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매드 맥스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rd1=매드 맥스 2, other2=NWA와 WWF의 태그팀, rd2=로드 워리어즈, other3=한국의 웹소설 작가, rd3=로드워리어)]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워리어(유희왕))]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ロード・ウォリア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로드 워리어, 일어판 명칭=ロード・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Road Warrior, 레벨=8,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3000, 수비력=1500, 소재="로드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2 이하의 전사족 / 기계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하나된 희망이 새로운 지평으로 인도한다! 밝은 빛의 길이 돼라! 싱크로 소환! 돌진하라! 로드 워리어!''' >'''集いし希望が新たな地平へいざなう。光差す道となれ!シンクロ召喚!駆け抜けろ、ロード・ウォリアー!''' [[스타터 덱 2009]]의 커버 카드로 등장한 카드. 워리어 몬스터 중 최고 공격력이다.[* 워리어 몬스터 중 최고 레벨이란 타이틀은 [[스타더스트 워리어]]에게 넘어갔지만, 공격력은 서로 같다.] 하지만 로드 싱크론의 효과가 별로고, 튜너 이외에 싱크로에 필요한 몬스터의 매수에까지 제한이 걸려있어 소환하기 힘든 몬스터. 전용 덱을 짜야 한다. 이 카드를 쓴다면 덱 안의 몬스터들의 평균 레벨은 자연히 낮아지기 마련일 것이다. 그 점이 오히려 저레벨 몬스터를 지원하는 [[정크 싱크론]]이나 [[정크 워리어]]와 시너지를 내긴 한다. 특수 소환 효과의 경우 OCG화되면서 전사족 / 기계족 제약이 붙었는데, 이는 애니에서 효과로 [[원샷 부스터]]와 [[스피드 워리어]]를 소환한 걸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덱에서 [[도플 워리어]]나 [[볼트 고슴도치]], [[데블 프랑켄]] 등 유용한 몬스터들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싱크로 튜너들이 늘어나면서 이 카드의 활용도가 급격히 상승했는데, [[제트 싱크론]]을 특수 소환한 뒤 [[레벨 스틸러]]와 조합해 [[포뮬러 싱크론]]→[[해마(유희왕)|해마]]→[[파동룡 포논 드래곤]]→[[액셀 싱크론]] 순으로 싱크로한 뒤, 액셀 싱크론으로 레벨을 조정해 거의 모든 레벨대의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거기다 제트 싱크론을 소재로 썼으니 정크 싱크론을 서치해오든, 패를 버리고 소환시켜 그턴에 추가로 전개를 더 하든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었다. 이 유연성이 엄청나서 로드 워리어 소환→최소 [[슈팅 퀘이사 드래곤]] or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 [[나츄르 엑스트리오]]가 가능했다. 다만 이렇게 전용 덱을 짜면 엑스트라 덱의 소모가 극심해지며, 그마저도 레벨 스틸러가 금지가 되며 못 쓰게 됐다.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오프닝에서도 출현하고, [[시공을 초월한 우정]] 개봉 당시 유세이의 인트로에서 아이돌 카드 대신 출현하는 등 주력 카드 중 하나로서 밀어주었지만, 본편 출현 횟수는 '''겨우 두 번밖에 안 된다.''' 아래가 작중 활약상. [[유희왕 5D's]] 45화에서 [[다크 시그너]] [[루드거]]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했다. 로드 싱크론+[[튜닝 서포터]]+[[볼트 고슴도치]]로 싱크로 소환해 [[대저의 아라크네]]를 공격했으나 파괴하진 못했고, 필드 마법 [[스파이더(유희왕)|스파이더 웹]]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됐다.[* 여기서 다음 턴 대저의 아라크네로 로드 워리어를 장착하고 직접 공격하면 죽음의 댄스를 추게 될 거란 루드거의 말에, 유세이는 '''[[니코니코 유희왕 사전|댄스는... 못 추는데 (ダンスは… 苦手だな)]]'''라고 응수한다.] 직후 로드 워리어의 효과로 [[원샷 부스터]]를 특수 소환해 대저의 아라크네를 파괴했다. 이어진 46화에선 효과로 [[스피드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고 [[어드밴스 드로우]]의 코스트로 릴리스됐다. 여담으로 북미 더빙판에서는 최초 등장시 로드 파이터라는 명칭으로 첫 등장했다. 이후 정식으로 TCG화 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 유희왕 5D's 48화부터 일부가 수정된 오프닝에서 [[터릿 워리어]]를 밀치고 [[지박신]] Uru를 상대로 전투하는 모습이 나온다. 몬스터 효과가 몬스터 소환 효과임에도 왠지 연출상 공격 같아 보인다. [[고스트(유희왕 5D's)|고스트]]와의 배틀 로얄에 [[퀵 싱크론]]+[[볼트 고슴도치]]+[[리드 버터플라이]]로 싱크로 소환, 자신의 효과로 [[스피드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고 고스트를 공격했으나, 고스트는 오히려 [[A·O·J]] 코즈믹 클로저 3장을 특수 소환해 [[미조구치]]를 다굴해 패배시켰다. 로드 워리어가 빛 속성인 게 화근이었다. 공격명은 '''라이트닝 클로(Lightning Claw)'''.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타터 덱 2009]] || YSD4-KR04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후도 유세이|유성]] 편2- || DP09-KR015 || [[레어]] || 한국 || || || [[스타터 덱 2009|STARTER DECK 2009]] || YSD4-JP04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후도 유세이|遊星]]編2- || DP09-JP015 || [[레어]] || 일본 || ||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5 Vol.1 || AT09-JP001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스타터 덱 2009|Starter Deck 2009]] || 5DS2-EN04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후도 유세이|Yusei]] 2 || DP09-EN015 ||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35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로드 싱크론]] ===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