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2리그)] ||<-2> [[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height=270]] || ||<-2><#c00> '''{{{#fff {{{+1 로아소 구마모토}}}}}}''' || ||<-2><#000> '''{{{#fff {{{+1 Roasso Kumamoto}}}}}}''' || || '''정식 명칭''' ||ロアッソ熊本 || || '''라이센스''' ||J1 || || '''창단''' ||[[2005년|{{{#000,#ddd 2005년}}}]] [[2월 1일|{{{#000,#ddd 2월 1일}}}]] '''^^([age(2005-02-01)]주년)^^''' || || '''구단 형태''' ||시민구단 || || '''소속 리그''' ||[[J2리그|[[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width=70]]]] || || '''연고지'''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 '''홈구장'''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32,000명 수용) || || '''회장''' ||나가타 모토무 || || '''감독''' ||오키 타케시 || || '''키트 스폰서''' ||[[푸마(브랜드)|푸마]] || || '''공식 웹사이트''' ||[[http://roasso-k.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 [[https://www.facebook.com/418631048218470|[[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oassoofficial?ref_src=twsrc%5Etfw%7Ctwcamp%5Eembeddedtimeline%7Ctwterm%5Escreen-name%3Aroassoofficial%7Ctwcon%5Es2,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q3YBwctnz5IGUty-VNlo9g/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규슈 제2의 현 [[구마모토현]]에 속한 클럽. [[아소산]]이 있는 불의나라 구마모토의 이미지에 맞게 붉은색 유니폼을 사용한다. [[파일:club_img36.jpg]] 2018 로아소 구마모토의 유니폼. 팀의 명칭은 이탈리아어로 '붉은색'을 뜻하는 '로쏘(ROSSO)'라는 단어와 이탈리아어로 '에이스'를 뜻하는 '아소(ASSO)'를 합쳐서 지었다. 팀의 공식 마스코트는 말을 모티브로한 '로앗소군'이지만 구마모토의 마스코트인 '[[쿠마몬]]'도 가끔 등장한다. [[파일:마스1.jpg]] [[파일:마스2.jpg]] == 역사 == === J리그 이전 === 1969년 만들어진 [[NTT|일본전신전화공사]] 구마모토 축구부를 모태로 2002년에는 알루 구마모토라는 명칭의 클럽팀이 되었다. 2004년 9월 구마모토에 프로축구팀 창단을 추진하는 운동본부가 만들어졌고 2005년 로소 구마모토가 발족하게 된다. 2006년에 [[J리그]] 준가맹이 승인되고 2007년 [[JFL]]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08년에 정식으로 가맹이 승인되고 [[J2리그]]에 합류한다. 2008년에 상표권 문제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된다. 2008년에 클럽의 명칭, 엠블럼, 유니폼 등이 모두 변경되어서 J리그에서는 새로 창단된 팀으로 간주하지만 [[천황배]]에서는 일본전신전화공사 시절부터 역사를 포함시킨다. === J2리그 === 2010시즌 7위가 최고 성적이며, 대체로 10위권 밖을 전전하는 중하위권 팀이다. 2017시즌에는 22팀중 21위를 차지하며 강등이 되었어야했지만, [[J3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 블라우블릿츠 아키타가 J2리그 라이센스를 따지 못해서 J3리그 2위팀인 [[도치기 SC]]만 승격하면서 강등을 면하게 된다. 2018시즌은 강등권에서 빌빌대던 전 시즌과 다르게 초반에 잘나가며 플레이오프권 순위인 6위까지 오르며 기대감을 드높였다. 그러나 역시나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제 모습을 찾으며]] 22팀 중 21위까지 추락했고 결국 최종 라운드를 21위로 마쳤다. J3리그에서 J2 라이센스가 있는 [[FC 류큐]]가 승격을 확정지으며 최하위 사누키는 강등이 확정되었지만 구마모토의 강등은 확정되지 않았는데, 11월 25일 J2 라이센스를 보유한 [[가고시마 유나이티드]]의 2위가 확정되면서 결국 강등되고만다. === J3리그 === 같이 강등되었던 [[카마타마레 사누키]]가 강등되고도 잘나갔던 반면에 초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진했다. 그래도 5월 이후로 다른 팀이 되었고 선두 탈환에도 성공하면서 승격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 후 승격권 2자리를 노리고 4개 팀([[자스파구사츠 군마|군마]], 후지에다, [[기라반츠 기타큐슈|기타큐슈]], 구마모토)이 승점 3점 이내에서 박터지는 싸움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7월 이후로 부진을 겪으면서 승격권인 2위권에서 점점 멀어져갔고 4위까지 떨어지면서 오히려 도야마와 돗토리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으나 다행히 3경기를 앞둔 31라운드에서 1위 [[기라반츠 기타큐슈]]를 제외한 2위, 3위, 5위, 6위 팀이 모두 패배를 기록했고 구마모토는 이와테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2위 후지에다와의 승점차를 3점으로 좁혔고 5-6위와의 승점차를 5점으로 벌렸다. 32라운드에서 사가미하라에 패하면서 2위 후지에다와의 승점차가 6점까지 벌어졌고 승격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득실차가 +6밖에 안나는지라 2경기를 모두 대승하고, 후지에다가 대량실점하면서 전패, 군마가 2무 이하의 성적을 거둬야 2위 확보가 가능하다. 한 경기를 남기고 2위인 군마와의 승점차가 3점이지만, 17골의 골득실차가 나기 때문에 사실상 한 시즌만의 승격은 좌절됐다. 2020시즌은 11라운드 까지 진행된 현재 7승 2무 2패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1년에는 마지막 기후와의 경기를 이기며 우승, 3년만에 2부리그로 복귀했다. === J2리그 복귀 === 2022시즌 J2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회전에서 5위인 [[오이타 트리니타]]와 맞붙어 2:2로 비겼으나 오이타보다 순위가 높아서 2회전에 진출했고 2회전에서 6위 [[몬테디오 야마가타]]와 맞붙어 3:3로 비겼으나 야마가타보다 순위가 높아서 최종전에 진출했다. 최종전에서 J1리그 16위인 [[교토 상가 FC]]와 맞붙었고 승리시 1부 승격이 가능했지만 아쉽게 1:1로 비기면서 그대로 2부리그에 잔류. 승격 도전은 다음 시즌으로 미루게 되었다. == 우승 기록 == * 리그 * [[J3리그]] : 1회 * 2021 * 큐슈 축구 리그 : 1회 * 2005 (제33회) * 컵 대회 * NHK 트로피 구마모토 현 축구 선수권 대회 (겸 천황배 구마모토 현 예선) : 3회 * 2005 (제9회), 2006 (제10회), 2007 (제11회) *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 1회 * 2005 (제41회) * 구마모토 현 챔피언쉽 축구 대회 (아델 자동차 컵) : 1회 * 2005 (제1회) [[https://ja.wikipedia.org/wiki/%E3%83%AD%E3%82%A2%E3%83%83%E3%82%BD%E7%86%8A%E6%9C%AC|출처]] == 주요 선수 == * [[안드라지 안투니스 안데르송]] == 여담 == * 2008년부터 10년간 무려 15명의 한국인 선수가 거쳐갔던 팀이지만 크게 유명한 선수는 없다. 그나마 구마모토를 거쳐 [[K리그]]에서도 뛰고 있는 [[조성진(축구선수)|조성진]]과 [[권한진]]이 좀 알려진 수준 (...) 2018시즌에는 일본 태생의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안병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북한 국적을 인정하지 않기에 엄밀히 따지면 [[조선적]]이다. 이후 [[수원 FC]]에 입단했을 때는 [[안영학]]과 [[정대세]]의 전례를 따라(대한민국 헌법상 북한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기 않기 때문에 북한 국적일수가 없다.) 한국 선수로 분류.]이 에이스 노릇을 했었다. 한국 선수로는 [[영남대학교]] 출신 [[임진우(축구선수)|임진우]]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 양상준이 2017년부터 뛰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2명 다 주전은 아니고, 그나마도 2명 다 [[https://twitter.com/Asia_Fball_News/status/1065637970261106688|2018년을 마지막으로 팀과 결별]]했다. 이들 중 임진우는 2019년 [[K리그 2]]의 [[광주 FC]]에 입단하면서 K리그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 홈 경기장인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의 정식 명칭은 구마모토 현민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이지만 구마모토시의 기업 '에가오'사가 구장의 명명권을 사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2017시즌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홈 경기장 보수 관계로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도쿄 베르디]]와의 승격 플레이오프를 이곳에서 치뤘다. * 저조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평균관중은 6500명대를 찍으며 인기는 나름 있는 편이다. [[사간 도스]]는 규슈 지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팀이고 [[아비스파 후쿠오카]]나 [[오이타 트리니타]]역시 1부리그를 들락날락하면서 2부리그에서도 8~9천대 평균관중을 찍는 등 주위에 인기 팀이 많아서 조금 묻히는 편. 이제 3부리그로 강등되었으니 인기를 끌 요소는 더욱 부족해졌다. [[분류:로아소 구마모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