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Lexus_L.svg|width=30]] {{{#000000 '''[[렉서스|{{{#000 렉서스}}}]]의 플래그십 라인업'''}}} || || [[렉서스 LS|{{{#000 '''LS'''}}}]] || [[렉서스 LC|{{{#000 '''LC'''}}}]] || [[렉서스 LX|{{{#000 '''LX'''}}}]] || [[렉서스 LM|{{{#000 '''LM'''}}}]] || [[렉서스 LY|{{{#000 '''LY'''}}}]] || ||<-2> [[렉서스|[[파일:lexus-logo.svg|width=8%]]]]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xus_LC_500_1.jpg|width=100%]]}}} || ||<-2> {{{#ffffff '''LC'''}}} || [목차] '''Lexus L'''uxury '''C'''oupè[* 2012 북미 국제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던 [[렉서스/콘셉트 카#s-2.9|LF-LC]]('''L'''exus '''F'''uture-'''L'''uxury '''C'''oupe) 컨셉트카에서 따왔다.] == 개요 == [[2017년]] [[토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에서 출시한 [[FR(자동차)|후륜구동]] 2+2 시트 [[그랜드 투어러]]. 자동차공학 및 자동차 디자인의 훌륭한 결정체 중 하나로,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차량으로는 [[아우디 R8]],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BMW i8]] 이후 최상급의 미래 지향적 디자인 쇼크를 선사한 차임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2012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발표한 [[http://www.netcarshow.com/lexus/2012-lf-lc_concept/|LF-LC]] 컨셉카가 기반이 되었고, 2016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충격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양산형 모델을 발표했다. 크기상으로는 2010년에 단종된 [[렉서스 SC|SC]]를 계승한다. [[대한민국]]에는 2017년 7월에 477마력 V8 5.0L 모델이 우선 출시됐고, 이후 359마력 V6 3.5리터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됐다. 그후 2021년 4월 29일에 렉서스 한국진출 20주년으로 LC 500의 [[컨버터블]] 모델인 LC 500 CONVERTIBLE이 출시되었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xus_LF-LC_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xus_LF-LC_0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xus_LF-LC_In.jpg|width=100%]]}}} || ||<-2> '''LF-LC''' || [[토요타]]는 LC의 컨셉트카인 [[렉서스/콘셉트 카#s-2.7|LF-LC]] 공개 이후 양산 계획을 밝히면서 LC가 LF-LC의 디자인 요소들을 거의 빠짐없이 계승할 것이라 공언했다.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아무리 멋진 컨셉트카라 하더라도 양산차로 등장할 때는 많은 부분이 수지타산이나 안전 규제등의 이유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나 LF-LC는 콘셉트카 기준으로 보아도 매우 파격적인 디자인이었기 때문에 더더욱 LF-LC의 양산형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2016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양산형 LC는 LF-LC와 차이점을 찾기 어려웠다. [[토요타]]의 공언이 그저 허언이 아니었다는 사실 자체가 더 큰 충격으로 다가오기 충분했던 것. 오히려 일부 디자인 요소에서는 LF-LC보다 더 진보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16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많은 신차들이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지만, 화제성에서 만큼은 LC가 이들을 모조리 묻어 버렸다. 현지 분위기는 언론보도 그 이상이었다. 기존 [[렉서스 RC|RC]]의 상품 가치와 차량 크기로는 타사 럭셔리 쿠페에 대항하는것이 불가능하다는 토요타 수뇌부의 판단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기존 플랫폼을 개량하는 것을 포기하고 [[FR(자동차)|후륜구동]] 고급 차량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인 글로벌 아키텍처(GA-L)를[* 렉서스의 플래그쉽 세단인 [[렉서스 LS|LS]]도 이 플랫폼을 사용힌다.] 만들어 LC에 처음으로 적용했다. 내외장 디자인도 토요타의 CEO인 토요다 아키오 사장의 지시로 LF-LC의 디자인 요소들을 최대한 반영해 디자인을 완성했다. 또한 렉서스의 플래그쉽인 LS에도 들어가지 않는 V8 엔진이 LC에는 여전히 들어가고 있다. == 1세대 (Z100, 2017~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Lexus_LC_01.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_Lexus_LC_02.jpg|width=100%]]}}}||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r]'''초기형 내부'''[br][[파일:2021_Lexus_LC_In.jpg|width=100%]][br][br]'''2023년 연식 변경 내부'''[br][[파일:2023_Lexus_LC_In.jpg|width=100%]]}}} || ||<-2> {{{#fff '''LC 5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xus_LC_C_1.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xus_LC_C_2.jpg|width=100%]]}}}|| ||<-2> {{{#fff '''LC 컨버터블'''}}}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xus_LC_M_01.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xus_LC_M_02.jpg|width=100%]]}}}|| ||<-2> {{{#fff '''LC 모델리스타(익스테리어 파츠 사양)'''}}} || LC는 가솔린 모델인 '''LC 500, LC 500 컨버터블'''과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모델인 '''LC 500h'''로 나누어진다. * LC 500, LC 500 컨버터블은 RC F의 고회전형 V8 5.0L 엔진([[토요타 UR 엔진#s-2.2.1|2UR-GSE]])을 쓰고 477마력과 최대토크 55.1kg.m를 내지만, 기존 엔진보다 스로틀 반응을 부드럽게 했으며 단조 커넥팅 로드와 티타늄 밸브를 채용하고 엔진 블록도 경량화했다. 다이렉트 시프트 10단 [[자동변속기]]를 최초로 채용했는데[* 평상시 주행할때는 기본 4단으로 세팅되어있지만, 주행 속도와 환경에 따라 가상으로 10단까지 변속 가능하다.], 기존 8단보다 크기와 무게가 줄었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와 견줄 정도로 변속 속도도 빨라졌다. 운전자의 엑셀과 브레이크, 변속 습관을 학습해서 선제적인 변속이 이루어지게 했다. 쿠페의 제로60마일은 4.4초, 컨버터블 버전은 4.6초이다.[* 컨버터블 같은 경우에는 LC 500h의 차체를 그대로 가져다가 하이브리드 배터리를 빼고 거기다 소프트 탑 수납공간을 만든 것이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모델인 LC 500h는 V6 3.5L 앳킨슨 사이클 엔진([[토요타 GR 엔진#s-2.8.2|8GR-FXS]])과 전기 모터 2개가 맞물리고[* 2개가 맞물린다 해서 2개가 모두 구동에 사용되는 건 아니다. 한개는 주행 중 베터리 충전을 위한 발전용으로 탑재한 것이다. 한마디로 토요타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4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라 보면 된다.], e-[[CVT]]와 자동 4단으로 구성된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효율을 극대화시켰다. 총 출력은 359마력이며, 5세대 LS 500h와 15세대/16세대[* 다만 16세대 크라운 세단 한정이며, 16세대 크라운 세단은 3.5L V6엔진이 아닌 2.5L I4 엔진이 탑재된다.] [[토요타 크라운]]도 이 시스템을 사용한다. 제로60마일 4.7초. 글로벌 아키텍처-럭셔리(GA-L) 플랫폼은 기존 FR 플랫폼과 다르게 철저히 럭셔리 시장을 노리고 개발했다. 기존 플랫폼보다 낮은 무게중심과 경량화를 목표로 설계를 했고, 특히 LC의 휠베이스는 2,870mm이지만 앞뒤 오버행은 각각 920mm, 970mm로 제한해서 스포티한 비례를 완성을 했으며 탄소섬유 지붕과 도어, 트렁크 구조물과 알루미늄 외장으로 경량화해 RC보다 가볍고 52:48의 무게중심을 달성했다.[* 하지만 GA-L 플랫폼과 대용량 연료탱크를 장착했기 때문에 실제 공차중량은 RC보다 훨씬 더 무겁다.--거의 2톤에 육박한다.--] LC 전용으로 설계된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앞뒤 모두 장착 했는데. 어퍼(Upper) 암과 로워(Lower) 암의 이중 볼조인트는 스티어링 반응을 향상 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확보했다. 서스펜션 부품들은 전부 단조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무게와 강성 모두를 잡았다. 타이어는 앞 245/40RF21 뒤 275/35RF21 [[브리지스톤]] 런플랫 단조휠 타이어를 사용한다. 시속 50km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가변형 스포일러와 배기음 증폭을 위한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장착되었다. 컨버터블은 4중 구조 소프트 탑을 장착했고 오픈시 약 12초가 걸린다. 시속 50km 미만으로 주행중일때 작동된다.[* 여담으로 사운드 제너레이터, 가변형 스포일러, 알칸타라, 카본, 알루미늄 페달 등은 모두 F 시리즈에만 탑재되있는 거라 F 시리즈도 아닌 LC가 F 시리즈에만 들어가는 옵션들을 왜 장착했냐고 차별화를 두지 않는것 같다고 GS F, RC F 오너들의 불만이 많았다. 하지만 RC F 랑 LC의 가격이 거의 2배(...) 가까이 차이나기 때문에 RC F나 GS F 오너들도 할말은 없을것이다.] 그러나 전작인 [[렉서스 SC]]에도 탑재된 [[에어 서스펜션]]과 [[후륜 조향 시스템]]이 탑재되지 않았고 [[마크 레빈슨]] 스피커도 13개가 전부이다. 북미 판매 가격은 10만 달러 초반부터 시작하며, 10만 달러 언저리에 걸쳐 있는 럭셔리 GT카 혹은 고성능 스포츠 쿠페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경쟁모델로는 [[메르세데스-벤츠 SL]],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등이 있다. [[대한민국]]에는 2017년 7월 4일에 정식 출시했다. 국내 판매가는 LC 500 1억 7천만 원, LC 500h과 LC 500 컨버터블은 1억 8천만 원으로 책정됐는데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는 2017년 9월에, 그리고 [[컨버터블]]은 2021년 4월에 각각 출시되었다. [[대한민국]] 복합연비는 V8 5.0 7.7km/L, 컨버터블 7.5km/L,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10.9km/L. 2023년에 한국 시장에서 판매중인 RC F가 판매중단되면서 현재 LC는 한국시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렉서스의 유일한 럭셔리 쿠페이다. 2023년에 2024년형으로 연식 변경을 했다. 따라서 LC는 2024년에도 페이스리프트는 없는 걸로 확정됐다.--벌써 7년째이다.-- 외부는 디자인에선 변한게 없고 휠 부분 색상이 약간 변경됐는데 21인치 알로라 휠의 외각 부분을 검정색으로 처리했다. 내부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내비게이션]]이 약간 커지고 앞으로 좀 더 튀어나왔다. 가격이 공개된 직후 높은 가격이 지적되었다. 물론 [[북미]]에서 퍼포먼스 패키지에 해당하는 모든 옵션[* 카본루프, 카본 도어스커프, 접이식 리어 스포일러, 가죽 및 알칸타라가 다량으로 적용된 고급진 실내, 21인치 단조휠 등]이 빠짐없이 적용되어서 가격이 높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동일 가격대에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차종이 시장에 나와 있음을 감안할 때, 다소 높게 책정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2019년 페이스리프트 모델 [[렉서스 RC|RC F]]의 가격이 9천 8백만원[* 2019년 페이스리프트 하기 전에 가격은 1억 2천만원 이였다.]임을 감안한다면 납득할 수 없는 가격이다. RC F도 가격이 4천만원이나 인하되었는데 LC도 가격을 내려야 한다는 말이 많지만 2021년 기준으로도 납득하기 힘든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고급 GT카이기에 그럴 가능성은 한없이 낮지만 LC의 카본, 가죽과 알칸타라 등의 실내소재들에서 원가절감을 하고 단가를 낮춘 라인업을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면 판매가 이정도로 부진한 것 만은 면할 수 있었을 거라고 말한다.[* 애초에 국내 및 일본 시장에서 가격을 높게 측정하는 렉서스답게 1억 7~8천으로 국내 가격이 너무 높게 측정되었다. 심지어 [[영국]]에서는 한화로 1억 3천에 판매된다고 하며, 가솔린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가격차가 거의 나지 않는다 한다. 이것보다 가격이 좀 더 저렴하고 쟁쟁한 모델 중에서 [[포르쉐 911]]같은 경우도 물론 기본형 기준 1억 5천주면 구매 가능하고, LC 살 바에는 돈을 좀 더 주고 2억짜리 [[마세라티]]를 사는게 낫다는 말도 있다.] 2023년에는 가격이 인하되기는 커녕 더 올랐다. 또한 경쟁 모델들 대비 성능 수치가 낮으며 비슷한 가격대의 다른 모델들로 하단의 포르쉐 911, AMG GT, 재규어 F타입 등보다 마력과 제로백이 떨어지며 LC 500 말고는 내세울 만한 모델도 없다. LC 500h는 유지비 적게 낼려고 하는게 아니라면 살 이유가 없다. 배기량이 LC 500보단 작고 일단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지만 2023년경부터는 정부에서 하이브리드 취득세 감면을 폐지한다고 하며, 연비는 10.9km/L로 LC 500보다 훨씬 높지만 무게와 배기량 등은 어쩔 수 없어 하이브리드로선 최하위권이다. 물론 하이브리드라서 다른 브랜드의 동급 스포츠카 혹은 GT카들보단 연비가 월등히 높다. 따라서 LC 500보다 배기량이 작고 연비가 높아 유지비를 LC 500보단 적게 내지만 쿠페여서 일반 세단보다 보험료를 많이 내야 하며, 공차중량이 2톤이 넘어가는데다가 배기량도 3.5L라 친환경 차량이 아닌 그냥 일반 저공해 차량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 혜택은 별로 없다.--애초에 LC를 구매할 경제력이 되면 유지비 걱정하는게 진짜 이상할 정도이다.--[* 연비는 LC 500이 7.7km/L로 낮지만 대배기량의 쿠페니깐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고 82L라는 대용량 연료탱크를 탑재해 항속거리는 나쁘지만은 않다. 또한 어차피 LC 500이나 500h나 고급유 넣어야 하는건 똑같다.] 컨버터블 모델보다 100만원이 더 비싸며 LC 500과는 1000만원 넘게 차이가 난다. 또한 하이브리드의 엔진과 모터의 합산출력이 너무 약하다. 게다가 쿠페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트렁크 용량을 안그래도 작은데 배터리가 잡아먹어 더 작게 만든다. 장점으로는 LC 500보단 조용하고 자신이 오염물질을 덜 배출해서 환경을 나름 보존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다. 엔진 공회전으로 인한 연료소모도 적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여담으로 하이브리드라 해서 배기음이 소리가 작거나 이상하게 들린다는 걱정은 일절 안해도 된다. 왜냐면 LC 시리즈에는 공통적으로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장착되어 엔진 배기음을 증폭시켜 주기 때문이다.--한마디로 가상 배기음-- 애초에 LC의 5.0L V8 엔진도 LS 600hL의 V8 엔진을 개조해서 만든 것으로 스포츠성과는 거리가 멀고 굉장히 부드럽고 조용하게 세팅된 엔진이다. 그렇기 때문에 LC의 주행모드를 에코나 노멀로 주행하면 급가속이나 처음 시동걸때만 제외하고는 굉장히 조용하다. 스포츠 모드로 했을 시 그제서야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활성화되어 배기음이 들린다. === 제원 === ||<-3> {{{#ffffff '''LC 시리즈의 제원'''}}} || || '''모델구분''' || LC 500/500 [[컨버터블|CONVERTIBLE]] || LC 500[[하이브리드 자동차|h]] || || '''등급''' ||<-2> SPORT+[* 미국 시장으로 따지면 풀옵션이다.] || || '''최초생산년도''' || 2017년 4월/2021년 4월[*컨버터블 ] || 2017년 9월 || || '''이전 세대 모델''' ||<-2> [[렉서스 SC]], [[렉서스/콘셉트 카#s-2.9|LF-LC]] || || '''프로젝트 코드명''' ||<-2> Z100 || || '''제조국가 및 제조사''' ||<-2> [[일본]], [[렉서스]] || || '''생산지''' ||<-2> [[일본]] [[아이치현]] [[토요타시]] 모토마치 제 1공장 || || '''차량가격''' || 1억 8,170만원/1억 9,050만원[*컨버터블 ] || 1억 9,240만원 || || '''엔진''' || 5.0ℓ V8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br]([[토요타 UR 엔진#s-2.2.1|2UR-GSE]]) || 3.5ℓ V6 가솔린 엔진 + 전기모터[br]([[토요타 GR 엔진#s-2.8.2|8GR-FXS]]) || || '''배기량''' || 4,985cc || 3,456cc || || '''연료''' ||<-2> 휘발유 RON 96 || || '''엔진 최대 회전수''' || 7,100rpm || 6,600rpm || || '''출력''' || 477ps || 359ps(엔진 : 299ps) || || '''토크''' || 55.1kgf.m || 35.7kgf.m || || '''미션형식''' || 다이렉트 시프트 10단 자동 ||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 '''구동방식''' ||<-2> [[FR(자동차)|FR]] || || '''타이어''' ||<-2> [[브리지스톤|BRIDGESTONE]][br]전 245/40RF21 - 후 275/35RF21 런플랫 타이어 (단조휠) || || '''전륜서스펜션''' ||<-2> [[멀티링크 서스펜션|멀티링크]] || || '''후륜서스펜션''' ||<-2> [[멀티링크 서스펜션|멀티링크]] || || '''전륜브레이크''' ||<-2> 6P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 '''후륜브레이크''' ||<-2> 4P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 '''특이사항''' ||<-2> GA-L(Global Architecture-Luxury), Driver's Mind Index(DMI) || || '''0-60mile/h''' || 4.4초/4.6초[*컨버터블 ] || 4.7초 || || '''최고속도''' ||<-2> 260km/h ~ 270Km/h || || '''연료탱크 용량''' || 82ℓ || 84ℓ || || '''연비''' || 7.7 km/ℓ (5등급)/7.5 km/ℓ (5등급)[*컨버터블 ] || 하이브리드: 10.9km/ℓ (4등급) || || '''CO₂ 배출량''' || 226g/km/230g/km[*컨버터블 ] || 155g/km || || '''전장''' ||<-2> 4,760mm || || '''전폭''' ||<-2> 1,920 mm || || '''전고''' ||<-2> 1,345mm || || '''축거''' ||<-2> 2,870mm || || '''윤거전''' ||<-2> 1,630mm || || '''윤거후''' ||<-2> 1,635mm || || '''공차중량''' || 1,970kg/2,060kg[*컨버터블 ] || 2,005kg || || '''승차인원''' ||<-2> 2도어 4인승 || || '''트렁크 용량''' || 197ℓ[* 9.5인치 골프백 1개를 수납할 수 있다.] || 172ℓ[* 가솔린 모델보다 용량이 더 적은 이유는 트렁크 바로 앞에 전기모터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트렁크 용량이 줄어드는건 LC 500h 뿐만 아니라 모든 하이브리드 차량들의 단점이다.--에초에 쿠페에선 넓은 수납공간을 바라면 안된다.--] || || '''생산모델''' || [[쿠페]]/[[컨버터블]] || [[쿠페]] || || 출처 ||<-2> [[https://www.lexus.co.kr/models/LC-500/#/spec|LC 500]], [[https://www.lexus.co.kr/models/LC-500h/#/spec|LC 500h]], [[https://www.lexus.co.kr/models/LC-500-CONVERTIBLE/#/spec|LC 500 CONVERTIBLE]] || === C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zeAwO0tKj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7aAN4rxsw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tG68Rj0lhQ)]}}} || == 매체에서의 등장 == * 영화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의 [[부산광역시|부산]] 추격전 장면에 등장했으며, [[트찰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트찰라]]의 여동생 [[슈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슈리]]가 원격 조종한다. * 영화 [[슈퍼플라이]]에서 마약상 딜러인 주인공이 모는 차량으로 검은색상의 LC가 비중있게 나온다. * 드라마 [[뷰티인사이드]]에서 [[이다희]]가 남자주인공에 작업을 칠때 몰고 나온다. == 여담 == * 렉서스 [[강남구|강남]]점에서만 판매한다. 게다가 LC 500 한정이다. LC 500h나 LC 컨버터블 모델도 구매가능하지만 출고까지의 시간이 꽤 오래걸린다.[* 현재 LC 500 모델이 4대, 하이브리드 모델이 1대, 컨버터블 모델이 3대가 팔렸다고 한다. 덕분에 도로에서 LC를 찾아보기가 진짜 힘들며, [[포르쉐]]나 [[메르세데스-벤츠]] 등과 달리 LC는 도로에 나가면 디자인도 디자인이지만 희귀 차량이라 사람들의 시선을 한몸에 받는다.--쓸데없이 비싼 차량의 몇 안 되는 장점...--] * [[BIGBANG]] [[태양(BIGBANG)|태양]]이 [[https://www.youtube.com/watch?v=NtG68Rj0lhQ|홍보모델]] 겸 소유하고 있다. * 모터트렌드 체널에서 LC 500로 레이싱을 했는데 꼴등을 했다. 물론 대다수의 상대 스포츠카들이 LC 500이 비빌 상대가 절대 아니였지만 적어도 [[쉐보레 카마로|카마로]]랑 파워트레인이 LC랑 거의 비슷한 [[포드 머스탱|머스탱]]은 이길 수 있었다는 말이 많았다. 아무래도 거의 2톤이 육박한 차이며, GT카의 성격을 띄며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중시해서 스포츠성이 희생되었다고는 해도 문제는 이 차가 '''1억 7천'''이라는 결코 저렴하지 않은 가격의 차란 사실이다.[* 이 돈이면 [[포드 머스탱|머스탱]]을 2~3대, 혹은 훨씬 더 잘 달리는 콜벳이나 포르쉐 911 카레라, 닛산 GT-R 조차도 살 수 있다.] 또한 렉서스는 [[렉서스 LFA]]라는 걸출한 명작도 만들어본 적 있는 회사이기에 아쉬움이 더 커진다.--적어도 [[기아 스팅어|스팅어]]는 꼴등은 안했다.-- [youtube(cvk18vx-nrY)] * 렉서스에선 하이브리드 차량 대상으로 선수금 50%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24개월 무이자 할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는데 만약 LC 500h를 24개월 무이자 할부로 진행한다 하면 차량가격 179,500,000원 중에 선수금 50%(89,750,000원)를 내고 그다음 3,739,583원(...)을 한달에 한번씩 꼬박꼬박 2년동안(...) 렉서스 파이넨셜 금융 센터에 갖다 바쳐야 한다.--월 400만원이라니... 중도상환은 꿈도 꿀수 없다.-- 게다가 리스금액도 미쳤다. 프리미엄 저금리 할부 프로그램이라고 안내하면서 들어가보면 금융리스 기준으로 선수금 54,000,000원에다 월 2,300,000원 계약기간 60개월이라는 정말 너무하다싶은 가격으로 안내를 하고 있다. 금리도 3.75%나 된다. 물론 렉서스 전용 리스라 보험료와 차량 잔존가치, 차량혜택도 포함되있지만 저금리 치곤 과도한 면이 없지않아 있다. 렉서스에서 제공하는 할부나 리스는 이거밖에 없으며 못하겠으면 캐피탈이나 다른 카드사가 운영하는 할부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데 다들 렉서스랑 비슷비슷하다.[* 물론 선수금 1억정도로 치고 60개월로 하면 월 100만원대로 줄긴 하지만 이자를 내고 대부분 금리가 높아 부담이 가기 쉬우며 이 차량을 5년동안 탈 자신이 없을수도 있기 때문에 그냥 자기 분수대로 차를 타야 하는게 맞다.] == 경쟁 차량 == * [[메르세데스-AMG]] - [[AMG GT|GT]], [[메르세데스-벤츠 SL|SL]] * [[BMW]] - [[BMW 8시리즈|8시리즈]] * [[마세라티]] -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그란투리스모]] == 둘러보기 == [include(틀:렉서스의 차량)] [include(틀:렉서스 F의 차량)] [[분류:렉서스/생산차량]][[분류:2017년 출시]][[분류:그랜드 투어러]][[분류:쿠페]][[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컨버터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