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드 데몬즈 드래곤)] [목차] == 개요 == "레드 데몬즈 드래곤" 및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에 대한 목록. 2023년 신규 출시한 스트럭쳐 [[왕자의 고동]]의 신규 카드들이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들을 지원하는 효과로 구성 되어 있어 기존의 레드 데몬즈 드래곤 서포트 마법 / 함정 카드 들도 신규 지원의 대상이 됐다. 다만, 기존의 마법 / 항정 카드들의 경우 매우 애매하거나 좋지 못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지원의 대상이 됐음에도 투입률은 상당히 저조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2 === ==== [[레조네이터(유희왕)#비전 레조네이터|비전 레조네이터]] ====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 카드. === 레벨 3 === ==== [[레조네이터(유희왕)#소울 레조네이터|소울 레조네이터]] ====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카드를 효과 파괴로부터 지켜주는 카드. === 레벨 10 === ====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 ====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릴리즈 하고 소환가능한 진화체.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8 === ==== [[레드 데몬즈 드래곤]] ==== 본인. ====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 ==== 레드 데몬즈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카드. ==== [[스카레드 데몬]] ==== 레드 데몬즈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카드. === 레벨 10 === ====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소재로 요구하는 카드. === 레벨 12 === ====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소재로 요구하는 카드. == 마법 == === 크림즌 헬 시큐어 ===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56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크림즌 헬 시큐어, 일어판명칭=クリムゾン・ヘル・セキュア, 영어판명칭=Scarlet Security,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원작 ||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自分フィールド上に「レッド・デーモンズ・ドラゴン」が存在する場合、相手フィールド上に存在する表側表示の魔法・罠カードを全て破壊する。 원작에서는 [[아포리아]]와의 결전에서 등장한 카드. 이것으로 아포리아의 마법 / 함정들을 파괴해 승리의 길을 텄다. 원작에서는 앞면 표시만 파괴했지만 OCG화되면서 앞뒷면을 가리지 않도록 버프를 먹었다. 효과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 전용 [[해피의 깃털]]. 다만 보통 해깃은 후공돌파용으로 쓰이는 카드인데, 레드 데몬즈를 뽑을 정도로 전개했다면 사실 이 카드가 쓰일 일은 없다고 봐도 좋을 듯. 물론 [[파문의 베리어 -웨이브 포스-]], [[길항승부]] 같이 배틀 페이즈나 그 후에 발동하는 카드나, [[스킬 드레인]]같은 지속 함정을 제거하는 용도라면 확실히 쓸모는 있을 것이다. 근데 스드처럼 몬스터 효과를 막는 게 아니라면 차라리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가 훨씬 낫다. 너무 오래된 카드라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요구한다는 점이 단점이었는데, 2015년 즈음부터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직접 지정한다기 보다는 "레드 데몬" 카드군이나 "8레벨 이상 드래곤족/어둠 속성"같은 방식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2023년 [[왕자의 고동]] 출시 이후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원본이 채용할 확률도 올라서, 기존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인 마/함중에서는 가장 채용해볼만한 카드일 듯하다. 해깃이 제한 1이고, 레드 데몬 자체도 상대 후열을 정리할 카드가 타이란트나 슈퍼노바 말고 없으니까. 하지만 상대 마/함 존을 그대로 둔 채 견제를 받지 않고 레몬을 필드에 낼 수 있는 정도라면, 그냥 더 강력한 몬스터를 전개하는 편이 낫고, 해깃 대체용이라면 이 카드보다는 [[라이트닝 스톰]]이 훨씬 낫고, 더 필요하다면 차라리 [[싸이크론]] 류나 [[나이트 샷]]을 투입해서 1장이라도 정리하고 전개하는 게 나을 듯. 일러스트에서 파괴되는 카드는 [[빛의 봉인검]]과 [[강자의 고통]]. 둘 다 비트 계열에겐 극상성인 카드이므로 사소하지만 나름 적절한 선정이라 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5>수록 시리즈 || ||<(> 2011-0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VC-JP045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XVC-EN045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6-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VC-KR045 | '''[[익스트림 빅토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홍련마룡의 항아리 ===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56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홍련마룡의 항아리, 일어판명칭=紅蓮魔竜の壺(ぐれんまりゅうのつぼ), 영어판명칭=Red Dragon Vas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를 발동할 경우\, 다음 상대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원작 효과 ||<-2>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自分フィールド上に「レッド・デーモンズ・ドラゴン」が表側表示で存在する場合のみ発動する事ができる。自分のデッキからカードを2枚ドローする。 원작에서는 [[아포리아]]와의 결전에서 등장한 레드 데몬즈 전용 [[욕망의 항아리]]. OCG화 되면서 발동하는 경우 상대 턴 종료 시까지 소환 /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붙어서 쓰기 까다로워졌다. 레드 데몬즈를 소환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소환한 턴에는 이미 특수 소환을 했으므로 이 카드의 발동이 불가능하다. 한 턴 필드에서 버틴 후에 추가 전개를 포기해야 드로우가 가능한 것. 차라리 이 카드를 발동한 다음부터 일소,특소가 불가능한 효과였다면 그나마 나았을텐데, 아예 써먹지 못할 수준으로 만들어놨다. 2023년 스트럭쳐 [[왕자의 고동]]에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를 지원하는 카드가 많이 생겼지만, 이 카드는 여전히 다음 턴까지 소환을 틀어막는 효과 탓에 쓰기 어렵다. 애니에서 [[아몬 가람]]이 썼던 카드처럼 잔존 효과를 없애주는 카드라도 생기지 않는 한 이 카드는 사용될 일이 없을 듯. '''수록 팩 일람''' ||<-5>수록 시리즈 || ||<(> 2011-0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VC-JP046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XVC-EN046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6-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VC-KR046 | '''[[익스트림 빅토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앱솔루트 파워포스(속공 마법)|앱솔루트 파워포스]] ===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카드]] === [[크림즌 헬가이아]] ===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서포트하는 효과들로 무장한 강력한 지속 마법 카드. == 함정 == === 크림즌 헬 플레어 ===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304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크림즌 헬 플레어, 일어판명칭=クリムゾン・ヘルフレア, 영어판명칭=Crimson Fir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상대가 데미지를 주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대신에\, 상대는 그 효과 데미지의 두 배의 데미지를 받는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공격명 [[필살기 카드]]. 효과 데미지를 2배로 받아치는 효과로 발동에 성공만 하면 매우 강력한 효과이며, 이 카드 또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 있기에 [[왕자의 고동]]에서 새로 나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필드에 레드 데몬즈가 필요한 데다가 효과 데미지를 주는 마법 / 함정 카드의 채용률도 낮아서 사용할 가치가 떨어지는 카드다. 원작에서는 유세이의 메테오 스트림을 씹고 반격을 날렸지만 [[방어막(유희왕)|백은의 방어막 -실퍼 포스-]]에 [[역관광]]당했다. --마침 카드 일러스트도 뭔가 배리어같은거에 막혔다.-- 이후 [[팀 태양]]과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 요시조가 스피드 월드 2의 효과로 800 데미지를 주자 이 카드로 뻥튀기해 1600 데미지로 돌려줘 요시조를 탈락시켰다. 원작에선 몬스터도 카운터칠 수 있고 '''효과의 발동'''에도 반응할 수 있지만, 현실에선 '''카드의 발동'''에만 반응하기에 현실판 효과였으면 발동이 막혀서 그대로 데미지를 허용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장렬한 전투]] || RGBT-KR06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JP06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DUELIST EDITION Vol.3 || DE03-JP150 || [[노멀]] || 일본 ||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EN06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5>수록 시리즈 || ||<(> 2011-0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VC-JP046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XVC-EN046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6-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VC-KR046 | '''[[익스트림 빅토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스크린 오브 레드 === [[파일:スクリーン・オブ・レッ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스크린 오브 레드, 일어판 명칭=スクリーン・オブ・レッド, 영어판 명칭=Red Screen, 효과외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엔드 페이즈마다 1000 LP를 지불한다. 1000 LP를 지불할 수 없는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묘지의 레벨 1 튜너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공격력 2000이하의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할 수 없다. 또,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엔드 페이즈 시에 2000포인트 대미지를 받는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경우,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 ##このカードがフィールド上に表側表示で存在する限り、攻撃力2000以上のモンスターは攻撃宣言をする事ができない。また、このカードのコントローラーは自分のエンドフェイズ時に2000ポイントダメージを受ける。「レッド・デーモンズ・ドラゴン」が自分フィールド上に表側表示で存在する場合、このカードの効果を無効にして破壊する。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이나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을 소환하라고 준 카드. 매 턴 1000 LP 지불은 조금 뼈아프지만 강력한 공격 봉인 효과는 매력적이다. LP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 같은 덱에 유용하다. 참고로 텍스트 보면 알겠지만 LP를 지불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지불할 수 없을 때''' 파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1000 LP 남은 상황에서 자신 엔드 페이즈가 돌아오면 지불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LP가 그대로 0이 된다. 물론 [[악몽의 신기루]]-[[비상 식량(유희왕)|비상 식량]] 콤보의 응용편으로 상대 턴에 발동해 공격을 봉쇄하고 엔드 페이즈가 오기 전에 파괴하거나 하는 활용법도 있다. 태그포스 등의 게임에선 잭이 이 카드를 이용해 위기에서 탈출하는 경우가 많다만 라이프 생각을 안 하고 막 발동하다 이 카드 때문에 자멸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엑시즈 소환]]의 등장으로 [[그레비티 바인드]]나 [[레벨 제한 B구역]] 등의 공격 봉인 효과가 엄청나게 약화되었으므로 이 카드의 유용성이 조금 올라갔다. 애니에서 [[홍련의 악마의 종]]과 쓸 때 나온 이 카드는 발동 직후 파괴되었다. 여기선 LP가 2000이나 필요한 카드였으며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있을 때의 파괴 + 튜너 특수 소환 효과도 없었다. OCG가 더 좋아진 경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6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6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6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카레드 코쿤 === [[파일:スカーレッド・コク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스카레드 코쿤, 일어판 명칭=スカーレッド・コクーン, 영어판 명칭=Red Cocoo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S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 엔드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원작 효과 ||<-2> 지속 함정 || ||<-2>발동 후 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1장의 장착 카드가 된다. 장착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배틀 페이즈 동안에만 그 상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장착된 이 카드가 파괴된 턴의 엔드 페이즈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후도 유세이]]와의 마지막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하이스피드 라이더즈]]에서 4년만에 OCG화되었다. 원작에서는 지속 함정이었고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전용 카드였다.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전용 장착 함정으로 장착 몬스터에게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스탭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③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는 위치를 따지지 않으므로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져도 엔드 페이즈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 [[스카레드 존]] ===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는 지속 함정 카드. === [[데먼즈 골렘]] ===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때 이 카드를 발동할 경우, 덱 / 묘지에서 [[데먼즈 체인]] 1장을 필드에 세트할 수 있는 함정 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드 데몬즈 드래곤 , version=447, paragraph=3)][[분류:유희왕/OCG/카드군/서포트 카드]][[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