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Decepticon_Mark.png|width=50]] }}} || ||<-2> [[파일:프렌지 G1.jpg|width=100%]] || ||<-2> '''{{{#fff {{{+1 럼블}}} [br]Rumble / ランブル}}}''' || || '''{{{#fff 알트 모드}}}''' ||마이크로 카세트 || || '''{{{#fff 소속}}}''' ||[[디셉티콘]]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프랭크 웰커]], 스콧 와이트[* 데바스테이션.][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난바 케이이치]][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최병상]](KBS), [[김환진]](비디오)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G1]] 세계관에 등장하는 [[디셉티콘]] 소속의 [[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이다. == 행적 == === 마블 코믹스 === [[파일:attachment/uploadfile/Rummmble.jpg]] 디셉티콘의 말단 병사란 느낌. [[쇼크웨이브(G1)|쇼크웨이브]]가 리더였던 시절 인간들이 몰려오자 혼자 못 막아서 쩔쩔매고 이후 쇼크웨이브에게 제발 자신을 분해하지 말라며 사정한다. === 애니메이션 === [[사운드웨이브(G1)|사운드웨이브]]의 [[미니 카세트|카세트 병사]] 중 하나로 평소에는 그의 가슴 속에서 카세트 모드로 대기하다가 사출되는 식으로 활약한다. 라임을 살린 말장난을 즐겨 한다.[* 예시로 So you wanna Rumble with Rumble? // If one Decepticon turn you happen to tumble, look out, robot. Cause here comes Rumble! // Ready to shake, ready to quake! 등등이 있다. 라임 살린 말은 사실 [[휠리(G1)|휠리]]가 갑이지만 럼블은 사용 빈도가 거슬리지 않는 정도.] 무기는 등에 꽂은 두 자루의 총이며 양팔을 해머암으로 변형시켜 지진을 일으킬 수도 있다. 같은 생김새의 [[프렌지(G1)|프렌지]]와 동일. 그리고 All Hail Megatron 코믹스 한정으로 상대방을 전투불능으로 만들고 자신을 광전사 상태로 만드는 초음파를 발사하기도 한다. 이 때에는 양손에서 [[드릴]]이 나온다. 헤드마스터즈에서까지 프렌지와 함께 출연한다... 만 딱히 큰 활약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잊을 만하면 프렌지와 같이 얼굴 비추는 게 전부이다. === [[트랜스포머: 어스워즈]] === 사운드웨이브가 사출하는 카세트 병사 중 하나로 등장한다. 여기서도 빨간색이다. 필드에 사출해서 관찰해보면 크기가 엄청 작다. 확대해서 보지 않으면 거의 벼룩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든다(...). == 기타 == 애니메이션에선 실수로 프렌지가 붉은색이 되었다. 일본판에서는 실수가 바로잡혀 프렌지가 파란색으로 나온다. 생각보다 나름 인기캐릭터. 덩치가 작은 덕에 귀엽다는 얘기가 많다. 그 때문에 G1을 베이스로 한 기타 매체나 동인 2차 창작에서는 [[프렌지(G1)|프렌지]]와 함께 디셉티콘 내 최연소 [[쇼타]]로 그려지기도.[* 다만 실제 원작에서 럼블이 디셉티콘 내에서 최연소인지는 불명이다. 그리고 정말 사이버트로니안 기준으로 소년인지도 불확실한 게 디셉티콘들이 에너존으로 회식 비스무리한 걸 하는 에피소드인 'Microbots'에선 럼블도 같이 에너존을 마시면서 취한다. 이를 보면 최소 성인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 --아니면 디셉티콘이 워낙 막장이라 애한테 술을 먹이는 것이거나--] 동형기인 프렌지와는 쌍둥이 형제라는 설정으로도 나온다.[* 다만 원작에서 럼블과 프렌지가 진짜 쌍둥이 형제인지는 불명이다. 그 이전에 럼블과 프렌지의 관계도 불확실하다.] [[분류: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1/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