{#000 '''면적'''}}} ||<-2>47,500km² || ||<#FFCC21> {{{#000 '''성립 이전'''}}} ||<-2>[[이탈리아 왕국(프랑스 제1제국)]] || ||<#FFCC21> {{{#000 '''해체 이후'''}}} ||<-2>[[이탈리아 왕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은 1815년부터 1866년까지 [[이탈리아 반도]] 북부에 존재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구성국 중 하나였다. 오스트리아령 이탈리아[* [[독일어]]: Österreichisches Italien]라고도 한다. 국왕은 오스트리아 황제가 겸임하였고 오스트리아가 임명한 [[부왕#s-2|부왕]]이 통치하였으며, 부왕 산하에 롬바르디아 총독과 베네치아 총독이 각각 임명되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이 폐지된 1859년까지 총 6명의 부왕이 임명되었고 3명은 군인, 3명은 황족이 임명되었다. [[프란츠 2세|프란츠 1세]]의 동생 라이너 대공[*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장인이다.]이 1818년부터 1848년까지 부왕으로 재임하였고, 그 뒤를 이은 [[요제프 라데츠키]]가 1848년부터 1857년까지 재임하였다. 그 후 [[막시밀리아노 1세|막시밀리안 대공]]이 1857년부터 1859년까지 부왕으로 재임한 것을 끝으로 [[이탈리아 통일]]운동에 의해 롬바르디아를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상실하면서 1859년에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과 롬바르디아 총독이 폐지되었고, 1859년부터 왕국이 완전 멸망하는 1866년까지는 베네치아 총독이 유지되어 베네치아 총독이 왕국의 잔여 지역을 통치하였다. == 역사 == 1815년 6월 9일 [[빈 회의]]를 통해 성립되었다. 회의의 결과 오스트리아 제국은 외지오스트리아(Vorderösterreich)라 불리던 [[슈바벤]]의 월경지를 포기하는 대신 [[프랑스 제1제국]]의 관할이었던 [[이탈리아 왕국(프랑스 제1제국)|괴뢰국 이탈리아]] 북부의 [[롬바르디아]], [[베네토]]를 차지하였고, 오스트리아 제국은 이 지역에 왕국을 수립하여 자국의 구성국으로 삼았다. 국왕은 밀라노 공작이자 만토바 공작이었던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2세|프란츠 1세]]가 겸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합스부르크 가문]]의 황제가 국왕을 겸했다. [[페르디난트 1세(오스트리아 제국)|페르디난트 1세]] 통치 시기인 1848년 3월 22일, [[밀라노]]에서 5일간 봉기가 발생한 후 롬바르디아 임시 정부가 선언되었으며, 같은 해 3월 23일 [[베네치아]]에서도 반(反)오스트리아 봉기가 일어나 [[산마르코 공화국]]이 선언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24일에서 25일 동안 쿠스토자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제국군]]과 피에몬테군 사이의 전투가 발생, 여기서 오스트리아군이 승리하면서 8월 6일 밀라노가 오스트리아에게 재점령되었고 동시에 롬바르디아 임시 정부가 해산되었다. 이듬해인 1849년 8월 24일 베네치아도 오스트리아에게 항복하고 산마르코 공화국은 해산되었다. [[프란츠 요제프 1세]] 시기 오스트리아 제국은 [[이탈리아 통일 전쟁|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패하여 1859년 롬바르디아를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내어주고 중부 이탈리아에서 모든 영향력을 잃어버렸다. 롬바르디아를 차지한 사르데냐-피에몬테는 로마를 제외한 중부 이탈리아와 [[양시칠리아 왕국]]까지 병합하여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을 선포했고 그리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연관된 [[이탈리아 통일 전쟁|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베네치아마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면서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은 소멸하였다. == 하위 행정구역 == || 명칭 || 행정부 || || ||<-3> {{{#373a3c ''' 롬바르디아'''(Lombardo, Lombardy)}}} || ||[[밀라노]] 지방 ||[[밀라노]] || ||[[파비아]] 지방 ||[[파비아]] || ||[[베르가모]] 지방 ||[[베르가모]] || ||로디-크레마 지방 ||[[로디]] || ||[[코모]] 지방 ||[[코모]] || ||손드리오 지방 ||손드리오 || ||[[브레시아]] 지방 ||[[브레시아]] || ||[[크레모나]] 지방 ||[[크레모나]] || ||[[만토바]] 지방 ||[[만토바]] || ||<-3> {{{#373a3c '''베네치아'''(Veneto, Venetien)}}} || ||[[베네치아]] 지방||[[베네치아]] || ||로비고 지방 ||로비고 || ||[[파도바]] 지방 ||[[파도바]] || ||[[베로나]] 지방 ||[[베로나]] || ||[[트레비소]] 지방 ||[[트레비소]] || ||프리울리 지방 ||[[우디네]] || ||비첸차 지방 ||비첸차 || ||[[벨루노]] 지방 ||[[벨루노]] || [[분류:오스트리아 제국 구성 제후국]] [[분류:유럽의 왕국]] [[분류:19세기 멸망]] [[분류:이탈리아의 역사]][[분류: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