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sianRiverBC.jpg]] Russian River Brewery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로사에 소재한 크래프트 브루어리. [목차] == 소개 == 1997년 설립된 양조장으로 원래는 코르벨 사(Korbel Champagne Cellars)의 [[샴페인]] 저장고를 개조한 장소였고 비니 실루조(Vinnie Cilurzo)와 나탈리 실루조(Natalie Cilurzo) 부부가 [[람빅]]에 대해 잘 아는 브루마스터를 고용해 사우어 에일들을 주로 생산했다. 그러다 2002년 코르벨 사가 맥주 사업을 철수한 뒤 실루조 부부가 양조장을 사들여 러시안 리버로 이름을 바꾸고 완전히 맥주 사업으로 전환했으며 2004년 산타 로사로 이전해 현재의 모습을 갖춘다. 현재는 [[인디아 페일 에일]] 계통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판매하는 중견 크래프트 브루어리로 거듭났으며, 생각보다 영세한 규모인 연간 1500배럴 생산으로 별 볼일 없을 것 같지만 크래프트 업계에서는 '''작은 거인''' 같은 존재다. 생산품 중에서 특히 '''플라이니 디 엘더(Pliny The Elder)'''와 '''플라이니 디 영거(Pliny The Younger)'''는 인디아 페일 에일의 끝판왕으로 회자될 만큼 맥덕들 사이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 그런데 맥주 맛이 아니라 라벨의 설명 부분의 폰트가 하필이면 '''[[Comic Sans]] 폰트라서''' 미국 맥덕들 사이에서는 "맥주의 격에 어울리지 않는다" 또는 '''[[다 좋은데 말야 자네만 없으면 좋겠군|다 좋은데 말이야, 라벨 폰트만 다른거였으면 좋겠군]]'''. 이라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특히 플라이니 디 엘더 덕분에 엄청나게 유명해져서 인지도가 커진 상황이라 미국 맥덕들 사이에서 러시안 리버를 까는 가장 큰 레퍼토리 중 하나가 Comic Sans 라벨이다. 심지어 러시안리버 직영 펍이나 광고 등에서도 Comic Sans체를 아랑곳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한다! 이 폰트가 영미권, 특히 미국에서 갖는 인식을 생각해 본다면... === 제품 === * '''블라인드 피그 IPA(Blind Pig IPA)''' : 6.1% 도수의 엄청난 홉향과 밸런스함이 어우러진 인디아 페일 에일. * '''서플리케이션(Supplication)''' : 7% 도수의 브라운 에일인데 피노누아 와인캐스크에 브렛 균과 젖산균에 감염시켜 만들어 신맛이 나게 만든 사워 에일인데 훌륭한 밸런스를 자랑한다. * '''플라이니 디 엘더(Pliny The Elder)''' : 8% 도수와 IBU 100의 임페리얼 IPA로 엄청난 꽃내음과 열대과일향들이 연이어 터지고 적절한 때에 사라지는 인디아 페일 에일의 '''끝판왕.''' 이름은 홉이라는 식물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연구한 로마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의 이름을 따 명명했으며 BA, RB 등 맥주 품평 사이트에서 '''만점'''을 기록하며 한때 맥주 세계의 황제인 '''베스트블레테렌 12의 자리를 한때나마 위협했던 맥주였다.''' 현재는 트리플 IPA인 플라이니 디 영거에게 밀렸지만 현재 이 순간에도 무시무시한 평점을 유지중이다! 그래서인지 크래프트 맥주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 러시안 리버는 몰라도 플라이니 디 엘더라는 이름은 한 번 들어봤을 법한 맥주이며 수많은 IPA애호가들이 죽기 전에 한 번 마셔보려고 환장하는 맥주다. 오죽했으면 직영 펍에서도 1인당 탭 한잔 또는 바틀샵에서 1병 구매제한을 걸어놓았을까... 현재는 아메리칸 인디아 페일 에일의 삼대장 중 하나로 자리잡은 상황.[* 자타공인 아메리칸 IPA 삼대장은 알케미스트의 헤디 토퍼, 러시안 리버의 플라이니 디 엘더와 영거] 러시안 리버에서 직접 레시피가 공개되었는데[* 대부분 레시피를 공개해도 재료만 공개하는게 원칙이다. 그 자세한 공정은 업계 비법이니...] 홉은 총 4종이 사용되었고 이를 10여가지 바리에이션으로 호핑하는 공정 때문에 양조 지식이 있는 사람들이 충격과 공포의 반응을 보이는 중.--라벨이 묘하게 방글라데시 국기 닮았다-- [[분류:미국의 주류 회사]][[분류:1997년 설립]][[분류:맥주]]