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레드 얼럿, rd1=레드 얼럿)]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411px-G1_RedAlert_profileart1.jpg|width=100%]] || ||<-2> '''{{{#fff {{{+1 레드 얼럿}}} [br]Red Alert / レッドアラート}}}''' || || '''{{{#fff 이름}}}'''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얼럿 / Alert / アラート || || '''{{{#fff 비클}}}''' ||[[람보르기니 쿤타치]] LP500S || || '''{{{#fff 소속}}}'''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토드 하버콘]]^^(WFC 트릴로지)^^ [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나카무라 카즈마사^^(WFC 트릴로지)^^[* [[범블비(영화)|범블비]]에서 [[클리프점퍼(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클리프점퍼]]를 맡았다.]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1]] 세계관에 등장하는 [[오토봇]] 소속의 트랜스포머로 [[의무병]]임과 동시에 아크의 보안 책임자였다.[* Security Director] == 작중 행적 == === [[트랜스포머 G1]] === [[브런]]이 일시적으로 미친 듯이 날뛰자 한 번의 펀치로 브런을 공격했다. ==== [[트랜스포머 더 무비]] ==== [[데바스테이터(G1)|데바스테이터]]와 싸우다 죽는 장면이 있었지만 삭제되었다. 다만 이쪽은 후에 코믹스에서 원래 장면이 그대로 삽입되어서 사망처리되었다. ===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애니메이션)|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 시즌 1 1화에서 아크에서 부상당한 오토봇 병사들을 돌보는 것으로 등장한다. 이 당시 [[라쳇(G1)|라쳇]]은 오토봇 전쟁에 신경쓰지 않아서 아크에 있지 않았기에 레드 얼럿 혼자서 부상병들을 치료했다. 이때 레드 얼럿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때는 평범한 의사였으나, 전쟁이 발발하자, [[군인]]이 되었다고 한다. 이후 범블비를 치료해준다. 시즌 1에서 종종 얼굴을 비추다가 마지막화에서 아크 문쪽에서 [[옵티머스 프라임(G1)|옵티머스]]와 [[엘리타 원(G1)|엘리타 원]], 라쳇과 함께 다른 오토봇들이 무사히 아크에 탈 수 있도록 돕다가 디셉티콘 병사의 총을 맞아, 낭떠러지로 떨어진다. 하지만 가벼운 부상만 입고 살아납았고 [[엘리타 원(G1)|엘리타 원]]과 [[크로미아]], [[제트파이어(G1)|제트파이어]]와 함께 사이버트론에 남아서 오토봇 잔당을 만든다. 시즌 2에서는 엘리타 원, 크로미아, 제트파이어와 함께 디셉티콘 포로들을 풀어주며 다닌다. 이후 이 셋도 곧 잡히지만 자신들이 풀어주었던 포로들이 자신들을 구해주고 이들과 함께 탈출하여 기지로 간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케이온을 박살내러 가지만 [[쇼크웨이브(G1)|쇼크웨이브]]의 계략으로 엘리타 원은 잡히고 크로미아는 사망, 제트파이어와 레드 얼럿과 다른 포로들도 모두 잡힌다. 결국 폭탄은 터지게 되고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한 엘리타 원은 폭발에 휘말리게 되고 제트파이어와 레드 얼럿, 다른 포로들도 모두 도망치다가 폭발에 휘말리게 된다. == 기타 == == 완구 == [[분류: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1/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