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를 마시는 새/레콘)] [목차] == 개요 ==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엘시 에더리]]가 [[지멘]]을 잡기 위해 부른 [[레콘]]중 한 명. == 특징 == [[지멘]]과 같은 검은빛 깃털을 가졌으며 '코끼리를 굽는데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 크기의 도끼창을 무기로 사용하고 있다. 황제의 금군이 되겠다는 숙원을 가지고 있다. 금군 [[즈라더]]가(론솔피는 도끼 영감이라고 부른다) 지멘에게 살해당하여 이십이금군의 한자리가 비자, 엘시에게 금군으로 추천받을 것을 약속받고 지멘을 잡는 것에 동참하게 된다. 실력이 아니라 숫자가 차서 퇴짜를 맞는 걸 매우 어처구니없어했다. 하지만 [[치천제]]가 발케네에서 벌인 참상을 목격한 후에는 [[엘시 에더리]]의 금군이 되겠다고 마음을 바꾼다. 어차피 치천제의 금군이 아니라 황제의 금군이 되는거니 상관없다고. 이후에도 엘시의 호위병으로 활약. 성격은 매우 담백하고 직선적이며 머리 아픈 걸 싫어하는 전형적인 레콘형 성격, 가끔 멍청해 보일 때도 있지만 그가 가진 순진성(…)에 의한 것이며, 때로는 제법 날카로운 통찰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엘시가 호출한 레콘들은 다들 나이가 꽤 있는 노련한 인물들[* 준람은 지멘에게 복수하려고 무예를 연마했고, 주테카는 현상금 사냥한다고 여기저기 싸움박질 좀 하고 다녔으며, 론솔피도 금군이 되고 싶었기 때문에 훈련을 계속했다고 한다. 쵸지의 경우엔 같은 레콘을 상대로 한 전투 경험은 거의 없으나, 엘시의 말에 따르면 자질은 상당하다고 한다. 엘시의 호출에 응하지 못한 야리키와 히베리의 경우에도 작중에서 강력한 모습을 여러 번 보여 주었다.]인만큼, 론솔피도 전사로서의 능력이 수준급인 듯하다. [[주테카]]와 좋은 개그 콤비를 이룬다. 술을 퍼마시며 정의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주테카의 연설에 떨리는 목소리로 '난 몰랐어'라며 감동받는다거나, 침입자가 있음을 주변에 알리려 꽥꽥대는 병사를 침묵시키기 위해 냅다 주테카를 집어던져 옆 건물을 박살낸다거나 - 그리고 그 건물이 무너지는 소리 때문에 결과적으로 침입이 들키게 되자 '''"젠장, 건물 좀 조용히 못 부수냐, 주테카!"'''라고 외치거나 하는 등.[* 그리고 뭐 이런 뻔뻔한 레콘이 다 있냐는 [[세레지 파림]]의 눈빛을 아주 시크하게 무시했다.] 그 전에 시모그라쥬에서 늪지대에 갇혔을 때 이레가 물 위를 건너 탈출하는 장면을 보자(수면 아래 10센티미터 정도에 다리가 있었다) 당황한 나머지 ''''물 위에 주테카를 던져보면 어떨까''''라고 잠깐 동안 고민했다. 예상 결과가 너무 끔찍한 나머지 포기했지만. 이래저래 잘 어울리는 레콘 콤비. 대식가인 것으로 보인다. 엘시가 처음 레콘을 소집했을 때 나나본 태수가 식사를 준비하겠다고 하자, 양을 많이 달라고 하며 론솔피에게 "요즘도 예전처럼 드시지요?"라고 한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제국 혼란기에 엘시의 명을 받아 [[사모 페이]]를 구출해 [[하텐그라쥬]]까지 배웅하는 역할을 맡게 되는데, 이때 '사람의 신을 상대할 레콘 3명을 구하는' 사모의 의지를 이어받게 된다. 레콘은 다른 종족과 달리 집단을 만들기 힘들기에 사람의 신이 나타나더라도 그를 대할 방법을 결정하는 세 사람[* 길잡이, 대적자, 요술쟁이]이 모이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에 사모는 이를 우려했고, 레콘들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러 다시 세상에 나와 분쟁을 일으킨다. 물론 [[엘시 에더리]]가 [[지멘]]을 잡기 위해 레콘들을 모았던 걸 보면 사모의 안배와 별개로 레콘의 셋이 모일 수 있었겠지만, 사모의 노력이 있었기에 길잡이,요술쟁이,대적자가 모일수 있었다. 애초에 레콘도 아닌 그녀가 레콘을 위해 이런 안배를 한 점은 현명하고 사려깊은 통찰이었다.[*만약 인간,레콘,도깨비,나가 중 한종족이 완벽해지면 남은 세종족은 절대로 승천할수 없고 그런이유로 네종족이 동시에 완전성을 가져야함을 사모는 알고 있었다.] 이런 사모에게 감동받은 론솔피는 사모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법 책임감있게 행동하는데, 반대로 책임감 때문에 작품이 끝날 때까지 골머리를 썩인다.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어서, 항상 안절부절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첫 번째 대적자 후보인 [[히베리]]가 놀랍도록 침칙한 성격이라 참은 것이지, 다른 레콘이 대적자였다면 답답하다고 론솔피를 두들겨 패도 이상하지 않을 지경이다. 항상 이 일을 망칠 것이라거나, 그녀는 왜 하필 나같은 것한테 부탁하느냐며 땅을 파고, 옆에서 (그녀가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녀의 부탁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격려하면 "네가 그녀를 어떻게 아느냐?"고 또 깜짝 놀란다. 그 외에도 지멘이 이 말을 그저 늙은 나가의 헛소리라고 치부하자 분노해 지멘에게 덤비려고 하고, 심지어 폭우를 맞으면서도 요술쟁이가 누구일지 전전긍긍하느라 '''공수증을 극복했다.''' 결국 자기 숙원이 세상에 영향을 끼치게 만든다는 세 레콘의 특징, 그리고 같은 것을 다르게, 다른 것을 같게 만든다는 요술쟁이의 특징에 대해 설명 들은 히베리가 쵸지[* 나늬 같은 여자와 결혼하겠다 = 세상에 나늬를 선물하겠다 = 다른 종족들도 자기 부인(나늬)를 보도록 하겠다]를 지목하자, 그 동안 그 생각을 떠올리지 못한 것을 자책한다. 심지어 자기 도끼창을 쥘 자격이 없으니 납병례를 치르고 싶다는 충동을 느낄 정도. 미래에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엘시의 금군이 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고 엘시가 황제에 오른다는 암시도 있으니 결국 금군으로 복무하며 숙원을 이루는 장면을 그려볼 수 있을 듯하다. [[분류:피를 마시는 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