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leggy == [[다리(신체)|다리]]가 길고 예쁘다는 뜻의 [[영어]] [[형용사]]. 간단히 말해서 '''[[각선미]].''' 이에서 유래하여 각선미를 부각시킨 [[패션]]을 레기 룩이라고 일컫는다. [[포르노]] 업계에서는 맨다리나 스타킹 페티쉬 용어로 흔히 쓰인다. == laggy == [[인터넷]] 연결에 [[렉]](lag)이 심하다는 뜻의 [[영어]] [[형용사]]. 실시간으로 있다없다 하는 렉이 실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게임]]에서 주로 사용된다. 영어권 서버에서 [[FPS]], [[RTS]], [[MMORPG]]등의 게임을 하다보면 곧잘 보는 단어. 아주 드물게 외국물 좀 많이 먹은 교포나 한국어를 뒤늦게 배워 어휘가 부족한 2세들이 "레기하다"라는, 묘하게 다음 항목의 의미와도 연관돼보이는 한글 챗을 하기도 한다. == (쓰)레기 == [[쓰레기]]에서 유래된 비하적 뉘앙스로 쓰이는 [[인터넷 은어]] [[접미사]]. 어원이 어원인지라 주로 성능이나 가치가 떨어지는 것, 또는 [[인간 쓰레기]] 따위에 쓰인다. [[본좌]] 소리를 들을 정도로 시대를 풍미했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가 [[3.3 혁명]] 이후로 내리막길을 걷더니만, 결국 [[마재윤|마모씨]]의 별명에 [[마레기]]라는 [[별명]]이 추가됨으로써 촉발했다. 물론 처음에는 '''실력이 쓰레기'''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실력 이전에 인격을 모독하는 뉘앙스 때문에 자제하자는 이야기도 없지 않았으나,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이 터지고 나서는 문제의 별명이 아예 '''인격이 쓰레기'''라는 뜻으로 굳어졌다. [[이름]] 뒤에다가 레기만 붙여도 단어 성립이 되는 점, 그리고 어감이 꽤나 착착 달라붙는 점 등으로 인해서 사용 범위는 꽤나 넓다. 예를 들어서 [[약캐릭터]]를 표현할 때 쓰이는 [[쿄레기]]라든가 [[울트라리스크|울레기]]라든가... 또한 위의 마모씨 때문에 [[동방 프로젝트 갤러리|어딘가에서]] 덩달아서 까이게 된 [[키리사메 마리사#s-5|마레기]]라든가. 이쪽은 심지어 '''마모씨 [[딸]]'''이라는 별명까지 붙었고 한동안 여러 가지로 성능 조작이 아니냐는 [[드립]]까지 나돌았다가, 문제가 커질 것이 우려되어 [[원조]]를 제외하고는 전부 삭제되었다.[* 더 지니어스에서 보여준 몹쓸 행동과 [[음주운전]]으로 붙은 별명(그러나 그녀석으로 더 잘 불린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당시에는 유력한 우승후보가 예상 밖의 패배를 당하거나 [[광탈]]하는 등의 이변이 일어날 때마다 그 당한 쪽에게 붙였다. * 스레기([[스페인]]) - 조별리그 1차전서 [[스위스]]에 0-1로 패배.[* 다만, 이쪽은 그 이후 남은 경기를 전승으로 우승함으로써 오명을 벗었다.] * [[프레기]]([[프랑스]]) - 콩가루 대표팀의 [[OME]]스러운 막장 행각으로 인해 1무 2패로 8년 전 [[세네갈]][[세네갈 쇼크|쇼크]]를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재현하며 광탈]]. * 이탈레기([[이탈리아]]) -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 1-1로 [[무재배]]를 하고 [[슬로바키아]]에 2-3으로 패배. 44년 전 [[북한]] 쇼크를 재현하며 광탈. 축구대표팀 이외에도 어떠한 선수의 [[멘탈]]이나 실력이나 부진을 들먹이며 '~레기'라고 붙이면서 까기도 한다. 예를들어 [[페르난도 토레스|토레기]], [[기성용|기레기]] 이런 식으로 말이다. [[스마트폰 갤러리]]에서는 각종 [[휴대 전화|폰]]을 폄하하는 용도로 쓰인다. 사실 까이지 않는 폰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폰은 ~레기 별칭이 있는 셈. [[삼성 갤럭시|갤레기]], [[iPhone|아레기]][* 아레기의 별명에는 몇몇 [[앱등이]]들도 한몫했다.], [[구글 넥서스|넥레기]], [[LG 옵티머스|옵레기]], [[모토로이|모레기]], [[모토쿼티|모쿼레기]], [[모토글램|글레기]],등. 다만 [[갤러리]]에서 인지도가 떨어지는 폰의 경우, 기존의 폰과 별명이 겹치게 되면 아예 ~레기를 부여받지 못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옵티머스 Z]], [[갤럭시U]] 등등. 심지어 안타깝게도 구린 성능으로 인해서 ~레기를 붙여주기도 아까워서 [[베가|그런 별명을 쓰지 않는 폰]]도 존재했지만... '''베'''가 '''레'''이서 출시 이후 '''베레기'''가 돼 버렸다. [[기레기]]라는 용어도 있는데,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사실처럼 쓰거나 [[언론플레이]]를 조장하는 [[기자]]에 쓰는 표현이다. [[셀프디스]]로 나레기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별명을 공유하는 사람도 있긴 하다. 예를 들면 고레기라든가 양레기라든가... === 파생어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파생어 ==== * '''{{{+1 [[기레기]]}}}''' * [[마레기]] * [[카레기]] * [[코레기]] * [[쿄레기]] * [[프레기]] * [[우주쓰레기]] * [[벨레기]] ==== 기타 파생어들 ==== * '''[[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Big Red Button - 빅레기, B레기]]''' * [[고영욱]][* 고영욱 한정으로 고[[로리]]라는 멸칭도 있다.], [[고영민]], [[고원준]] - 고레기 * [[고우(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고우]] - [[고우(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비판|고우레기]] * [[김갑환]] - 김레기 KOF 97과 KOF 2002 UM의 답없는 성능으로 쿄레기처럼 약캐시절 김갑환의 별명이다. * [[금민철]] - 납레기 * '''[[길(가수)|길]] - 길레기, 쓰레길''' [[길(가수)/무한도전]] 참조. 초창기 투입 논란과 무리수로 인해 안티들에게 불렸다. '''이후 음주운전 사건으로 다시 이런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 [[길티 크라운]]의 레기 * [[오우마 슈]] - 슈레기 초중반 한정. 이후 갓슈님, 슌상님, 예슈님이라는 별명을 얻는다. * [[타마다테 소우타]] - 소레기 * [[사무카와 야히로]] - 야레기 * [[낫슈]] - 낫슈레기 나중에 추가로 낫통슈, 둘을 합쳐 '''낫통슈레기'''라는 별명도 얻었다.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 레기포켓몬 * [[대릴]] - 대레기 * [[시라누이 마이]] - 마레기 아랑전설 3, KOF97, 2003, XIII의 성능. 허나 마레기라는 말은 여럿 쓰이기 때문에 잘 안 쓰인다.. * [[레기 바이러스]] * [[레넥톤]] - 레네기 * [[레지기가스]] - 레기기가스 or 레기가스 * [[로버트 가르시아]] - 로레기 99, XIII의 성능으로 생겨났다. * [[료 사카자키]] - 료레기 99의 성능이 본 별명과 일치한다. * [[루갈 번스타인]] - 루레기 98의 노말 루갈이 제일 유명하다. [[하브루신]]도 참조. * [[루이스 수아레스]] - 手牙레기 * [[리피아]] - 리레기 * [[메이플스토리]]의 [[레지스탕스(메이플스토리)|레지스탕스]], [[데몬슬레이어(메이플스토리)|데몬슬레이어]] - 레기스탕스, 데레기 레지스탕스는 와헌, --메탁기--메카닉의 답없는 성능으로 레기스탕스로도 불린다. * [[메탈슬러그 레볼루션]] - 레볼레기 *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 멜레기 음원 조작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관련 기획사인 로엔,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의 소속 가수를 지나치게 밀어주는 경향이 있어서 대부분의 아이돌 팬들에겐 '음악방송 1위만 아니면 진작에 버렸을 곳'으로 통한다.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의 [[도적(바람의 나라)|도적]] - 도레기 * [[박명수/무한도전|박명수]][* [[무한도전 좀비 특집 28년 후]], [[자유로 가요제]], [[무한도전 스피드 레이서]] 한정. 워낙 삽질이 심한 터라... 게다가 태도 논란으로 비판 받는 일도 간간히 있다. 물론 이 태도 논란도 누가 봐도 명백한 태도 논란인 경우도 있고, 별 것도 아닌데 기자들이 괜시리 태도 논란이네 뭐네 하면서 트집 잡는 경우도 있다.], [[박태환|박약물]] - 박레기 * [[스물다섯번째 밤]] - 밤레기 * [[버서커(던전 앤 파이터)]],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시리즈 목록#버스트|버스트 시리즈]] - 버레기 버서커는 최근 노만크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 [[베가 레이서]] - 베레기 * [[벡터(유희왕)|벡터]] - 벡레기 * [[블루 마리]] - 말레기 * [[모바일 게임]] [[빠(속어)|악성 팬덤]] - '''모레기''', 혐바일 * [[부스터(포켓몬스터)]] - 부레기 * [[붐(연예인)|붐]] - 붐레기 * [[빙결사]], [[대한빙상경기연맹]] - 빙레기 * [[비(연예인)|비(정지훈)]] - 비레기 * [[Beats]] - 닥드레기 * 사토 마사유키 - 사레기 [[해차프리]]의 작화감독. 왜 이런지에 대해서는 항목의 평가 부분을 참조. * [[소닉 붐 시리즈|산자루 게임즈 - 산레기]] 산자루는 이외에도 갓 오브 워 컬렉션의 PS Vita판의 이식으로 악명이 높은 편이다. * [[소닉 더 헤지혹(2006)]] - 소레기 * [[소닉 붐 시리즈]] - 소닉붐레기 * [[스파키]]- 스레기 * '''[[수댕이]] - 수레기''' 공개 초기에는 정말 까였다. 몰론 게임판에선 진화형인 [[대검귀]]로 어느 정도 이미지를 살리긴 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에서 '''배로 말아먹었다'''.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확정. 알다시피 진짜 [[수레기]]도 있다. * [[퀄컴 스냅드래곤]] - [[퀄컴 스냅드래곤/S 시리즈/S3|스냅드레기]] 특히 S3와 [[화룡 810]]이 성능대비 발열과 배터리 소모량으로 인해 이 소리를 듣는다. * [[스모커]] - 스모레기 * [[셀레스티아 공주]] - 셀레기 * [[아사미야 아테나]] - 아레기 2002UM, XI 등 여럿에서 최악캐라서 범용으로 쓰인다. * [[아이리스(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아이리스]] - 아이레기 * [[아라라기 코요미]] - 아라레기 * [[아오이 아키라]] - 아키레기 * [[아수라(냥코 대전쟁)|아수라]] - 아수레기 * [[액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액셀러레이터]] - 액레기 초기의 갱생 전 무개념한 태도와 껄렁대는 성격으로 액초딩이라는 이름과 같이 까였다. 죽빵 맞은 후에는 액간지로 탈피하지만... * [[앤테이]] - 앤레기 * [[야가미 이오리]] - 이레기 2001, MIA에서의 성능으로 별명이 생겼다. * [[야부키 신고]] - 신레기 신고 자체가 대부분 약캐릭터라 대부분의 신고에게 범용으로 사용된다. 마치 히비키 단 처럼... * [[약캐릭터]] - 레기캐릭터 * [[양경민(1972)|양경민]], [[양상문]][*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 시절 한정. 하지만 2015년에는 감독 문제로도 까인다.], [[양승호]], [[양원경]], [[양준혁]][* 양준혁은 은퇴 이후 한정이며, 항목 참조.], [[양현석]] * [[어윤수]] - 어레기 * [[엠넷]] - 엠레기 * [[염경엽]], [[염보성]] - 염레기 * [[염무왕]] - 염무레기 * [[옴니아 II]] - 옴레기 * [[우주모함]] - 우주쓰레기 * [[울트라리스크]] - 울레기 --그러나 [[군단의 심장]]에서 대폭 상향을 먹으면서 울레기에서 울느님으로 거듭났고 특히 [[저저전/스타크래프트 2|저저전]]은 종결자... 도 잠시 [[공허의 유산]]에서는-- 허구헌날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령]]의 부동 조준 맞고 초월체의 품으로 가는지라 울레기, 울트라'리스크(risk)', '그 들짐승'[* 원조는 [[타락귀]]의 '그 날짐승'], 망조의 짐승, 심지어 ㅈㅈㅈㅆㅆㅆ으로 불리기까지 한다(...). * [[원종서]] - 원레기 * [[유비소프트 커넥트]] - 유플레기 * [[임태훈(야구선수)|임삿갓]], [[임하진|임로리]] - 임레기 * [[정현욱(1977)|정현욱]] - 노레기 * [[조조(삼국지톡)|조조]] - 조레기 * [[죠 히가시]] - 죠레기 98, 99 성능으로 생겨났다. * [[차명환]] - 차레기 * [[창룡 드렉슬러]] - 드레기 * [[창시타|창시타(듀얼스피어 리시타)]] - 창레기 * [[청동(인물)]] - 청레기 * [[치코리타]] - 치코레기 * [[최번개]] - 최레기 SVC CHAOS의 성능. * '''[[큐베]]''', [[큐브 엔터테인먼트]] - 큐레기 큐베는 큐레기'''통''', 큐브는 '''큡'''레기라고도 불린다. * [[메딕(팀 포트리스 2)/무기 목록#s-2.3|응급조치]] - 응레기 * [[테리 보가드]] - 테레기 XIV의 성능. * [[CM 펑크]] - 펑레기 2022년 후반부터 실망스러운 행적으로 까인다. * [[트레비스 블랙클리]] - 트레기 * [[티아라(아이돌)]] - 티레기 * [[하데스(냥코 대전쟁)|하데스]] - 하데스레기 * '''[[한지우]]''' - '''지우레기''' * [[헨리(가수)]] - 헨레기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한정. 단, [[친중]]을 선언한 현재는 진짜로 완벽한 레기가 되어버렸다. * [[히노 아키히로]][* [[기동전사 건담 AGE]] 실패 이후 한정으로. [[요괴 워치]] 들어서는 덜 까인다.], [[히드라리스크]] - 히레기 * [[헤기]] - 쓸헤기 * [[지미 파레디스]] - 파레기 * [[체키]] - 체키레기 * [[제논(메이플스토리)]] - 제레기통 === 레기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단어들 === * '''2014년의 [[강민호]] - [[번저강]]''' * [[김현수(1988)|김현수]] - [[구못쓰|사못쓰]] * [[김명제]] - 김먹제 * [[고원준]] - [[족까고마|고물]] * [[노하라 신노스케]] - 데빌구 * 2010년대 중반 이후의 [[드래곤 모델]] - [[또라이|또라곤]] * [[로제(엘소드)|로제]] - [[로죄]], 혐제, 로삭추 * [[맥시마]] - 맥돼지, 맥시망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의 [[바람의 나라(게임)#s-2.6|천인]] - [[천민]] * [[송은범]] - [[송은범|송은Bomb]] * [[쇼 하야테]] - [[허약테]] *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 [[앨단]] * [[수호군주]] - [[가필패]] * '''[[스파키]]-바퀴달린 쓰레기통, 똥파키''' * [[앤테이]] - [[유일신]] 항목만 보면 이게 왜 전설의 포켓몬 값을 못 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 [[부스터(포켓몬스터)|부스터]] - [[유일왕]] * [[에스마일린 카리대]] - [[생리대]](...) [[답이 없다|요약조차도 불가능하다]]. '''한국 프로야구 사상 최악의 용병'''. * [[이상목]] - [[대런 드라이포트|DD]]SM * [[이자요이 사쿠야]] - [[사단(동방영야초)|사단]] * [[진필중]] - 진[[필패]] * [[이혜천]] - [[체르노빌|혜르노빌]] * [[차우찬]] - [[차르 봄바]] * [[처칠 전차#s-2.2|처칠 건 캐리어]] - 처칠 갓 캐리어, 처칠 암 캐리어[* 이 전차는 [[워썬더]] 이외의 매체에서의 나쁜 취급 이전에 현실에서도 버린 자식 취급을 받았다. ] * [[소니 엑스페리아]] - [[쿠소|쿠소페리아]] * [[사토 마사오]] - 훈발놈 * [[쉐이머스]] - 쉐발놈, 사위머스 * [[폴 와이트]] - 통쇼 * [[트리플 H]] - 삼[[좆|X]], 그래서 내가 이기나 * [[용암 광전사]], [[로만 레인즈]] - 갓갓 갓갓갓, 오갓 * [[제프 하디]] - 약젶 * [[로만 레인즈]] - 로망이, 노망레인즈, 막타레인즈, 노잼레인즈, 탈장레인즈, 초밥레인즈, 로똥 * [[드류 맥킨타이어]] - 맥잉여 * [[크리스 벤와]] - '''벤호성''', 벤읍읍 * [[데이브 바티스타]] - '''바노보노''', 바창석, 삼섬, 극혐스타, 두피스타, 바찢스타, 탈모스타, 혐티스타, 삼섬스타, 홍삼스타, 블루티스타, 록맨스타, 산티스타, 창석스타, 부티스타, 무비스타 * [[부커 T]] - 구린가요, 구린갑 * [[메카닉(메이플스토리)]] - 메탁기 * [[일리움]] - 12움 아예 비슷한 처지의 미하일괴 엮어서 '''미하일리움'''이라 부르기도 한다. * [[신궁(메이플스토리)]] - [[병신|X신]]궁 * [[나뭇잎 마을]] - [[졸렬잎 마을]] * [[런처(던전 앤 파이터)/남자]] - 점심밥, 블래스턱 * [[P-38]]([[스트라이커즈 1945 II]]) - 진정한 남자의 기체 * [[버서커(던전 앤 파이터)]] - 버붕이, 노만크 * [[빈스 맥마흔]] - 빈[[좆|X]] * '''[[스페셜리스트(던전 앤 파이터)]] - [[패스파인더(메이플스토리)|패스파인더, 패파]]''' 애초에 스페셜리스트가 110시즌 최약캐 중 하나이고 2차 각성명이 단풍잎의 전직과 이름이 겹치기에 아예 옆동네 캐릭터 취급받는다.. * [[무녀(던전 앤 파이터)]] - 진:[[왕이되는자]] 110시즌 최약캐인 것과 겹쳐서 진각성 초기 일러스트와 엮여서 까인다.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유행어]][[분류:축약어]][[분류:접미사]][[분류:한국어 욕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