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프리츠커상 수상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tatic.dezeen.com/dzn_Rem-Koolhaas-golden-lio1.jpg|width=100%]]}}} || ||<-2> '''{{{+1 렘 콜하스}}}[br]Rem Koolhaas''' || ||<:><-2>[[파일:Medal_of_Pritzker_Architecture_Prize_(front).gif|width=30]]''' [[프리츠커상|{{{#white '''2000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 '''본명''' ||Remment Lucas Koolhaas || || '''출생''' ||[[1944년]] [[11월 17일]] ([age(1944-11-17)]세),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로테르담]] || || '''직업''' ||[[건축사]], [[교수]] || || '''학력'''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코넬 대학교]] || || '''가족''' ||안톤 콜하스 (아버지), 셀린데 피에테르체 루센부르크(어머니)[br]마델론 브리에센도르프 (배우자) || || '''소속''' ||OMA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출신의 [[건축사]]. == 상세 == 헤이그 포스트 [[신문기자]] 및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다가 [[영국]]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AA School]])에서 [[건축]]을 [[공부]]한 후, [[미국]] [[코넬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건축활동 초기에는 [[뉴욕]]시의 많은 건물과 도시계획을 연구한데 초점을 두었다. 이후 입체적이고 파격적인 건축물로 주목받으며 유명세를 얻었고, [[1975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설계 사무소 OMA(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를 공동 설립했다. 지금은 [[스타]] 건축가의 표본이자 건축계에서 인정하는 세계 최고의 건축 거장 중 한 명이다. [[21세기]]에 새롭게 떠오르는 수많은 젊은 건축가들이 OMA를 거쳐 간 만큼 콜하스의 작품 세계는 건축계의 큰 한 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하버드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주요 건축 == ||
[[파일:external/mindeclosion.files.wordpress.com/r0014946.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oma.eu/1000.jpg|width=100%]] || ||<#000000> {{{#ffffff '''2004년에 지어진 [[시애틀|{{{#ffffff 시애틀}}}]] 중앙도서관'''}}} ||<#000000> {{{#ffffff '''포르투갈 [[포르투|{{{#ffffff 포르투}}}]]에 지어진 Casa da Música'''}}} || ||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16990117938_cceabdb65d_b.jpg|width=1000%]] || [[파일:external/static.dezeen.com/OMA-CCTV-building-Beijing_dezeen.jpg|width=100%]] || ||<#000000> {{{#ffffff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지어진 De Rotterdam'''}}} ||<#000000> {{{#ffffff '''중국 베이징에 지어진 [[중국 중앙 텔레비전#s-5|{{{#ffffff CCTV 본사}}}]]'''}}} || || [[파일:external/2f7b787535bf28cf8f0d536bea4195ebb6e2e6669f950fffeaa299ac921885ca.jpg|width=100%]] || [[파일:external/03b2a3992d2ca20df19cb797cdc0cad62ec94b9722643bbc35cb331ed55a41e4.jpg|width=100%]] || ||<#000000> {{{#ffffff '''한국 [[서울대학교|{{{#ffffff 서울대학교}}}]]에 지어진 미술관'''}}} ||<#000000> {{{#ffffff '''한국 이태원에 지어진 [[리움미술관|{{{#ffffff 리움미술관}}}]]'''}}} || || [[파일:external/www.fondazioneprada.org/Fondazione-Prada_Bas-Princen_1-800x640.jpg|width=100%]] || [[파일:갤러리아광교.jpg|width=100%]] || ||<#000000> {{{#ffffff '''이탈리아 밀라노에 지어진 프라다 파운데이션(Fondazione Prada)'''}}} ||<#000000> {{{#ffffff '''한국 [[갤러리아백화점 광교|{{{#ffffff 갤러리아백화점 광교}}}]]'''}}} || == 기타 == * [[프리츠커상]] 외에도 [[RIBA 로얄 금메달]](2004), Leone d'oro alla carriera, Praemium Imperiale 등 유명 상을 수상했다. * [[2008년]] [[타임|TIME]]지에서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명 안에 뽑혔다. * [[뉴욕]]에 관한 저서 "정신착란증의 뉴욕(Delirious New York)"와, 본인의 현대도시문화나 건축 철학이 담긴 "S, M, L, XL"를 집필했다. [[분류:네덜란드의 건축가]][[분류:예체능 교수]][[분류:1944년 출생]][[분류:로테르담 출신 인물]][[분류:AA School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