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VEL-5]][[분류:PlayStation 2 게임]][[분류:ARPG]][[분류:일본 게임]][[분류:2005년 게임]] ||<-2> {{{+1 '''로그 갤럭시'''}}}[br]'''ローグギャラクシ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T9T3Y0T9L.jpg|width=100%]]}}} || || '''개발''' ||[[레벨 파이브]] || || '''유통'''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 || '''플랫폼''' ||[[PS2|[[파일:PlayStation 2 로고.svg|height=16]]]] || || '''ESD'''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 '''장르''' ||[[ARPG]] || || '''출시'''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2005년]] [[12월 8일]][br][[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0]] [[2007년]] [[1월 30일]]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 12세 이용가}}}''']] || || '''해외 등급''' ||[[CERO|[[파일:CERO A.svg|width=16]] '''{{{#000000 CERO A}}}''']][br][[ESRB|[[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 ESRB T}}}''']] || || '''관련 사이트''' ||[[https://www.level5.co.jp/products/intro/roguegalaxy/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벨 파이브]]에서 제작한 [[PS2]]용 [[RPG]] 게임. 이미 [[다크 클라우드2]]나 [[드래곤 퀘스트 8]] 등으로 검증된 제작능력을 자랑하던 레벨파이브의 신작 게임이었기에, 제작발표 당시만 해도 PS2 진영의 킬러 타이틀이자 [[테일즈 오브 디 어비스]], [[킹덤 하츠 II]]와 함께 2005년 연말 JRPG 대작 BIG 3 타이틀로서 많은 기대를 모았다. == 상세 == 당시 일본 RPG로서는 매우 드물게 필드/마을/전투화면의 구분이 없는 심리스 필드를 구현하고, 리얼타임에 가까운 전투 시스템을 채택하는 등의 참신한 시도와 PS2의 한계에 가깝다고 평가받을 정도의 미려한 그래픽으로 호평을 얻었다. 또한 [[주인공]] 제스터 역에 [[타마키 히로시]], [[히로인]] 키살라 역에 [[우에토 아야]] 등의 유명 배우들을 성우로 기용하여 화제를 모았다. 레벨 파이브에서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 맞먹는 대작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고, 발매 3개월 전부터 TV에서 광고를 내보내는 등 소니 측의 기대도 매우 컸던 듯 하다. 홍보비로만 3억엔이 들어갔다고 한다. 무엇보다 레벨 파이브에서 이전에 하청 개발하였던 [[다크 클라우드2]]와 [[드래곤 퀘스트 8]]이 흥행과 비평 양쪽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테일즈 오브 디 어비스]]와 [[킹덤 하츠 II]]보다도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발매 전 [[패미통]] 크로스 리뷰에서도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001/read/85396|37점]]이라는 준수한 평가를 얻으면서 또 하나의 대작 게임이 탄생하는가 했으나... === KOTY === '''2005년도 쿠소게 오브 더 이어([[KOTY]]) 대상''' 그러나 로그 갤럭시는 출시 이전 받았던 엄청난 기대감에 반비례하게 출시 이후는 매우 좋지 않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규모만 클 뿐 지나치게 단조롭고 긴 던전 및 필드 구성, 후반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상승하는 난이도, 불편하고 복잡한 게임 시스템 등으로 인해 비난이 쇄도했다. 특히 후반부에 등장하는 "글라디우스 타워"는 게임을 플레이해본 이들이라면 누구나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 악명높은 던전이다. 시나리오 측면에서도 "어디서 많이 본 듯한 내용의 짜깁기"라는 평가가 다수다. 특히 겜덕후으로 유명한 소설가 [[미야베 미유키]]가 [[http://www.osawa-office.co.jp/old/weekly/back/237.html|자신의 홈페이지]]에서 대놓고 이 게임의 시나리오를 비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히노 아키히로]]의 안티가 급증하기 시작한 것도 대충 이쯤부터다. 그리고 역시나 [[연예인 더빙|배우 출신 성우]]들의 [[국어책 읽기]] 논란은 이 게임 또한 피해갈 수 없었다. 이러한 게임 내적인 문제에 더해서 넷상에서 [[플빠|GK]]로 추측되는 유저들이 대량의 선전 멘트를 투하하는 등의 [[어그로]]를 끄는 통에 게임의 평가가 수직으로 내려가, [[2ch]] 게임판에서 KOTY 대상으로 선정되는 굴욕을 당했다. 일본 내 누계 판매량은 30만장. 이것도 적은 판매량은 아니지만 홍보비로만 3억엔을 들이부은 게임의 성적이 이래서야... 거기에 비슷한 시기에 발매하여 2005년 12월 PS2 JRPG BIG 3 기대작의 다른 두 작품들중에서 [[테일즈 오브 디 어비스]]는 PS2 버전만으로 일본 내 누계 판매량 55만 6천장, 월드와이드 누계 73만 4천장이라는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킹덤 하츠 II]]도 PS2 버전만으로 파이널 믹스와 얼티메이트 히트를 포함하여 일본 내 누계 판매량 202만장, 월드와이드 누계 475만장이라는 엄청나게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이에 비하면 로그 갤럭시의 판매량은 상대적으로 초라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단 [[테일즈 오브 디 어비스]]와 [[킹덤 하츠 II]]는 이미 흥행성이 보장된 시리즈의 작품이라는 점은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테일즈 오브 시리즈]]는 2020년대 현재도 흥행성이 매우 높은 시리즈로 가장 평가가 좋지 않은 작품 중 하나였던 [[테일즈 오브 레젠디아]]도 일본에서만 누계 30만장 대의 판매량을 기록할 정도고, 평가나 화제성이 높은 작품은 일본 내 하프밀리언, 월드와이드 밀리언셀러를 기록할 정도고, [[킹덤 하츠 시리즈]]도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와 콜라보로 큰 화제성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일본 내에서는 기본적으로 하프밀리언, 굉장히 높게 나오면 밀리언셀러, 월드와이드 100만장은 기본으로 기록하는 판매량을 자랑하는 시리즈이다. 하지만 로그 갤럭시도 제작사인 [[레벨 파이브]]의 전작들이 흥행과 비평 양쪽에서 모두 큰 성공을 거뒀던 [[다크 클라우드2]]와 [[드래곤 퀘스트 8]]이었기 때문에 기대에 걸맞은 충분한 완성도로 게임이 출시되었다면 [[테일즈 오브 디 어비스]], [[킹덤 하츠 II]]와 비슷한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했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는 부분이다.] 거기에 저 두 작품이 각각 [[테일즈 오브 시리즈]]와 [[킹덤 하츠 시리즈]]의 최고 명작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작품인 것을 생각하면 로그 갤럭시의 행보는 아쉬운 편으로 볼 수 있다. 이후 2007년 3월에 난이도를 조정하고 신규요소를 추가한 디렉터즈 컷 판을 발매했으나 이미 떨어질 대로 떨어진 평가를 되돌릴 수는 없었다. === 진짜 망작인가 === 다만 이 게임을 쓰레기 게임으로 봐야할지는 의견이 많이 엇갈리는 편이다. 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게임 자체는 건실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악평하는 사람들만큼이나 재밌게 즐겼다는 의견도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에서의 이런 폄하와는 달리 서구권에서의 평가는 그럭저럭 괜찮은 편. 이러한 이유는 미국과 유럽에 발매된 해외판은 일본판의 디렉터즈 컷 버젼에 해당되는 게임이였기 때문에 기존의 일본판에 해당되는 문제점이 상당부분 사라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더빙 등 현지화도 잘 어우려져 있다. 사실 [[KOTY]] 선정과정에서도 게임성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제작사인 [[레벨 파이브]]의 이전 제작 작품들인 다크 클라우드2 혹은 드퀘8 수준의 명작을 기대했던 이들의 실망감+홍보비로만 3억엔이라는 거금을 들인 소니의 과도한 밀어주기+히노 아키히로의 이빨(...)에 대한 반발심리가 더 강했기도 하고...[* 그리고 당시 [[KOTY]]는 지금과는 평가 기준이 달랐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KOTY가 현재의 '진지하게 쓰레기 게임인지를 토론해서 골라내는 행사(?)가 된 건 2007년 [[四八(仮)|욘파치]] 쇼크 이후.] [[쓰레기 게임]] 항목의 '대작 게임은 치명적인 이유가 없는 한 쓰레기 게임으로 보기 힘들다'라는 기준에 가장 잘 부합되는 게임이다. 분명히 대작인 게임은 아니지만 수작 정도는 충분히 쳐줄 수 있는 게임이다. 시간이 지나 지금은 많이 재평가가 되어 처음 PS2 게임을 플레이하고 사람에게 많이 추천하는 타이틀이 되었다.[* 처음 플레이 하는 사람은 일본판 디렉터즈 컷이나 북미, 유럽판을 구해서 플레이 하는 것이 좋다. 추가요소도 꽤 있는데다 나중에 어마어마한 던전 길이로 고생하고 싶지 않다면 말이다.] == 등장인물 == * 제스터 로그(ジェスター・ローグ) - 성우:[[타마키 히로시]], [[시라이시 료코]](아이시절) 본작의 주인공. 북미판 기준 Jaster Rogue로 불리운다. 초반 마을 부분에서 젤다 마냥 남의 집에 들어가서 아이템 박스를 털어가는 것을 보면 rogue라는 뜻을 재대로 느낄 수 있다(...). 주무기로는 칼(한손검), 부무기로는 권총을 사용한다. * 키사라(キサラ) - 성우:[[우에토 아야]] * 제그람 가트(ゼグラム・ガート) - 성우:[[야마지 카즈히로]] * 루루카 라이저(ルルカ・ライザ) - 성우:[[이노우에 키쿠코]] * 사이몬 왓카드(サイモン・ワッカード) - 성우:[[오노사카 마사야]] * 스티브(スティーブ) - 성우:[[우메즈 히데유키]] * 쥬피스트 투키마크가넬(ジュピス・トゥーキー・マクガネル) - 성우:[[아오야마 유타카]] * 디고 아지스(ディーゴ・アージス) - 성우:[[이시즈카 운쇼]] * 사막의 손톱(砂漠の爪) - 성우:[[야마데라 코이치]] * 돌겐고아(ドルゲンゴア) - 성우:[[이이즈카 소죠]], [[유사 코지]](청년시절) * 라울 신부(ラウル神父) - 성우:[[사사키 빈]] * 몬쟈(モンシャ) - [[니시와키 타모츠]] * 발코그 드레이저(ヴァルコグ・ドレイザー) - 성우:[[우츠미 켄지]] 영어 이름 Valkog Drazer. 매인 악당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한국 감독판(대사와 자막 모두 영어) 기준 모래마을로 다시 돌아와서 석판을 보는 이벤트 이후, 바로 돌겐고아에게 이야기를 해보면 "I don't care if he's Valkog or Bulgogi!"라는 대사를 날린다. 발코그인지 불고기인지 신경 안쓴다고... * 노마 키스리(ノーマ・キスリー) - 성우:[[야마다 미호]] * 이젤 박사( イーゼル博士) - 성우:[[고토 테츠오]] * 시드(シード) - 성우:[[이시다 아키라]] * 미리 라이저(ミリ・ライザ) - 성우:[[타니이 아스카]] * 크란 이질(クラン・イジル) - 성우:[[호시노 타카노리]] * 오고제 로블카카(オゴーゼ・ロ・ブルカカ) - 성우:고도 테츠오 * 피리오(フィリオ) - 성우:코야마 마사오 * 셰리오(シェリオ) - 성우:[[야마구치 노보루]] * 암니(アムニ) - 성우:키타니시 쥰코 * 폭스 버스크나지(フォックス・バスクナージ) - 성우:나케코 요시유키 * 아렉트 로젠카스타(アレクト・ローゼンカスター) - 성우:[[쿠스미 나오미]] * MIO - 성우:[[한바 토모에]] * 로버트(ロバート) - 성우:무라지 마나부 * 헨리(ヘンリー) - 성우:[[나가사코 타카시]] * 도널드 포캇쵸 박사(ドナルド・ポカッチョ博士) - 성우:[[이케미즈 미치히로]] * 마크 포캇쵸マーク・ポカッチョ) - 성우:[[한바 토모에]] * 토니(トニー) - 성우:[[무라지 마나부]] * 스타야(スターヤ) - 성우:[[나카노 유타카]] * 반딧슈빌 함장(バンディッシュビル議長) - 성우:[[챠후린]] * 게일 토번(ゲイル・ドーバン) - 성우:[[유사 코지]] * 안젤라 시즈(アンジェラ・シーズ) - 성우:[[혼다 타카코]] * 잭스 모라티(ザックス・モラーティ) - 성우:[[나카 히로시]] * 버튼 위리스(バートン・ウィリス) - 성우:[[타하라 아루노]] * 마녀(여왕)(魔女(女王)) - 성우:[[사다오카 사유리]] * 해리(ハリー) - 성우:[[히노 미호]] * 볼가原人ボルガ) - 성우:[[나가사코 타카시]] * 팬텀로드 로건(ファントムロード・ローガン) - 성우:[[쿠스미 나오미]] * 팬텀로드 가젤(ファントムロード・ガーゼル) - 성우:[[타케토라]] * 각왕(角王) - 성우:사사키 빈 * 시저 킹(シザーキング) - 성우:[[나카 히로시]] * 사자왕(獅子王) - 성우:[[한바 토모에]] * 프릿츠(フリッツ) - 성우:키우츠 히데노부 * 쟈우스(ジャウス) - 성우:[[쿠스노키 타이텐]] * 니나(ニーナ) - 성우:야마다 리나 * 골바(ゴルバ) - 성우:[[나카타 카즈히로]] * 요한나(ヨハンナ) - 성우:[[히노 유리카]] * 장로 나바(長老ナバ) - 성우:[[나카 히로시]] * 프레이디아스(フレイディアス) - 성우:[[카와무라 마리아]] * 알비오스(アルビオス) - 성우:[[스고 타카유키]] * 유반(ユバン) - 성우:[[타하라 아루노]] * 라그나(ラグナ) - 성우:[[야마구치 노보루]] * 마더(マザー) - 성우:[[이가라시 레이]] * 제인(ジェーン) - 성우:[[우노네 아키]] * 브루카카 박사(ブルカカ戦士) - 성우:[[우에다 요우지]] * 모라티 부하(モラーティ手下) - 성우:[[와타나베 히데오]] * 인섹트론 사제(インセクトロン司会) - 성우:[[이토 켄타로]] * 미요코(ミヨコ) - 성우:오오가네 노리코 * 치에(チエ) - 성우:[[시라이시 료코]] * 파블(ファブル) - 성우:[[혼다 타카코]] * 랜디(ランディ) - 성우:[[시라이시 미노루]] * 개자리(ギャザリー) - 성우:[[아카이케 유미코]] * 코디슨(コーディソン) - 성우:엔도 쥰이치 * 츌미라(チュルミラ) - 성우:[[쿠보타 메구미]] * 놋히(ノッヒー) - 성우:[[오오니시 타케하루]] * 칼트(カルト) - 성우:[[모가미 츠구오]] * 맛큔(マッキュン) - 성우:[[마츠모토 메구미]] * 가레키메데스(ガレキメデス) - 성우:[[토죠 카나코]] * 마젤(マゼール) - 성우:[[이토 켄타로]] * 아라비스(アラビス) - 성우:[[챠후린]] * 세바스찬(セバスチャン) - 성우:[[키요카와 모토무]]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white '''플랫폼'''}}} || {{{#white '''메타스코어'''}}} || {{{#white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53535;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2|{{{#white PS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rogue-galaxy, g=, score=8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rogue-galaxy/user-reviews, g=, score=8.0)] || == 기타 == || [youtube(WHcB3ywWSq8)] || [youtube(YW3iYu704ig)] || PS4에서 게임 어카이브로 플레이한 영상. FHD로 업스케일링, 트로피 등이 지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