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 미제라블(뮤지컬))] [목차] == 개요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은 [[캣츠]],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오페라의 유령]], [[미스 사이공]]과 함께 [[캐머런 매킨토시]]의 대표작으로 꼽히곤 하는데 작품 분위기로는 고양이 무도회 캣츠나 스릴러 원작을 [[얀데레]]스러운 이야기로 바꾼 오유, 스토리가 막장스러운 미스 사이공과는 전혀 딴판이다. 각자 나름대로 힘든 삶을 살아가고 그걸 바꿔보려 발버둥치는 이들이 등장하는 극이다보니 각 넘버들이 곡조나 가사로 전하는 메시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혁명군과 캐스트 전체의 넘버는 전부 위엄돋는 무대 연출이 동반되고 합창으로 이뤄지지만, 남녀 배역들의 비중 조절도 잘 되어서 프롤로그와 바리케이드 함락 전후의 장면들을 빼고는 꽤 적절히 배분되었다. 때문에 캐스트 앨범이 발매되면 여러 넘버들이 음원차트를 오르내리며, 뮤지컬 배우가 개인 자격으로 참가한 행사에서도 자주 불린다. 의 경우 [[현충일]] 전몰자 추도식 같은 데서 부르면 유가족, 특히 '''부모님'''들이 통곡을 하고, <[[Do You Hear the People Sing]]?>의 경우 전형적인 혁명가다보니 합창단 공연은 물론 각종 집회현장에서도 단골 메들리로 불리기 때문에 독재정권이 금지곡으로 지정한 나라도 있다(...). 그렇다고 서정적인 내용의 인기곡이 없는 것도 아니라서 <[[On My Own]]>의 경우 하도 많이 부르다보니 오디션 금지곡이 되었으며, 은 [[수잔 보일]]이라는 늦깎이 가수를 발굴한 곡이 되기도 했다. 또한 웨스트엔드 초연 이후 브로드웨이에 진출할 때 다시 넘버들의 순서나 가사 등 여러가지 자잘한 부분을 수정하였고 웨스트엔드 공연의 넘버들도 브로드웨이 공연과 비슷하게 조정되었는데, 때문에 오늘날 공연에 나오는 곡들의 순서와 가사는 웨스트엔드 초연보다는 오히려 브로드웨이 초연과 비슷하다. 그리고 [[레미제라블(영화)|2012년 영화판]]에서는 이 브로드웨이 초연에 가까운 곡들을 다시 군데군데 손보고 순서를 바꿨는데, 매체가 무대공연이 아니라 영상이다보니 연출과 구성에 있어 제약이 적어서 뮤지컬 공연보다 더 자연스러운 연출이 나왔으며 넘버 배치와 가사들에서 웨스트엔드 초연의 흔적이 묻어났다.[* 코제트의 "아빠 기분 나쁘라고 하는 말은 아닌데 아빠 눈엔 내가 아직도 어린애로 보여?" 하며 대드는 부분은 콘서트나 브로드웨이 캐스트에서만 레미즈를 접한 일부 팬들에게는 영화판 고유의 가사로 여겨지기도 했다.] 다만 이 수정으로 인해 가브로슈와 성인 코제트의 비중이 확 줄어버렸다. 가브로슈의 은 반토막도 안되는 분량으로 자베르 정체 폭로하는 장면으로 밀려버렸고, 성인 코제트의 의 도입부 파트로 크게 줄어들어 코제트 캐릭터의 공기화에 일조하고 에포닌의 안타까운 짝사랑만 강조되었다. 특히 가브로슈의 파트가 잘린 것은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로도 사반세기가 흐른 오늘날까지도 아쉬움을 자아내는 편. == 1막 == === 1. Prologue: Work Song === [Youtube(IZdjz6lLngU)] 레 미제라블의 막을 여는 노래. [[툴롱]]의 [[프랑스 해군]] 드라이독에서 [[전열함]]을 끌어 올리는 고된 노역을 하는 [[장 발장]]과, 이를 감독하던 [[교도관]] [[자베르]]가 그에게 [[가석방]]을 통보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노래다. 워낙 예능 프로그램 등지에서 자주 사용된 탓에 [[마성의 BGM|앞 반주만 들어도 무슨 노래인지 쉽게 알 수 있는 넘버]]다. 스쿨 에디션 연출이나 프로덕션에 따라 초반부 노동의 종류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뙤약볕이 내리쬐는 광산(논밭)에서의 노동이지만 뙤약볕이 내리쬐는 죄수선에서 노젓는 노동이 되기도 하고, 대사는 같다. 그런데 2012년작 영화에서는 이 관례를 확 깨버리고 햇빛이 없는 폭풍우 속에서 시작한다! 툴롱의 기후를 생각할 때 강한 햇빛에 고통 받는 죄수들의 모습을 보여주는게 현실적이겠지만 영화에서 폭풍우와 좌초된 프랑스 [[해군]] 전열함을 통해 인트로 분위기를 잡는 연출이 나쁘지 않았다는 평도 있다. 2012년 영화의 해당 장면은 [[영국 해군]]의 현역 전열함 [[HMS 빅토리]]의 건선거에서 촬영되었다. 영화에서는 노래의 제목이 "Look Down"으로 알려져 있다. === 2. Prologue: On Parole === [Youtube(8cYKESmBiMM)] 교도소에서 나온 직후에 장 발장이 일 할 곳과 숙박할 곳을 찾지만 통행증 때문에 모두 거부 당하는 장면의 넘버이다. === 3. Prologue: Valjean Arrested, Valjean Forgiven === [Youtube(iWOsZj-AjHQ)] 주교관에서 은제 식기를 훔치다 헌병들에게 잡혀온 장 발장에게 주교가 촛대까지 내주는 장면의 넘버. === 4. Prologue: What Have I Done? === [Youtube(__3hloLqseU)] 주교에게서 용서를 받은 장 발장이 내가 지금까지 한 것은 무엇이었나를 되새기며 새로운 사람으로 살아갈 것을 다짐하는 넘버. 영화판에서는 "Valjean's Soliloquy"로 알려져 있다. === 5. At the End of the Day === [Youtube(wNsteNrgymI)] 1823년, [[몽트뢰유쉬르메르]]의 가난한 사람들의 신세 한탄, [[팡틴]]이 해고되는 과정을 다룬 넘버. === 6. I Dreamed a Dream === [Youtube(BcCknHQnZ2M)] 팡틴이 어떻게 사랑하던 사람에게 버림받고, 일자리에서 잘려서 꿈 꾸던 삶이 망가졌는지를 말하는 노래. 뮤지컬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다. === 7. Lovely Ladies === [Youtube(0yURggQm2Dg)] 팡틴이 머리와 이빨을 팔고, 더 팔것이 없어지자 자신의 몸까지 팔게되는 것을 표현한 넘버. 영화판에서는 I Dreamd a Dream 전에 나온다. === 8. Fantine's Arrest === [Youtube(fHBqK-JzRy0)] 바타마부아가 눈을 넣는 장난을 한 뒤, 보복으로 그를 때렸다 자베르에게 체포되고, 그를 본 마들렌 시장(장 발장)이 병원으로 데려가는 장면에서 사용되는 넘버이다. === 9. The Runaway Cart === [Youtube(TvO1BCc2Blc)] 포슐르방 노인이 마차에 깔리는 소동이 일어나자 마들렌 시장이 마차를 치우고, 자베르가 마들렌 시장의 정체를 의심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넘버. === 10. Who Am I? / The Trial === [Youtube(NNH0ZGAcCrE)] 장 발장이 무고한 샹 마티외 대신 자신이 장 발장임을 선언하는 장면의 넘버. === 11. Fantine's Death: Come to Me === [Youtube(eGkPhqtHNWI)] 죽어가는 팡틴이 마지막 숨을 거두기 직전, 장 발장에게 딸 [[코제트]]를 부탁할 것을 당부하는 넘버. === 12. The Confrontation === [Youtube(NpRwePeZo_8)] 자베르가 장 발장을 잡아가려하고, 장 발장이 코제트를 찾아와야 한다고 부탁을 하나 자베르가 거절하면서 일어난 칼싸움에서 사용된 곡. 멜로디가 Prologue: Work Song에서 가석방 통보 장면과 비슷하다. === 13. Castle on a Cloud === [Youtube(e-fmpY3lUhc)] 어린 코제트의 솔로곡. 노예같은 생활을 하면서도 어머니와 밝은 삶을 꿈꾸는 코제트의 상황을 담았다. 그런 상상은 테나르디에 부인과 그녀가 끔찍히 아끼는 딸 [[에포닌 테나르디에|에포닌]]에 의해 어두운 밤 숲에 물을 가지러 가게 되면서 끝난다. === 14. Master of the House === [Youtube(t67M6fNd1KU)] 본격 [[테나르디에 가족|여관집 주인장들]]이 손님들 등쳐먹는 노래. 몇 안되는 이 뮤지컬의 쇼 스토퍼(개그 넘버)로, 진정한 블랙 코미디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넘버다. === 15. The Bargain / The Thénardier Waltz of Treachery === [Youtube(3tFFqLBPZDw)] 장 발장이 숲속 샘터에서 코제트와 만나 여관으로 들어온 뒤 테나르디에 일가로부터 코제트를 데려갈 때 사용되는 넘버. === 16. Look Down === [Youtube(1bM0yG7fAIw)] [[1832년]], [[파리(프랑스)|파리]]의 거지들이 자신들의 처지를 봐 주라는 내용, [[가브로슈]]의 소개, [[아베쎄의 벗들]](소개)이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장군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연설을 하는 곡이다.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멜로디가 Prologue: Work Song과 비슷하다. 2012년도판 영화에서는 가브로슈가 테나르디에 일당을 경고하는 기사가 [[프랑스 혁명]]사에 대한 요약으로 변경되었다. 노래 제목도 Paris / Look Down으로 조금 변결되었다. === 17. The Robbery / 18. Javert's Intervention === [Youtube(Qzkc8n644mE)] 테나르디에 일당이 강도패를 꾸려서 장 발장을 털려다 자베르에게 걸린 뒤, 자베르가 사라진 피해자를 찾는 내용의 넘버. === 19. Stars === [Youtube(ZFIj8h0E36A)] 자베르의 정의관과 가치를 보여주는 독백 곡. 영화판에서는 자베르가 수도원으로 들어간 장 발장을 놓친 뒤 나오며, 바로 Look Down으로 흘러간다. === 20. Éponine's Errand === [Youtube(hPoxxWiH1fI)] 코제트를 기억한 에포닌과 코제트를 보고 사랑에 빠진 [[마리우스 퐁메르시]]가 에포닌에게 그녀를 찾아달라고 부탁하는 곡. === 21. ABC Café / Red and Black === [Youtube(_b8CbOLUvvU)] 혁명을 준비중인 아베쎄의 벗들과 (당시) 사랑에만 관심있는 마리우스, 그리고 라마르크 장군의 서거를 알리는 가브로슈의 모습이 나올 때 사용되는 곡. === 22.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Youtube(r3whOHc5y9Q)] 아베쎄의 벗들이 혁명을 위치는 노래로 뮤지컬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영화판에서는 One Day More 뒤에 나와서 바리케이드 장면으로 흐른다. === 23. Rue Plumet – In My Life === [Youtube(5Gv3bDRStWA)] 자신의 사랑에 대한 몽상과 자기와 아버지의 과거에 대한 궁금증으로 가득한 코제트와 아직은 그 사실을 알 때가 아니라며 말하는 장 발장의 듀엣곡. 뒷부분에선 마리우스와 에포닌도 나온다. === 24. A Heart Full of Love === [Youtube(lfRSbxyDhfo)] 에포닌의 도움으로 코제트가 사는 곳을 찾아낸 마리우스가 에포닌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코제트와 사랑노래를 부르지만, 그를 짝사랑하는 에포닌은 그게 전부 자기와 관련 없는 일이라며 한탄하며 부르는 노래. === 25. The Attack on the Rue Plumet === [Youtube(S2fzPhdoZiA)] 테나르디에 일당이 코제트 집을 습격하자 에포닌이 막아내고, 그걸 들은 장 발장이 코제트에게 짐 싸서 영국으로 가자고 말하는 장면의 넘버. === 26. [[One Day More]] === [Youtube(n0682DdGwyw)] 혁명전 장발장, 코제트, 마리우스, 에포닌, 자베르 등이 내일에 대해 생각하며 단체로 부르는 노래 == 2막 == === 27. Building the Barricade (Upon These Stones) === [Youtube(F8XSS5__Mis)] 아베쎄의 벗들을 중심으로 한 혁명군들이 바리케이드를 세우는 장면에서 쓰이는 넘버. === 28. [[On My Own]] === [Youtube(aHtH2OY3o0E)] 해당 문서 참조. === 29. At the Barricade (Upon These Stones) === [Youtube(LrwnCd2FpFI)] 바리케이드를 세운 혁명군이 이 곳에서 싸울 것을 다짐하고, 첩자 자베르는 진실을 찾아낼 것을 다짐하는 장면에 쓰이는 넘버. === 30. Javert's Arrival === [Youtube(NP2c71nPO2s)] 첩자로 숨어들은 자베르가 적이 쳐들어올 날짜를 속이지만, 가브로슈가 그걸 찾아낼 때 사용되는 넘버. === 31. Little People === [Youtube(KBfHFYQ0D7Q)] 위 넘버에서 이어지는 가브로슈의 솔로곡. 어린 아이인 자기도 할 일이 있다고 당당하게 노래하는 넘버. === 32. A Little Fall of Rain === [Youtube(XwK_tcQW5AM)] 에포닌이 총에 맞어 마리우스 옆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동안 이건 그냥 비일 뿐이라며 에포닌과 마리우스가 노래하는 넘버. 2012년 영화에서는 정말로 비가 내리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 33. Night of Anguish === [Youtube(sFMhehmOwfY)] 에포닌의 죽음 이후 혁명군들이 고뇌하고, 바리케이드에 장 빌장이 합류할 때 사용되는 넘버. === 34. The First Attack === [Youtube(sHDG2pB53zc)] 첫번째로 대규모의 병력과 혁명군이 대치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곡. 군복을 입고 와 의심을 사던 장 발장은 이때 저격수를 격퇴시켜 혁명군의 신뢰를 얻는다. 그 뒤 첩자로 잡혀있던 자베르를 죽이는 척 몰래 풀어준다. === 35. Drink with Me === [Youtube(E-HLc4Bkn2Q)] 전투 후 휴식시간에 술을 돌리면서 혁명군이 쉬는 노래. 이 와중에 마리우스는 여전히 코제트 생각에 빠져있다(...). === 36. Bring Him Home === [Youtube(nNTlv5lwQsY)] 장인어른의 예비 사위 구하기 노래(....). 마리우스를 보고 이 청년을 무사히 살려 집으로 돌려보낼 것을 하늘의 주에게 부탁하는 넘버. === 37. Dawn of Anguish === [Youtube(FVdvf02-Szs)] 일어나지 않은 시민들에 대해 혁명군들이 이야기하며 그럼에도 굳게 싸우겠다고 각오하는 모습을 담은 넘버. === 38. The Second Attack (Death of Gavroche) === [Youtube(QYUEb8sUlFI)] 전투 중 총알이 떨어져 군인 시체에서 총알을 노획하다 죽는 가브로슈의 모습을 담은 곡. === 39. The Final Battle === [Youtube(293DJ3g9ti4)] 바리케이드 최후의 전투. 군 대장이 왜 쓸데 없이 목숨을 낭비하냐며 항복을 요청하나 남은 혁명군들이 전부 저항하겠다 외치며 산화하는 장면에서 사용되는 넘버. === 40. Dog Eats Dog (The Sewers) === [Youtube(iHZwRlhn98g)] 하수도에서 테나르디에가 마리우스의 반지[* 원작은 옷자락.]을 슬적하는 장면, 자베르가 장 발장과 다시 마주치나 그 일행을 놓아주는 장면에서 사용된 곡. === 41. Soliloquy (Javert's Suicide) === [Youtube(SxuWEDRP0do)] 자베르가 [[센강]] 다리에서 자살할 때, 자신의 정의관에 대한 모순과 충돌, 장 발장이라는 죄수에 대하여 생각하며 부르는 넘버. === 42. Turning === [Youtube(FM9dicyQ00s)] 바리케이트 전투 후 폐허를 정리하는 사람들이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학생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곡. === 43. Empty Chairs at Empty Tables === [Youtube(W0vGvMlfQd8)] 유일하게 살아남은 마리우스가 먼저 떠난 친구들에게 미안하다 사과를 하는 곡. === 44. Every Day === [Youtube(OXMOw0mRN2E)] Heartful of love의 편곡 버전. 마리우스를 간호하는 코제트와 그 모습을 보고 코제트가 자신을 떠나게 될 것에 상심하는 장 발장의 모습을 담은 곡. === 45. Valjean's Confession === [Youtube(_IlqhRDiLsg)] 마리우스에게 진실을 전부 털어놓은 뒤 자기 먼저 조용한 곳으로 떠난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사용된 곡. === 46. Wedding Chorale / 47. Beggars at the Feast === [Youtube(DKNQO4yDt_k)] 마리우스와 코제트의 결혼식에 참석한 사람들이 부르는 곡이자 의도하지 않게(...) 테나르디에가 진실을 말한 뒤 연회장에서 쫓겨날 때 나오는 넘버. === 48. Valjean's Death / 49. [[Do You Hear the People Sing]]? (Reprise) === [Youtube(DgMtVmr9s5s)] 장발장이 찾아온 마리우스와 코제트에게 마지막 말을 하고 팡틴과 에포닌(2012년 영화에서는 미리엘 주교)의 영혼과 함께 천국으로 가는 곡. 49번은 해당 문서 참조. == [[레미제라블(영화)|2012년도 뮤지컬 영화]] 오리지널 넘버 == 이하 넘버들은 본 공연에서 등장하지 않고, 2012년도에 제작된 뮤지컬 영화판에서만 사용된 곡들이다. === Suddenly === [Youtube(7DebSKrKdwY)] 장 발장이 어린 코제트를 테나르디에의 소굴에서 구출한 뒤 마차에서 부르는 독백곡. 코제트가 장 발장에게 어떤 존재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곡이다. === The convent === [Youtube(soeoru_9JCc)] 자베르의 검문에서 걸린 장 발장이 어린 코제트를 담을 넘은 뒤 수도원에서 포슐르방과 재회 할 때 나오는 곡. === Suddenly (reprise) === [Youtube(dr5irKZCudE)] 마리우스에게 진실을 전부 고백한 뒤 예비 부부 몰래 수도원을 떠나는 장면에서 사용된 넘버.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레 미제라블(뮤지컬),version=227)] [각주] [[분류:레 미제라블]][[분류:뮤지컬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