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베리아 국왕)] ||<-3><#808000> '''{{{#FFF 이베리아 왕국 17대 군주}}}''' [br] {{{+2 {{{#FFF ''' რევ | 레브 1세'''}}}}}} || ||<|3><#808000> '''{{{#FFF 제호}}}''' ||<#808000> '''[[한국어|{{{#FFF 한국어}}}]]''' ||레브 1세 || ||<#808000> '''[[조지아어|{{{#FFF 조지아어}}}]]''' ||რევ || ||<#808000> '''[[라틴어|{{{#FFF 라틴어}}}]]''' ||Rev I || ||<-2><#808000> '''{{{#FFF 별명}}}''' ||정의로운 자(მართალი) || ||<-2><#808000> '''{{{#FFF 생몰 년도}}}''' ||미상 ~ 216년 || ||<|4><-2><#808000> '''{{{#FFF 재위 기간}}}''' ||189년 ~ 21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베리아 왕국]] 17대 군주. == 생애 == '레브(Rev)'는 중세 이란어 Rēw의 파생어로, "부유한 자" 또는 "훌륭한 자"를 의미한다. [[아르메니아]] [[아르샤쿠니 왕조]]의 군주 [[볼로가세스 5세|볼로가세스 2세]]의 아들로, 어머니는 이베리아 왕국 초대 왕조인 파르나바자드 왕조의 마지막 군주 [[아마자습 2세]]의 누이다. 189년 아마자습 2세가 반란군에게 피살된 뒤, 아버지의 의향에 따라 이베리아 왕국 군주가 되었다. 그는 그리스인의 딸 세필리아와 결혼했으며, 수도 므츠헤다에 [[아프로디테]]의 동상을 세웠다. 한편 [[인신공양]]을 엄격히 금지했으며, [[기독교]] 신자는 아니었지만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보호해줘서 후대 기독교 학자들로부터 "정의로운 자"라는 칭호로 불렸다. 216년 사망했고, 아들 [[바체]]가 뒤이어 왕위에 올랐다. [[분류:이베리아 국왕]][[분류:21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