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미국 항공모함의 계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Lexington_%28CV-2%29_leaving_San_Diego_on_14_October_1941.jpg|width=800]] [목차] == 개요 == CV-2 렉싱턴, CV-3 새러토가가 소속된 함급. '''[[미 해군]]에서 제대로 만들어진 최초의 [[항공모함]].'''[* 단 번호상으로는 렉싱턴이 우선이나 건조중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일어난 사건]]으로 인해 항공모함으로 개장을 추가로 한 탓에 오히려 진수일자는 동형함 [[새러토가]]가 훨씬 이르다. 그러므로 정확히는 최초로 '제대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 렉싱턴, 최초로 ' 제대로 만들어 운용된 항공모함'은 새러토가이다.] == 제원 == ||<-3> {{{#fff {{{+1 '''렉싱턴급 항공모함'''}}}[br]''Lexington-class aircraft carrier''}}} || ||<-2> '''표준배수량''' ||37,000톤 || ||<-2> '''만재배수량''' ||48,500톤 || ||<-2> '''전장''' ||270.7m || ||<-2> '''전폭''' ||32.3m || ||<-2> '''흘수''' ||만재 시 9.3m || ||<-2> '''승조원''' ||2,791명 || ||<-2> '''출력''' ||180,000SHP || ||<-2> '''최고 속력''' ||34.5노트 (약 63.9km/h) || ||<-2> '''항속거리'''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19,000km || ||<|2> '''기관''' || '''동력''' ||수관식 [[보일러]] 16기 || || '''추진''' ||4축 [[프로펠러]] || ||<|2> '''무장''' || '''주포''' ||2연장 8인치 55구경장 [[함포]] 4문 || || '''부포''' ||5인치 25구경장 [[양용포]] 12문 || ||<|3> '''장갑''' || '''측면''' ||127 ~ 178mm || || '''갑판''' ||19 ~ 51mm || || '''포탑''' ||19mm || ||<-2> '''함재기''' ||90기 || ||<|2> '''함재기 시설''' || '''발진기''' ||[[캐터펄트]] 1기 || || '''승강기''' ||2기 || == 동형함 == ||<-4> '''렉싱턴급 항공모함'''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함명[br](함종선체부호) ||<-2> 건조 || 비고 || ||<|3> '''[[렉싱턴(항공모함)#s-2|{{{#FFF 렉싱턴}}}]]'''[br]{{{-1 ''Lexington''}}}[br](CV-2) || 기공 || 1921-01-08 ||<|3> *격침[* [[산호해 해전]]] ,,(1942-05-08),, || || 진수 || 1925-10-03 || || 취역 || 1927-12-14 || ||<|3> '''[[새러토가#s-2|{{{#FFF 새러토가}}}]]'''[br]{{{-1 ''Saratoga''}}}[br](CV-3) || 기공 || 1920-09-25 ||<|3> *표적함으로 침몰 ,,([[크로스로드 작전|1946-07-25]]),, || || 진수 || 1925-04-07 || || 취역 || 1927-11-16 || }}}}}}}}} || == 상세 == 미 해군은 [[항공모함]]을 보유하기 위해서 각종 [[순양함]]에 임시갑판을 만들어서 실험했고 이 실험이 성공함에 따라서 해군에 항공모함을 도입하기 위한 최초의 항공모함 CV-1 [[랭글리(항공모함)|랭글리]]를 도입했다. 하지만 말이 좋아 항공모함이지 랭글리는 석탄 운반선에 비행갑판을 설치한 것에 불과했고 항모 운용 경험 이상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였다.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순수 군용 함정으로 건조된 항공모함이 필요해졌다. 이에 오마하급 경순양함을 개량하여 항공모함을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함재기]]가 좀더 대형화될 것을 예측한 해군측의 현명한 판단에 의해 기각되고 여러 가지 안이 더 나오나 기각된다. 한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이 체결되자 세계각국은 [[유틀란트 해전|잉여임이 증명된]] [[순양전함]]을 굳이 제한된 [[전함]] 숫자에 포함시켜서 더 확보할 필요를 못 느꼈고, 미국도 마찬가지라 건조중이 된 [[렉싱턴급 순양전함]]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는데...항공모함을 찾던 해군의 입장에서 어차피 건조 중인 상태고, 나름대로 순양전함이 될 함체였으니 크기도 크고 속도도 빠른 편이니 한번 개조해서 써먹어보자는 의견이 나왔고 렉싱턴은 개장을 거치게 된다. 같은 렉싱턴급 순양전함으로 건조 중이었고 같이 항공모함으로 개장당한 자매함 [[사라토가]]와 함께 1929년에 정식으로 해군으로 배치되었다. 건조 당시에는 항공모함치고는 덩치가 너무 커서 쓸모가 없지 않겠는가하는 의견도 많아서 흰 코끼리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기도 했지만, 나중에 이런 판단을 한 사람들은 모두 후회를 금치 못했다고 한다. 당장, 타국의 동일한 개조형 항공모함에 비해서 월등하게 좋은 성능을 보였다. 그 이유는 원래 순양전함이었던 점을 이용한 빠른 속도를 지닌 데다가 게다가 영국이 고안했고 일본이 모방했던 당대의 트렌드였던 3단 비행갑판을 채택하지 않고 처음부터 일체화된 비행갑판을 채택했으며[* 다른 국가들은 나중에 가서야 3단 비행갑판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단일갑판으로 개조했다.] 격납고도 높이가 20피트에 달하는 대형 단일 격납고를 채택해 대형 항공기 운용 제약도 적었으며, 함교도 제대로 갖추는 등 제대로 된 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으므로 추가로 대개장을 할 필요가 없었다. 게다가 개장을 받으며 증가시킨 대공무장은 그 에식스급보다도 그 수가 많았다.[* 새러토가의 경우 40mm 보포스제 4연장 대공포 23기, 40mm 2연장 대공포 2기를 탑재했었다. 총 96문이다. 5인치 대공포 역시 16문을 탑재해 당시 항모로썬 최다 탑재량이었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개조형 항공모함으로는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기본적으로 순양전함 선체다보니 속도가 우수해서 여동생 새러토가가 212,702마력으로 34.99노트를 질주한 적이 있었다. 함재기는 대략 70~80 여기를 탑재했으며, 새러토가는 1944년의 마지막 편제에서 F6F 헬캣 27기, SBD 돈틀리스 24기,TBF 어벤져 18기로 69기를 탑재했다. 특이한 사항으로, 동력원으로 터보 일렉트릭 기관을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 미국이 건조하던 전함들처럼 렉싱턴급 순양전함에도 터보 일렉트릭 기관을 사용했고 이를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면서 터보 일렉트릭 기관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성능 자체는 좋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터보 일렉트릭 기관의 단점이 부각되면서[* 증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고, 모터를 돌려서 추진하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방식. 고비용, 저효율, 고중량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자세한 내용은 [[콜로라도급 전함]] 문서를 참고할 것] 이후의 항공모함들은 증기터빈을 사용하게 된다. 함교는 함의 우현에 있고, 또, 증기 터빈에 의한 터보-일렉트릭 방식을 기관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큰 굴뚝을 가지고 있었다. 다소 요상한 경력으로 터보 일렉트릭 특성상 막대한 출력의 발전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뭄으로 유량이 떨어져 수력발전소가 고자가 되는 바람에 망하게 생긴 도시에 기항하여, 비가 다시 내릴때까지 전력을 공급하고 주민들에게 기타 서비스를 제공한 이력이 있다. 시간이 지나 [[1941년]], [[진주만 공습]]이 벌어진 그때 렉싱턴은 진주만을 떠나서 [[미드웨이섬|미드웨이]]로 항공기를 수송중이었기에 무사했고 항공모함만 남아버린 미 해군의 주력함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게되는데... [[1942년]]에 항공모함이 [[함대결전사상|언제 다른 함선에게]] [[커레이저스급 항공모함 #s-8|함포로 공격받을지도 모른다]]는 구시대식 사상에 따라 장비한 8인치 2연장 [[포탑]]들을 제거하고 28mm 4연장 대공기관포를 장비하는 등 (당시 기준으로는) 최신형으로 개장을 마쳤다. 그것이 렉싱턴의 최후의 몸단장이 될줄 누가 알았겠냐만... [[1942년]] 5월, [[호주]]와 미국의 연락망을 끊기 위해 산호해를 공략하려던 일본 항공모함 전단과 마주치게 되고 벌어진 [[산호해 해전]]에서 일본 해군의 항공모함 쇼호를 격침시키게 되나...[[5월 8일]] [[즈이카쿠]]와 [[쇼카쿠]]에서 출격한 [[뇌격기]]에게 2발의 91식 어뢰를 [[좌현]]에 얻어맞은 렉싱턴은 좌현 일부 구간이 침수되어 함이 기울어져서 전투기를 띄울 수 없는 상황이 되지만, 이런 상황을 대비한 설계 덕에 응급복구가 가능해졌다. 뇌격을 뒤따라 급습해온 일본의 급강하 공격기의 기습에 2발의 폭탄을 명중당했으나 소화반원의 헌신적인 조치로 약간의 화재로 끝나게 되었다.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었으나 아무래도 함의 수리가 필요하다고 느낀 [[프랭크 플레처]] 제독이 렉싱턴의 함재기를 전부 [[요크타운]]으로 보내고 수리를 위해 진주만으로 회항시키려고 했으나 전투시 충격 등으로 인해 배관이나 연료탱크 파손 등으로 새어나와서 기화되어 있던 항공기 연료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대폭발을 일으켰다. 이렇게 된 이유는 원래 순양전함을 개조한 물건이기 때문에 2차대전의 미국식 항공모함의 특징인 개방식 격납고가 아닌 폐쇄식 격납고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구부를 어느 정도 뚫었지만 그 정도로는 신속한 환기가 안 되기 때문이었다.[* 즉 근본적인 이유는 달라도 [[필리핀 해 해전]]에서의 일본군 항공모함 [[다이호(항공모함)|다이호]]와 똑같은 수순으로 침몰당했다는 거다.] 결국 유폭으로 상당한 치명상을 입은 렉싱턴은 결국 포기하기로 결정, 아군 구축함의 [[어뢰]]로 뇌격 처분되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아카기와 히류 등도 같은 방식으로 뇌격 처분되었다.] 참고로 이때 일어난 사건이 [[아이스크림]] 사건. 침몰 당시 렉싱턴의 수병들은 [[퇴함|퇴함명령]]을 기다리던 중 한 [[준사관]]이 함내 냉동고에 아이스크림이 남아있다는 걸 떠올리고, 냉동고 자물쇠를 따고 너도 나도 퍼가서 갑판 위에 누워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에 대한 기념비도 있다.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military2&no=211|관련 글]], [[http://kfor.com/2013/11/11/great-state-wwii-veteran-recalls-strange-incident-during-coral-sea-battle/|관련 링크(영문)]],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1989287&page=3&exception_mode=recommend|한국어 설명 #1]],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713/read/31458513?|한국어 설명 #2]] 자매함 [[새러토가]]는 종전까지 살아남았고 적 항공모함 [[류조(항공모함)|류조]]와 화물선 1척을 격침시키는 전공을 올렸지만 [[CV-6 엔터프라이즈|엔터프라이즈]]에게 밀려 별로 유명하진 않다.[* 엔터프라이즈가 얻어터지면서도 현지 수리를 감수하면서 미군이 가장 힘들었던 시기인 42년부터 43년을 버텨낸 반면 새러토가는 그 시기에 이미 얻어맞고 수리를 받고 있었던 점이 크다.] 그리고 분명 '''번호는 렉싱턴이 앞서는데 진수일과 취역일은 렉싱턴이 뒤다.''' 미국에서는 진수일이나 취역일이 아닌 건조승인을 기준으로 함번을 붙이기 때문에 일어난 일. 2018년 3월 MS의 공동설립자 [[폴 앨런]][* 폴 앨런은 이전에 무사시와 인디애나 폴리스 등을 탐사한 적이 있다.]이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3242387|침몰한 렉싱턴을 발견했다고 한다.]] 해군에서 렉싱턴급 항공모함들을 부르는 별명이 있었는데, 렉싱턴은 '레이디 렉스(Lady Lex)', 새러토가는 '시스터 새라(Sister Sara)'였다. == 매체에서의 등장 == * [[스틸 오션]]에서 미국 8티어 항공모함으로 등장한다. * 게임 [[네이비필드]]에서 미국 5차 항공모함으로 등장한다. 5차 항모답게 큰용적과 10대의 동발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허리가 얇아서 조금만 신경써서 돌려주면 자동급은 손쉽게 피하기에 마법갑판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에서는 미군 항공모함으로 등장한다. [[파일:external/wiki.gcdn.co/Lexington_1024x768_WorldOfWarships.jpg]] [[파일:external/wiki.gcdn.co/Lexington_wows_main.jpg]] * [[월드 오브 워쉽]]의 미국 8티어 항공모함으로 등장한다. 순양전함이었던 영향인지, [[크고 아름다운|우월한]] 피탐지으로 인해 쉽게 발각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벽람항로]]에서도 나란히 SR 등급으로 [[렉싱턴(벽람항로)|등]][[새러토가(벽람항로)|장]]했다. 둘 다 준수한 성능을 지녔으며 자매 둘 다 항공모함인데도 특수 탄막을 뿌리는 스킬을 가지고 있어 견제용으로도 좋은 함선으로 뽑히고 있다. 또한 [[새러토가(벽람항로)|새러토가]]의 경우 첫결제 시 지급하는 함선이기도 하다. 다만, 새러토가에게 상위 업그레이드가 되는 개장이 추가되면서 렉싱턴은 새러토가의 하위호환이 된다. * [[함대 컬렉션]]에서는 [[새러토가(함대 컬렉션)|새러토가]]가 2016년 가을이벤트 최종보상으로 지급됐으며, 2017년 9월부터 대형함 건조로 건조가 가능해졌다. || [[파일:Naval Creed 렉싱턴.png|width=500&hight=500]] || [[파일:Naval Creed 화이트 퓨어 새러토가.png|width=500&hight=500]] || || 렉싱턴 || 새러토가 || * [[Naval Creed:Warships]]에서 [[Naval Creed:Warships/미국 테크 트리/항공모함 #s-1.3.3|4티어 2차항모]]로 등장. 성능은 상당히 좋은데다가 제공 편제(2/1/1(6/8/9))의 순간 화력과 제공능력은 뛰어나나, 공격기 준비시간이 한세월이라는게 흠인 항모. 그리고 자매함인 [[Naval Creed:Warships/미국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 #s-1.4.4|새러토가]]도 있는데, 함선 도색을 보아하니 [[푸강아]]의 오마주인듯 하다. 성능은 편제랑 함재기는 같고 함체의 대공과 부포가 살짝 다른 편. 자세한 사항은 각 항목 참조. * 대체역사소설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서는 역사가 바뀌어서 일본 제국 해군 항공모함들이 1942년 1월 25일에 진주만을 습격, 자매함 사라토가가 격침되지만 살아남은 렉싱턴은 요크타운, 엔터프라이즈와 연합군 함대에 참가, 일본 제국 연합함대와의 결전에서 쇼카쿠와 즈이카쿠를 격침시키며 그 복수를 한다. * 일본 가공전기 만화 [[지팡구]]에서 자매함 사라토가가 등장. * [[워 썬더]]의 2차대전 연합군 항공모함이 렉싱턴이다. 함미에는 대문자로 LEX라고 적혀있고, 적군 입장에서 가까이 다가가면 대공포를 사격한다. 실제와 다르게 6개의 와이어를 가지고 있다. 노르망디 맵의 연합군측 항공모함 역시 렉싱턴이다. 500lb Mk82 기준 12개의 폭탄으로 격침시킬 수 있다. [[분류:항공모함]] [[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192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