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수학자]][[분류:영국의 물리학자]][[분류:이론물리학자]][[분류:노벨물리학상 수상자]][[분류:왕립학회 회원]][[분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세인트 존스 컬리지]][[분류:버크벡 런던 대학교 재직]][[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재직]][[분류:1931년 출생]][[분류:콜체스터 출신 인물]][[분류:영국의 기사]] [include(틀:노벨물리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include(틀:영국의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 ||||
{{{+1 '''로저 펜로즈 경'''}}}[br]'''{{{#cd9f51 Sir Roger Penrose}}}'''[br]'''{{{#white OM}}} {{{#white FRS}}}[*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br]왕립학회 회원] {{{#white HonFInstP}}}'''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ger Penrose.jpg|width=100%]]}}} || ||<-2><#663334> ''' [[노벨물리학상|{{{#white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2> '''출생''' ||[[1931년]] [[8월 8일]] ([age(1931-08-08)]세)||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에식스주]] 콜체스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2 ([[수학 ]] / [[학사|B.Sc.]]) (1952년) }}} ----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s-5.1.13|세인트 존스 컬리지]] {{{-2 ([[수학]] / [[Ph.D.]]) (1957년) }}} || || '''지도 교수''' ||존 A. 토드 (John Arthur Todd) || || '''직업''' ||[[교수]], [[수학자]], [[이론물리학자]]|| || '''분야''' ||수리물리학, 테셀레이션 || || '''경력''' ||前 [[버크벡 런던 대학교]] 부교수 [br]現 [[옥스퍼드 대학교]] 수학연구소 명예교수[* 라우스볼 수학 명예교수][br]現 [[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42|워담 컬리지]] 명예펠로우 [br]現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 #s-5.1.14|세인트 존스 컬리지]] 명예펠로우 [br]現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펠로우 || || '''종교''' ||무종교 ([[불가지론]])[* 2010년 9월, BBC 라디오에서 어떠한 종교도 믿지 않으며 자신을 불가지론자로 여긴다고 말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잉글랜드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학사, 그리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프린스턴 대학교]], [[KCL]], [[시라큐스 대학교]] 등을 거치며 수많은 연구 업적을 쌓았다. 199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라우스볼 수학 석좌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youtube(4YYWUIxGdl4)] == 활동 == 현존하는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이자, 최고의 [[이론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2020년 10월 6일에 독일의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의 [[안드레아 게즈]]와 함께 [[블랙홀]]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수학 외 학문에 대한 지식이 상당한 수준을 넘어섰다. 그 업적 중 하나가 양자 중력 연구에서 자주 쓰이는 스핀 네트워크. 이에 많이 묻힌 편인데, [[스티븐 호킹]]과의 공동 논문 저술과 같은 물리학에 대한 기여가 상당하다. [[스티븐 호킹|호킹]]과의 합작품인 [[특이점]] 정리[* 정확한 논문 제목은 이다.]가 가장 유명하며,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 등에 대한 지식도 상당하다. 그의 스승이 데니스 시아마(Dennis Sciama)[* 국내에선 잘 안 알려져 있는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이분의 저서도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어 있지만 비인기 과목인 [[우주론]]이라 상당히 묻힌 편. 펜로즈를 특히 아꼈다고 한다.]임을 감안하면 당연한 것. 후에 펜로즈는 시아마에게 바치는 책인 <실체에 이르는 길>를 썼다. 다만 이 책의 난이도는 관련학과 학부생에게도 매우 버거울 거다. 단 후술하겠지만 [[뇌과학]]의 경우 다소 유사과학적 주장을 하기도 한다. 1965년에는 천체물리학에 [[위상수학]]을 도입하여 [[블랙홀]]의 이론적 가능성을 증명하기도 했다. 현재는 양자 중력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자신이 개발한 트위스터 이론을 주축으로 연구 중이며, 고리 변수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에 대한 애정도 상당하다. [[초끈이론]]에 반하는 세력에 대한 애정이 강한 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교양서적들도 많이 집필했다. 독특하게도 인간의 의식이 뉴런이 근원이 아닌 미세소관의 [[양자역학]]적인 특징을 가진 기능에 의해 존재한다는, 주류 과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 하는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을 주장한다. 블랙홀의 일종인 커 홀을 연구하면서 상대성 이론에 의거해서 틀 끌림 효과를 예견했다. 자세한 내용은 [[티플러 원통]] 참조. 그가 발견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 쪽매맞춤, 평면 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이 없게 모으는 것이다.]인 '[[펜로즈 타일|펜로즈 타일링]]'은 [[준결정]]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준결정 또한 [[노벨상]]을 수상한 중대한 발견이었다. 우주가 빅뱅의 연속으로 계속 탄생한다는 등각 순환 우주론(Conformal cyclic cosmology)을 지지한다.[* 다만 [[빅 크런치]]로 우주가 수축하지 않고, 영구팽창하면서도 가능하다는 독특한 입장이다.] 여하튼 전반적으로 매우 특이한 이론을 내놓는 인물이다. 과학계의 이단아라 말할수있다. 한국에 번역되어 출판된 펜로즈의 책은 <황제의 새 마음>, <실체에 이르는 길>, <마음의 그림자>, <시간의 순환>, <유행, 신조 그리고 공상>이 있다. 이 책들 모두 전공자가 아니면 시도 자체가 어려울 정도의 난이도가 있으며 수리물리학자답게 많은 수식과 기호가 등장한다. <황제의 새 마음>을 제외하면 모두 승산 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이 외에 공저로 참여한 책들이 다수 있다. == 어록 == >While the theory agrees incredibly with experiment and while it is of profound mathematical beauty, it makes absolutely no sense. >(양자역학) 이론은 실험과 믿을 수 없을 만큼 일치하고 동시에 심오한 수학적 아름다움을 가졌지만, 전혀 말이 되지 않습니다. >---- > 로저 펜로즈 == 기타 == || [[파일:펜로즈 삼각형.svg|width=200]] || || 펜로즈 삼각형. || 대중에게는 [[펜로즈 삼각형]]으로 꽤 알려져 있다. 영화 [[인셉션]]에서 등장하는 펜로즈의 계단을 통해 알려져 있기도 하다.[* 여담으로 해당 부분은 크리스토퍼 놀란 특유의 CG를 최대한 피하는 성향으로 인해 이어지지 않은 계단을 만들었고, 이로인해 계단의 마지막 부분은 걸을때마다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덤으로, 이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의 계단은 현실에서는 분명 성립할 수 없는 조형이지만. 이런 조형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물체는 제작이 가능하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15_3.jpg]] [[파일:external/www.geocities.jp/25_3.jpg]] 물론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착시]]를 이용한 트릭이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16_1.jpg]] [[파일:external/www.geocities.jp/29_2.jpg]] 노벨 물리학상 수상 발표 당시 샤워 중이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925324?sid=104|#]] == 둘러보기 == [include(틀:블랙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