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심리학자]] [목차] == 개요 == '''로버트 플루치크''' '''Robert Plutchik''' [[1927년]] [[10월 21일]] ~ [[2006년]] [[4월 29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약학대학에 명예교수,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부교수 역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감정]]에 대한 연구, [[자살]]과 [[폭력]]에 대한 연구, [[심리치료]]에 대한 연구 등을 하였다. 대표적인 연구성과로는 '로버트 플루치크의 감정의 바퀴'가 있다. == 감정 이론 == 로버트 플루치크는 감정에 대해 심리진화론적 분류를 주장했다. 플루치크는 분노, 공포, 슬픔, 혐오, 놀람, 기대, 신뢰, 기쁨이라는 8가지 기본 감정들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8가지 감정들이 생명체가 하는 행동의 방아쇠가 된다고 주장했다. 공포라는 감정에 의해 무대에 나서면 떨린다던가 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플루치크의 기본 감정에 대한 심리진화론은 10가지 상정을 가지고 있다. >1. 감정의 개념은 모든 심리진화론적 단계에 적용되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 적용된다. >2. 감정들은 진화의 역사가 있고 각 종들은 각각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진화시켜왔다. >3. 감정들은 각 생물들이 환경에 의해 주어진 중요한 생존 문제들을 다루는 것에 적응할 수 있게 해주었다. >4. 각각의 종들은 저마다 표현 방법이 다르지만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일반적인 패턴 혹은 원형(prototype)의 패턴이 있다. >5. 적은 수의 기본적이거나 주요하거나 원형인 감정들이 있다. >6. 다른 감정들은 모두 혼합되거나 파생된 상태이다. 그 감정들은 주요 감정들의 조합, 혼합, 혹은 복합으로 발생한다. >7. 주요 감정들은 가상적인 구성(hypothetical constructs)이거나 이상화된 상태(idealized states)인데, 그 특성이나 특질은 다양한 종류의 증거들로만 암시될 수 있다. >8. 주요 감정들은 양극의 쌍[* 기쁨과 슬픔, 분노와 공포 등]들로 개념화될 수 있다 >9. 모든 감정들은 다른 감정들과의 유사성의 정도가 각기 다르다. >10. 각 감정들에는 각양각색의 강렬함의 정도와 각성(arousal)의 수준이 존재한다. == 플루치크의 감정의 바퀴 == [[파일:Plutchik.png]] '''Plutchik's Wheel of Emotions''' 인간의 기본적인 8가지 감정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바퀴. 색깔이 진해질수록 더 강한 감정, 연해질수록 더 순한 감정을 나타낸다. 이 8가지 감정들이 섞여 우리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들이 나온다는 가설이다. 비슷한 이론으로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이 6개[* 기쁨, 슬픔, 분노, 공포, 놀람, 혐오]라는 가설로, 영화 [[인사이드 아웃]]의 모티브가 된 가설이기도 하다. === 기본 감정 === '''Primary Emotion''' 바퀴의 감정들은 모두 서로 반대되는 4쌍의 감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 기쁨과 슬픔, 분노와 공포, 기대와 놀람, 신뢰와 혐오이다. 각 8가지 감정들이 생겨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분노(anger) : 문제에 맞서 싸우기 위해 공포(fear) :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기대(anticipation) : 무언가를 소망하거나 계획하기 위해 놀람(surprise) : 새로운 것에 집중하기 위해 기쁨(joy) : 무엇이 중요한 지 기억하기 위해 슬픔(sadness) : 사랑하는 것과 이어지기 위해 신뢰(trust) : 도와주는 사람과 이어지기 위해 혐오(disgust) : 해로운 것을 거부하기 위해 감정들은 '자극을 받음', '인지적 평가', '주관적인 반응(감정)', '행동적인 반응', '작용'의 순서로 발현한다. 각 감정들에 대입하면 이렇다. || '''자극을 받음''' || '''인지적 평가''' || '''주관적인 반응''' || '''행동적인 반응''' || '''작용''' || || 소중한 것을 얻음 || '...가지자' || 기쁨 || 유지하거나 반복 || 그것을 얻음 || || 자신의 그룹의 소속원 || '...친구다' || 신뢰 || 훈련 || 상호지원 || || 위협 || '...위험하다' || 공포 || 탈출 || 안전함 || || 예상 밖의 사건 || '...뭐야 이건?' || 놀람 || 멈춤 || 적응할 시간을 가짐 || || 소중한 것을 잃음 || '...버려졌어' || 슬픔 || 울음 || 잃어버린 것을 다시 얻음 || || 불쾌한 것 || '...독이다' || 혐오 || 구토 || 독을 내쫓음 || || 방해물 || '...적이다' || 분노 || 공격 || 장애물을 파괴 || || 새로운 지역 || '...조사하자' || 기대 || 발견 || 지역에 대한 지식 || 한편, 이 8가지 감정들은 강도에 따라 새로운 감정들이 만들어지기도 하며 2개 이상의 서로다른 감정이 만나 새로운 감정을 만들기도 한다. 강도에 따라 생겨나는 감정들은 모두 다음과 같다. || '''순한 감정''' || '''기본 감정''' || '''강한 감정''' || '''강한 감정''' || '''기본 감정''' || '''순한 감정''' || || 평안 || 기쁨 || 황홀 || 비탄[* Grief. 증오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 슬픔 || 수심 || || 승인 || 신뢰 || 존경 || 증오 || 혐오[* Disgust. 역자에 따라 역겨움, 메스꺼움 등으로 번역하기도 하며 증오(Loathing) 칸에 혐오를 넣기도 한다.] || 지루함 || || 불안 || 공포 || 극심한 공포 || 격노 || 분노 || 짜증 || || 신경쓰임[* Distraction. 집중을 방해하는 것. 역자에 따라 번역이 갈리는데, 방해됨, 혼란, 부주의, 방심 등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 놀람 || 깜짝 놀람 || 경계 || 기대 || 관심 || 로버트 플루치크는 위 감정들이 생존본능에 의해 발현된다고 생각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생존 본능''' || '''발현 이유''' || '''발현 감정''' || || 보호 || 철수와 후퇴 || 공포, 극심한 공포 || || 파괴 || 필요의 충족을 방해하는 것을 제거함 || 분노, 격노 || || 결합 || 영양분을 섭취함 || 수용 || || 거부 || 해로운 물질에 대한 회피반응 || 혐오 || || 번식 || 접근, 계약, 유전자 교환[* Approach, contract, genetic exchanges.] || 기쁨, 즐거움 || || 복구 || 영양분을 제공하는 것을 잃음에 대한 반작용 || 슬픔, 비탄 || || 모험 || 환경을 조사함 || 호기심, 장난 || || 지향 || 낯선 대상과 만난 것에 대한 반작용 || 놀람 || 또,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2개 혹은 그 이상의 기본 감정들이 서로 합쳐져 새로운 감정을 만든다. 2개의 감정이 섞인 것을 다이애드(dyad), 3개의 감정이 섞인 것을 트라이애드(triad)라고 하며, 각각 24개의 다이애드와 32개의 트라이애드가 있다. 이 문서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이중감정'과 '삼중감정'이라고 쓰겠다.[* 삼중감정은 자료를 찾기 못해 공백으로 남겨둔다.] 한 감정은 다른 모든 감정들과 모두 새로운 감정을 만들 수 있지만 정반대의 감정들과는 결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기쁨과 슬픔은 정반대의 감정이므로 서로간의 혼합이 불가능하다. === 1차 이중감정 === '''Primary dyad''' 이중감정(다이애드)들 중 자주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이다. 바퀴그림에서 서로 인접한 두 기본 감정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이다. || '''감정 이름''' || '''발생과정''' || || [[사랑]] || 기쁨 + 신뢰 || || [[순종]](굴복) || 신뢰 + 공포 || || [[경외]] || 공포 + 놀람 || || [[반감]][* Disapproval. 무언가에 대해 반대하거나 못마땅해 하는 것.] || 놀람 + 슬픔 || || 자책(회한) || 슬픔 + 혐오 || || [[경멸]] || 혐오 + 분노 || || 공격성[* Aggressiveness.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한 공격적인 감정] || 분노 + 기대 || || 낙관 || 기대 + 기쁨 || === 2차 이중감정 === '''Secondary dyad''' 이중감정들 중 가끔씩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이다. 바퀴그림에서 꽃잎 하나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기본 감정들의 결합이다. || '''감정 이름''' || '''발생과정''' || || [[죄책감]] || 기쁨 + 공포 || || [[절망]] || 공포 + 슬픔 || || 선망(부러움) || 슬픔 + 분노 || || [[자부심]] || 분노 + 기쁨 || || [[호기심]] || 신뢰 + 놀람 || || [[불신]] || 놀람 + 혐오 || || [[시니키즘(냉소)]][* 쌀쌀한 태도 혹은 비웃음.] || 혐오 + 기대 || || [[희망]] || 기대 + 신뢰 || === 3차 이중감정 === '''Tertiary dyad''' 이중감정들 중 아주 가끔씩 느낄 수 있다는 감정이다. 두 개의 꽃잎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있는 기본 감정들의 결합이다. || '''감정 이름''' || '''발생과정''' || || 매우 [[즐거움]](큰 기쁨) || 기쁨 + 놀람 || || 격분[* Outrage. 몹시 화나고 쇼크받은 상태.] || 놀람 + 분노 || || [[우월감]] || 분노 + 신뢰 || || 감상적임 || 신뢰 + 슬픔 || || [[페시미즘]](비관) || 슬픔 + 기대 || || 염려 || 기대 + 공포 || || [[수치심]] || 공포 + 혐오 || || 불건전한 흥미[* Morbidness. [[죽음]]과 같은 [[영 좋지 않은]] 것에 대한 강력하고 병적인 흥미. 마땅한 단어를 찾기 못해 이렇게 적는다.] || 혐오 + 기쁨 || === 반대되는 감정들의 결합 === '''Opposite Combinations''' 아예 반대 위치에 존재하는 감정들의 결합이다. 그런 만큼 굉장히 애매하고 복잡한 감정들이 여기에 속한다. || '''감정 이름''' || '''발생과정''' || || [[웃프다|씁쓸함]] || 기쁨 + 슬픔 || || [[애증]] || 신뢰 + 혐오 || || 얼어붙음 || 공포 + 분노 || || 혼란스러움 || 놀람 + 기대 || [[분류: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