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배즈 루어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파일:로미오+줄리엣 로고.png|width=90]] {{{#ffffff (1996)}}}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로미오+줄리엣 포스터.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재개봉 한국 포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로미오+줄리엣 재개봉 포스터 Kr.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재개봉 미국 포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로미오+줄리엣 재개봉 포스터 En.jpg|width=100%]]}}}}}}}}} || || {{{#ffffff '''원작'''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 || {{{#ffffff '''장르''' }}} ||[[로맨스]], [[드라마]], [[범죄]] || || {{{#ffffff '''감독''' }}} ||[[배즈 루어먼]] || || {{{#ffffff '''출연'''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br][[클레어 데인즈]] ,,외,, || || {{{#ffffff '''각본''' }}} ||크레이그 피어스[br]배즈 루어먼 || || {{{#ffffff '''촬영''' }}} ||도널드 M. 맥알파인 || || {{{#ffffff '''편집''' }}} ||질 빌콕 || || {{{#ffffff '''음악''' }}} ||넬리 후퍼[br]마리우스 드 브리스[br]크레이그 암스트롱 || || {{{#ffffff '''배급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폭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20세기 폭스 코리아]] / [[프레인TPC|프레인글로벌]]^^[*재개봉]^^ || || {{{#ffffff '''제작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바즈마르크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폭스 || || {{{#ffffff '''수입사''' }}} ||20세기 폭스 코리아 / [[조이앤컨텐츠그룹]]^^[*재개봉]^^ || || {{{#ffffff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1996년]] [[11월 1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1996년]] [[12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6년]] [[12월 28일]] / [[2014년]] [[3월 27일]]^^[*재개봉]^^ || || {{{#ffffff '''스트리밍''' }}}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 || || {{{#ffffff '''상영 시간''' }}} ||120분 || || {{{#ffffff '''제작비''' }}} ||'''$1,450,0000'''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 ||'''$147,554,998'''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8]]]]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클레어 데인즈]] 주연의 [[1996년]] 영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20세기로 가져와 [[현대화]]시켰다. 의상, 소품 등 배경은 20세기이지만 대사는 원작의 대사를 그대로 사용한 점이 독특하다. 배급은 [[20세기 폭스]]. 제69회 [[아카데미 시상식]] 미술상 후보작이다. == 상세 == 연출과 각본은 화려한 영화 잘 찍기로 유명한 [[호주]] 출신의 [[배즈 루어먼]] 감독.[* 이후에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위대한 개츠비(2013)|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찍게 된다.] 이 [[MTV]] 스타일로 빠르고 감각적으로 [[뮤직비디오]] 찍듯이 찍었다. 1,450만 달러로 만들어 전세계에서 1억 4,8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도 성공했다. 제목이 로미오와 줄리엣이 아니라 '로미오+줄리엣'이다. 그런데 다들 그냥 편의상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부르는 듯. 사실 한국 개봉명이 로미오와 줄리엣이었기에 원제가 무엇이었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 서양쪽에서는 손글씨로 쓸때 곡선이 많은 & 보다 +를 쓰는 케이스가 많다. 따라서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번역한게 맞고 실제로 서양쪽에서도 쓸때는 원본의 스타일라이즈한 타이틀을 반영하기 위해 Romeo+Juliet 으로 쓰지만 읽을땐 '로미오 앤드 줄리엣'으로 읽지 '로미오 플러스 줄리엣'으로 읽지 않는다.]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과 함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모 [[리즈 시절]] 작품이라 아직도 남친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모를 거론할때 항상 등장하는 영화. 현대에는 레너드 위팅-[[올리비아 허시]]의 [[로미오와 줄리엣]] 영화와 함께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영화판이다. 1997년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QNbf8aBPs4)]}}} || == 출연진 == * [[로미오]] 역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KBS]], [[디즈니+]])) * [[줄리엣]] 역 - [[클레어 데인즈]] ([[이선(성우)|이선]] ([[KBS]]) / [[최덕희]] ([[디즈니+]])) * 테드 몬테규 역 - [[브라이언 데니히]] ([[탁원제]]) * 티볼트 역 - [[존 레귀자모]] ([[김익태]]) * 로렌스 역 - [[피트 포스틀스웨이트]] ([[김병관(성우)|김병관]]) * 풀젠치오 캐퓰릿 역 - [[폴 소르비노]] ([[황원]]) * 글로리아 캐퓰릿 역 - 다이안 베노라 * 머큐시오 역 - 해롤드 페리뉴[* [[매트릭스 시리즈]]에서 [[링크#s-4.2.1]] 역으로 나왔다. 로스트 마이클역 ] ([[김소형(성우)|김소형]]) * 벤볼리오 역 - 대쉬 미혹 ([[김관진(성우)|김관진]]) * 데이브 패리스 역 - [[폴 러드]] ([[김민석(성우)|김민석]]) * 캐롤린 몬테규 역 - 크리스티나 피클스 ([[이경자]]) * 프린스 역 - 본디 커티스 홀 ([[이호인(성우)|이호인]]) * 간호사 역 - 미리암 마고리스[* [[해리 포터 시리즈]]의 [[포모나 스프라우트]] 교수 연기를 했다.] ([[정민희]]) == 원작과 다른 점 == * 배경을 20세기로 가져오다 보니 검이 총으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대결이 칼부림 대신 총격전으로 변신했다. 하지만 총기의 이름이 Sword라 대사는 그대로다.[* 예를 들어 "내 장검(Long Sword) 가져와"라는 대사는 그대로인데, 장총에 Long Sword라고 새겨져 있다. 뻔히 총을 들었는데 칼 버려!(Sword down!)라고 대사를 친다.] * 배경이 '베로나'이긴 한데 '베로나 비치'라는 미국 해안도시로 바뀌었다. * 몬테규, 캐퓰릿 두 가문은 도시를 먹여살리는 거대 기업으로 변하였다. * 로미오의 친구 머큐시오는 흑인으로 바뀌었다. 원작에서 머큐시오는 영주의 친척이나 영화에선 영주에 해당되는 경찰서장이 흑인일 뿐 둘이 친척이란 얘기는 없다. 물론 원작 배경은 이탈리아니, 다 백인이다.[* 셰익스피어 당시 이탈리아에도 흑인이 있긴 했지만 귀족 집안 자제일 리가 없다.] * 티볼트 또한 라틴계(콜롬비아 혈통) 배우인 [[존 레귀자모]]가 연기했다. * 로미오가 유배 간 곳이 교외의 황량한 사막 외딴 집이다. 영화 끝난 뒤 나오는 자막을 보면 멕시코 정부의 협력을 받아 사막 지대에서 찍은 것 같다. * 줄리엣은 칼 대신 총으로 자결한다. 그래서 '내 몸이 너의 칼집이 될 것'이라는 대사가 생략되었는데, 이 때문에 죽는 순간의 비중이 로미오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로미오는 죽기 직전에 줄리엣이 살아난 걸 보고 키스하며 마지막 말까지 하고 죽는 것에 비하면 더더욱... == 여담 == * 걸그룹 [[TWICE]]의 미니 5집 앨범 타이틀곡 [[What is Love?(TWICE 노래)|What is Love?]]의 [[https://www.youtube.com/watch?v=i0p1bmr0EmE|뮤직비디오]]에서 멤버 [[정연]]과 [[쯔위]]가 로미오+줄리엣의 수조씬을 패러디했다. * [[라디오헤드]]의 [[톰 요크]]가 이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 삽입될 노래를 만들어달라는 요청을 받고 [[Exit Music (For a Film)]]을 작곡했다. 다만 톰의 요청으로 OST 앨범에는 미수록됐다. [[분류:배즈 루어먼]][[분류:20세기 스튜디오]][[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분류:1996년 영화]][[분류:현대화 작품]][[분류:로미오와 줄리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